조선 고적 조선지지자료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DB 구축 원칙
- 다음 조목들의 합집합을 수록
- '古蹟' 혹은 '古跡'을 포함(예 : 古蹟, 古蹟名, 古蹟名所名, 名所古蹟)
- '古'를 포함(예 : 古碑, 古碑名)
- '名所'를 포함(예 : 名所, 名所名).『朝鮮地誌資料』 원문에 명소와 고적이 구분 없이 통합된 조목으로 기재된 경우가 많기 때문
- detail_kor 필드는 본 DB 구축자의 초벌번역에 불과하며 매우 부정확함. 원문의 옛글을 대강 현대어로 파악하는 수단에 지나지 않음.
향후 작업
- (todo) 전국으로 확대, 우선은 표제어부터 수록하여 수량부터 파악한 뒤 해당 속성정보를 천천히 추가할 예정
DB 변화 이력
- 2024년 12월 29일 : DB 최초 공개.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시범적으로 수록
DB 본문
input_order | lv1_kor | lv1_chn | lv2_kor | lv2_chn | lv3_kor | lv3_chn | type_kor | type_chn | name_kor | name_chn | detail_kor | source | note |
---|---|---|---|---|---|---|---|---|---|---|---|---|---|
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영동군 | 永同郡 | 군내면 | 郡內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화암 | 花巖 | 300년 전 장(張), 박(朴) 양성팔현(兩姓八賢)이 머물렀던[杖屦] 장소이다. 고삼군(故三郡)의 많은 선비들이 추모하는 마음으로 서원을 창건하여 강습의 장소로 삼았다. 그러나 40여 년 갑자의 해 훼철된 뒤에는 다만 그 유허에 단을 설치하여 추향하고 있을 뿐이다. | 충청북도 1권, 9쪽 | - |
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영동군 | 永同郡 | 양내면 | 陽內面 | 명소명 | 名所名 | 강선대 | 降仙坮 | 대동리에 있다. | 충청북도 1권, 78쪽 | - |
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영동군 | 永同郡 | 양내면 | 陽內面 | 명소명 | 名所名 | 삼암대 | 三岩坮 | 대동리에 있다. | 충청북도 1권, 79쪽 | - |
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영동군 | 永同郡 | 남일면 | 南一面 | 명소명 | 名所名 | 빙옥정 | 氷玉亭 | 본군(本郡) 김(金), 장(張) 양성(兩姓)이 창건했으며 본면(本面) 대암(坮岩)에 있다. | 충청북도 1권, 105쪽 | - |
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영동군 | 永同郡 | 남일면 | 南一面 | 고비명 | 古碑名 | 신도비 | 神道碑 | 전조(前朝) 선조 때 □신(□臣) 장필무(張弼武)의 사적(事蹟)을 기록한 것이다. | 충청북도 1권, 105쪽 | - |
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진천군 | 鎭川郡 | 초평면 | 草坪面 | 고비명 | 古碑名 | 신도비 | 神道碑 | 이시발(李時發)의 호는 오촌(梧村)이다. 임진공신(壬辰功臣)의 신도비를 설립했다. | 충청북도 1권, 144쪽 | 원문과 달리 실제로는 이시발이 아닌 그 아버지의 호가 오촌이었다 함(디지털진천문화대전 "이시발" http://aks.ai/GC02700656) |
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진천군 | 鎭川郡 | 백락면 | 白洛面 | 고비명 | 古碑名 | 정송강비 | 鄭松江碑 | 300년 전 송강 정철의 도덕이 현저하여 신도비를 건립했다. | 충청북도 1권, 157쪽 | - |
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진천군 | 鎭川郡 | 행정면 | 杏井面 | 고비 | 古碑 | 신도비 | 神道碑 | 명신리 백석산 아래에 있다. 충신 남연년(南延年)이 무신란(戊申亂)에 입절순신(立節殉身)한 (내용을 담은) 비이다. | 충청북도 1권, 183쪽 | 무신란은 무신년(1728)에 일어난 이인좌의 난을 뜻함(민백 "이인좌의 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5630) |
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진천군 | 鎭川郡 | 이곡면 | 梨谷面 | 고적명 | 古蹟名 | 용소 | 龍沼 | 서원리 뒷산에 있다. 옛날 이곳에서 용담공(龍膽空) | 충청북도 1권, 201쪽 | - |
1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진천군 | 鎭川郡 | 소답면 | 所畓面 | 고적명 | 古蹟名 | 가신돌탑 | 加新石塔 | 가신리 앞 골짜기에 있다. 수백 년 동안 전래되어 왔는데 그 이치는 미상이다. | 충청북도 1권, 208쪽 | - |
1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열녀비 | 烈女碑 | 읍내면 하방리에 있다. 열녀 관비 연옥(鍊玉)은 정병(正兵) 박세옹(朴世蓊)의 처인데 나이 30에 그 남편을 잃고서 늘 흰옷을 입으며 고기를 먹지 않다가 60년 뒤 남편이 죽은 날에 말하길, “오늘은 나의 지아비가 죽은 날이니 나도 마땅히 죽으리라.” 하더니, 과연 남편이 죽은 날에 그 또한 죽었으므로 정려를 받고 비를 세웠다. | 충청북도 1권, 239쪽 | - |
1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효자비 | 孝子碑 | 읍내면 북하리에 있다. 효자 신맹경(申孟慶)은 부모가 병중에 있을 때 상분용약(嘗糞用藥)했고, 제천현감으로 재임할 때 부모가 병중에 있어 관아에서 약을 달이면 호랑이가 스스로 찾아와 태워줄 것을 청하거늘, 올라탄즉 바로 집으로 당도하니 70리 길에도 약이 줄곧 따뜻했다. 정려를 받고 비를 세웠다. | 충청북도 1권, 239쪽 | 신맹경의 겨울철 딸기 설화로 미루어 보아 원문의 嘗糞用藥은 복분자를 약으로 썼다는 의미로 보임(개인블로그 https://king6113.tistory.com/4807) |
1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우화교비 | 羽化橋碑 | 읍내면 중방리에 있다. 본군(本郡) 읍내면 중방리, 하방리 양리(兩里) 사이에 큰 냇물이 있으므로 옛날에 돌다리를 짓고 사적(事蹟)을 기록하여 비를 세웠다. | 충청북도 1권, 239쪽 | - |
1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동면 | 東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중영제당 | 祭堂 | 산천제를 지내는 곳. 메이지 42년(1909)에 폐향(廢享). 용부원에 있다. | 충청북도 1권, 252쪽 | - |
1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동면 | 東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미륵당 | 彌勒堂 | 석굴 안에 괴석(怪石)이 부처의 모양과 같아 이렇게 부른다. 수촌에 있다. | 충청북도 1권, 252쪽 | - |
1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동면 | 東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다리안 | 戒懼橋 | 층애절벽에 물을 가로질러 다리를 만드니 높이가 10여 길[丈]이며 아래에는 깊은 웅덩이가 있고 기원은 미상이다. 천동리에 있다. | 충청북도 1권, 253쪽 | - |
1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남면 | 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운선구곡 | 雲仙九曲 | - | 충청북도 1권, 262쪽 | - |
1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남면 | 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서벽정 | 捿碧亭 | 사인암에 있다. 시내 위의 돌벽. | 충청북도 1권, 262쪽 | - |
1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남면 | 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사선대 | 四仙臺 | 사인암에 있다. 시내 위의 기암(奇岩). 바위 아래에는 깊은 못이 있다. | 충청북도 1권, 262쪽 | - |
2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남면 | 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수운정 | 水雲亭 | 직치리에 있다. 시내 위의 돌벽. 옛날에는 정자가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 충청북도 1권, 262쪽 | - |
2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남면 | 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대은담 | 大隱潭 | 황정동에 있다. 시내 위의 기암(奇岩). 바위 아래에는 깊은 못이 있다. | 충청북도 1권, 262쪽 | - |
2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서면 | 西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고평석불 | 高坪石佛 | 고평리. | 충청북도 1권, 279쪽 | - |
2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서면 | 西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옥순봉 | 玉筍峰 | 장회리. | 충청북도 1권, 279쪽 | - |
2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서면 | 西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구담봉 | 龜潭峰 | 장회리. | 충청북도 1권, 279쪽 | - |
2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북일면 | 北一面 | 명소명 | 名所名 | 도담삼봉 | 島潭三峰 | 도담리. | 충청북도 1권, 311쪽 | - |
2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북일면 | 北一面 | 명소명 | 名所名 | 은주암 | 隱舟巖 | 도담리. | 충청북도 1권, 312쪽 | - |
2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북일면 | 北一面 | 명소명 | 名所名 | 석문 | 石門 | 도담리. | 충청북도 1권, 312쪽 | - |
2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북이면 | 北二面 | 명소명 | 名所名 | 서골벽 | 棲鶻壁 | 상진리. | 충청북도 1권, 321쪽 | - |
2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황간군 | 黃澗郡 | 군내면 | 郡內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가학루 | 駕鶴樓 | 교촌의 남쪽. | 충청북도 1권, 331쪽 | - |
3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황간군 | 黃澗郡 | 군내면 | 郡內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유허비 | 遺墟碑 | 우암(尤菴) 송 선생의 유허지이다. 따라서 원촌 앞에 비를 건립했다. | 충청북도 1권, 331쪽 | - |
3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황간군 | 黃澗郡 | 군내면 | 郡內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회도석 | 回櫂石 | 주암(舟岩)이라고도 부른다. 기암(奇岩)이 있으므로 옛날 하서리의 서쪽 가장자리에 이 비를 세웠다. | 충청북도 1권, 331쪽 | - |
3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황간군 | 黃澗郡 | 오곡면 | 梧谷面 | 비명 | 碑名 | 순절비 | 殉節碑 | 옛날 임진년의 국난에 의병장이 전사하여 포촌에 비를 세웠다. | 충청북도 1권, 351쪽 | - |
3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보은군 | 報恩郡 | 속리면 | 俗離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큰철솥 | 大鐵鑊 | 대법왕사에 있다. | 충청북도 2권, 20쪽 | - |
3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보은군 | 報恩郡 | 속리면 | 俗離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돌함박 | 大石槽 | 대법왕사에 있다. | 충청북도 2권, 20쪽 | - |
3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보은군 | 報恩郡 | 속리면 | 俗離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돌두멍 | 石瓮 | 대법왕사에 있다. | 충청북도 2권, 20쪽 | - |
3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보은군 | 報恩郡 | 속리면 | 俗離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거북바우 | 龜巖 | 수정봉 위에 있다. | 충청북도 2권, 20쪽 | - |
3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보은군 | 報恩郡 | 삼승면 | 三升面 | 고비명 | 古碑名 | 우암송선생사형제거려유허비 | 尤庵宋先生四兄弟居廬遺墟碑 | 월촌에 있다. | 충청북도 2권, 41쪽 | - |
3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안군 | 淸安郡 | 남면 | 南面 | 고비명 | 古碑名 | 한제상지인비 | 韓齊相至仁碑 | - | 충청북도 2권, 93쪽 | - |
3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안군 | 淸安郡 | 남면 | 南面 | 고비명 | 古碑名 | 정수명비 | 鄭洙明碑 | - | 충청북도 2권, 93쪽 | - |
4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안군 | 淸安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미륵당 | 彌勒堂 | 덕암리. 미륵은 현존하나 그 내력은 미상. | 충청북도 2권, 107쪽 | - |
4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안군 | 淸安郡 | 북면 | 北面 | 고비명 | 古碑名 | 휼민선정비 | 恤民善政碑 | 본군(本郡)의 전 군수 이주하(李周夏)의 덕을 칭송하여 면내 인민이 명암리에 비를 세웠다. | 충청북도 2권, 107쪽 | - |
4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안군 | 淸安郡 | 북면 | 北面 | 고비명 | 古碑名 | 김창익효자비 | 金昌翼孝子碑 | 자손이 그 효행을 표창하여 모산리에 비를 세웠다. | 충청북도 2권, 107쪽 | - |
4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안군 | 淸安郡 | 북면 | 北面 | 고비명 | 古碑名 | 연충수신도비 | 延忠秀神道碑 | 자손이 그 학행(學行)을 표창하여 칠송리에 비를 세웠다. | 충청북도 2권, 107쪽 | - |
4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회인군 | 懷仁郡 | 동면 | 東面 | 고비명 | 古碑名 | 조중봉비 | 趙重峯碑 | 차령리. 유허비. | 충청북도 2권, 126쪽 | - |
4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회인군 | 懷仁郡 | 동면 | 東面 | 고적명 | 古蹟名 | 이열녀문 | 李烈女門 | 용흥동. 내력 미상. | 충청북도 2권, 127쪽 | - |
4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회인군 | 懷仁郡 | 동면 | 東面 | 고적명 | 古蹟名 | 권효자문 | 權孝子門 | 초개동. 내력 미상. | 충청북도 2권, 127쪽 | - |
4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옥천군 | 沃川郡 | 서일소면 | 西一所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이지당 | 二止堂 | 중봉 조헌과 우암 송시열의 유상소(遺像所). | 충청북도 2권, 176쪽 | - |
4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옥천군 | 沃川郡 | 이내면 | 伊內面 | 고비 | 古碑 | 송우암시열유허비 | 宋尤庵時烈遺墟碑 | 구룡리. | 충청북도 2권, 225쪽 | - |
4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문의군 | 文義郡 | 동면 | 東面 | 고비명 | 古碑名 | 유숙옹유허비 | 柳塾翁遺墟碑 | 삼항리 앞 바위 위. | 충청북도 2권, 245쪽 | - |
5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문의군 | 文義郡 | 남면 | 南面 | 고비명 | 古碑名 | 왕묘동비 | 固城李氏碑 | 산서리 동구(洞口). | 충청북도 2권, 250쪽 | - |
5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문의군 | 文義郡 | 일도면 | 一道面 | 고비명 | 古碑名 | 군수선정비 | 郡守善政碑 | 하석리 각호진두에 있다. | 충청북도 2권, 253쪽 | - |
5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문의군 | 文義郡 | 일도면 | 一道面 | 고적명 | 古蹟名 | 정북창유허 | 鄭北窓遺墟 | 노서리에 있다. | 충청북도 2권, 256쪽 | - |
5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문의군 | 文義郡 | 삼도면 | 三道面 | 고적명 | 古跡名 | 월송정 | 月松亭 | 오유립(吳裕立)이 옛날에 살던 곳. | 충청북도 2권, 262쪽 | - |
5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연풍군 | 延豊郡 | 현내면 | 縣內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용유담 | 龍斿潭 | 양촌에 있다. | 충청북도 2권, 276쪽 | - |
5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연풍군 | 延豊郡 | 현내면 | 縣內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수옥정폭포 | 漱玉瀑 | 신풍에 있다. | 충청북도 2권, 276쪽 | - |
5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연풍군 | 延豊郡 | 현내면 | 縣內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부처당이 | 佛堂 | 신풍에 있다. | 충청북도 2권, 276쪽 | - |
5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연풍군 | 延豊郡 | 수회면 | 水回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탁영대 | 濯纓臺 | 강진동에 있다. | 충청북도 2권, 279쪽 | - |
5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연풍군 | 延豊郡 | 고사리면 | 古沙里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미령당이탑 | 彌勒洞塔 | - | 충청북도 2권, 291쪽 | - |
5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청주면 | 淸州面 | 고적명 | 古蹟名 | 진대 | 龍頭寺鐵幢 | 본정4정목. | 충청북도 2-1권, 6쪽 | - |
6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청주면 | 淸州面 | 명소명 | 名所名 | 석교 | 石橋 | 수정. | 충청북도 2-1권, 6쪽 | - |
6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사주면 | 四州面 | 고역명 | 古驛名 | 율봉역 | 栗峰驛 | 율양리. | 충청북도 2-1권, 10쪽 | - |
6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낭성면 | 琅城面 | 고적명 | 古蹟名 | 산성 | 上黨山城 | 산성리. | 충청북도 2-1권, 16쪽 | - |
6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낭성면 | 琅城面 | 고적명 | 古蹟名 | 태실 | 胎室 | 무성리. | 충청북도 2-1권, 16쪽 | - |
6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낭성면 | 琅城面 | 성지명 | 城址名 | 산성 | 上黨山城 | 산성리. | 충청북도 2-1권, 16쪽 | - |
6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낭성면 | 琅城面 | 성지명 | 城址名 | 낭성 | 琅城 | 성대리. | 충청북도 2-1권, 16쪽 | - |
6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미원면 | 米院面 | 명소명 | 名所名 | 굴바우 | 窟岩 | 운암리. | 충청북도 2-1권, 33쪽 | - |
6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미원면 | 米院面 | 성지명 | 城址名 | 구녀성 | 九女城 | 대신리. | 충청북도 2-1권, 33쪽 | - |
6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가덕면 | 加德面 | 고적명 | 古蹟名 | 육층탑 | 六層塔 | 두산리. | 충청북도 2-1권, 35쪽 | - |
6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구문의군 | 舊文義郡 | 가덕면 | 加德面 | 고적명 | 古蹟名 | 어사각 | 御賜閣 | 청룡리, 금곡. | 충청북도 2-1권, 41쪽 | - |
7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구문의군 | 舊文義郡 | 가덕면 | 加德面 | 고적명 | 古蹟名 | 봉화뚝 | 烽火峰 | 국전리, 음지촌. | 충청북도 2-1권, 42쪽 | - |
7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남일면 | 南一面 | 고적명 | 古蹟名 | 자취바위 | 跡岩 | 방서리. | 충청북도 2-1권, 48쪽 | - |
7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남일면 | 南一面 | 고적명 | 古蹟名 | 사장터 | 射場 | 방서리. | 충청북도 2-1권, 48쪽 | - |
7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남일면 | 南一面 | 명소명 | 名所名 | 수도수원지 | 水源池 | 상월리. | 충청북도 2-1권, 49쪽 | - |
7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남일면 | 南一面 | 명소명 | 名所名 | 약바위 | 藥岩 | 성암. | 충청북도 2-1권, 50쪽 | - |
7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남일면 | 南一面 | 명소명 | 名所名 | 구룡암 | 九龍岩 | 성암. | 충청북도 2-1권, 50쪽 | - |
7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남일면 | 南一面 | 명소명 | 名所名 | 진펀턴 | 陣原 | 성암. | 충청북도 2-1권, 50쪽 | - |
7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남일면 | 南一面 | 고적명 | 古蹟名 | 통뫼 | 印峰 | 조촌리. | 충청북도 2-1권, 51쪽 | - |
7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남일면 | 南一面 | 명소명 | 名所名 | 왕암약수 | 旺岩藥水 | - | 충청북도 2-1권, 52쪽 | - |
7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남일면 | 南一面 | 고적명 | 古蹟名 | 잔바위 | 曝書岩 | - | 충청북도 2-1권, 53쪽 | - |
8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문의면 | 文義面 | 고적명 | 古蹟名 | 용혈 | 龍穴 | 상장리. | 충청북도 2-1권, 73쪽 | - |
8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문의면 | 文義面 | 성지명 | 城址名 | 일모성 | 一牟城 | 문산리. | 충청북도 2-1권, 73쪽 | - |
8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문의면 | 文義面 | 성지명 | 城址名 | 봉화대 | 烽火台 | 미천리. | 충청북도 2-1권, 73쪽 | - |
8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용흥면 | 龍興面 | 고적명 | 古蹟名 | 용굴 | 龍穴 | 구룡리. | 충청북도 2-1권, 79쪽 | - |
8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강서면 | 江西面 | 고적명 | 古蹟名 | 야양성 | 爺孃城 | 비하리. | 충청북도 2-1권, 110쪽 | - |
8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강서면 | 江西面 | 명소명 | 名所名 | 부모산 | 父母山 | 비하리. | 충청북도 2-1권, 110쪽 | - |
8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강서면 | 江西面 | 성지명 | 城址名 | 야양산성 | 爺孃山城 | 비하리. | 충청북도 2-1권, 110쪽 | - |
8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강내면 | 江內面 | 고적명 | 古蹟名 | 은적성 | 銀積城 | 연정리. 유지(遺址). | 충청북도 2-1권, 113쪽 | - |
8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강내면 | 江內面 | 고역명 | 古驛名 | 저산역 | 猪山驛 | 저산리. | 충청북도 2-1권, 114쪽 | - |
8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강내면 | 江內面 | 고적명 | 古蹟名 | 부처질개울 | - | 월곡리. | 충청북도 2-1권, 130쪽 | - |
9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강내면 | 江內面 | 고적명 | 古蹟名 | 환자창 | 還米倉 | 학천리. 지금으로부터 30여 년 전에 폐지되었다. | 충청북도 2-1권, 134쪽 | - |
9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강내면 | 江內面 | 명소명 | 名所名 | 장군봉 | 將軍峰 | 학천리. | 충청북도 2-1권, 134쪽 | - |
9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옥산면 | 玉山面 | 성지명 | 城址名 | 금성 | 金城 | 동촌리. | 충청북도 2-1권, 158쪽 | - |
9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오창면 | 梧倉面 | 명소 | 名所 | 목령산 | 鶩嶺山 | 양지리. | 충청북도 2-1권, 174쪽 | - |
9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오창면 | 梧倉面 | 명소 | 名所 | 서림산 | 徐林山 | 후기리. | 충청북도 2-1권, 174쪽 | - |
9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오창면 | 梧倉面 | 명소 | 名所 | 팔결내 | 八結川 | 오창면과 북일면의 경계 | 충청북도 2-1권, 174쪽 | - |
9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오창면 | 梧倉面 | 명소 | 名所 | 까치내 | 鵲川 | 오창면과 강서면의 경계 | 충청북도 2-1권, 175쪽 | - |
9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북이면 | 北二面 | 성지명 | 城址名 | 낭비성 | 狼臂城 | 부연리. 낭비라는 이름의 도적이 48년 동안 도적질을 하기 위한 성으로 삼았다. 현존한다. | 충청북도 2-1권, 197쪽 | - |
9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북이면 | 北二面 | 성지명 | 城址名 | 노고성 | 老姑城 | 대길리. 재자(才姿)가 도적 등의 난리를 피하기 위해 쌓은 것으로 현존한다. | 충청북도 2-1권, 197쪽 | - |
9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북일면 | 北一面 | 명소 | 名所 | 탄산수분천 | 炭酸水噴泉 | 원초정리에 있다. | 충청북도 2-1권, 204쪽 | - |
10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청주군 | 淸州郡 | 북일면 | 北一面 | 성지 | 城址 | 토성 | 土城 | 정북리. | 충청북도 2-1권, 207쪽 | - |
10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괴산군 | 槐山郡 | 괴산면 | 槐山面 | 고역명 | 古驛名 | 역말 | 驛里 | 동부리. | 충청북도 2-1권, 210쪽 | - |
10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괴산군 | 槐山郡 | 괴산면 | 槐山面 | 명소 | 名所 | 제월대 | 霽月臺 | 제월리. | 충청북도 2-1권, 210쪽 | - |
10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괴산군 | 槐山郡 | 감물면 | 甘勿面 | 명소 | 名所 | 은병암이 | 隱屛岩 | 검승. | 충청북도 2-1권, 215쪽 | - |
10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괴산군 | 槐山郡 | 청천면 | 靑川面 | 명소 | 名所 | 화양동 | 華陽洞 | 화양리. | 충청북도 2-1권, 233쪽 | - |
10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충주군 | 忠州郡 | 충주면 | 忠州面 | 명소 | 名所 | 탄금대 | 彈琴台 | 칠금리. | 충청북도 2-1권, 259쪽 | - |
10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충주군 | 忠州郡 | 충주면 | 忠州面 | 성지명 | 城址名 | 남산성지 | 南山城址 | 직동. 안촌리. | 충청북도 2-1권, 259쪽 | - |
10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충주군 | 忠州郡 | 충주면 | 忠州面 | 성지명 | 城址名 | 용현성지 | 龍峴城址 | 교현동. 용산리. | 충청북도 2-1권, 259쪽 | - |
10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충주군 | 忠州郡 | 신니면 | 薪尼面 | 고적 | 古蹟 | 원대미륵 | 院垈彌勒 | 원평리. | 충청북도 2-1권, 285쪽 | - |
10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충주군 | 忠州郡 | 노은면 | 老隱面 | 성지 | 城址 | 보련산성 | 保蓮山城 | 연하동. | 충청북도 2-1권, 291쪽 | - |
11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충주군 | 忠州郡 | 앙성면 | 仰城面 | 고적 | 古蹟 | 미륵 | 彌勒 | 지당리. | 충청북도 2-1권, 299쪽 | - |
11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충주군 | 忠州郡 | 가금면 | 可金面 | 고적 | 古蹟 | 중앙탑 | 中央塔 | 탑평리. | 충청북도 2-1권, 305쪽 | - |
11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충주군 | 忠州郡 | 가금면 | 可金面 | 성지 | 城址 | 장미산성 | 長尾山城 | 탑평리. | 충청북도 2-1권, 305쪽 | - |
11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충주군 | 忠州郡 | 동량면 | 東良面 | 고적 | 古蹟 | 법경대사비 | 法鏡大師碑 | 하천리. | 충청북도 2-1권, 318쪽 | - |
11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충주군 | 忠州郡 | 엄정면 | 嚴政面 | 명소명 | 名所名 | 기념비 | 忠州億政禪寺紀念碑 | 괴동리. | 충청북도 2-1권, 329쪽 | - |
11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충주군 | 忠州郡 | 엄정면 | 嚴政面 | 명소명 | 名所名 | 태봉 | 胎峰 | 괴동리. | 충청북도 2-1권, 329쪽 | - |
11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제천면 | 堤川面 | 고적명 | 古蹟名 | 탑 | 塔 | 장락리. | 충청북도 2-2권, 11쪽 | - |
11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제천면 | 堤川面 | 명소명 | 名所名 | 의림지 | 義林池 | 모산리. | 충청북도 2-2권, 11쪽 | - |
11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금성면 | 錦城面 | 고역명 | 古驛名 | 안암역 | 安岩驛 | 성내리. | 충청북도 2-2권, 22쪽 | - |
11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금성면 | 錦城面 | 명소명 | 名所名 | 능강구곡 | 綾江九曲 | 능강리. | 충청북도 2-2권, 26쪽 | - |
12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금성면 | 錦城面 | 성지명 | 城址名 | 까지성 | 鵲城 | 성내리. | 충청북도 2-2권, 26쪽 | - |
12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청풍면 | 淸風面 | 고적명 | 古蹟名 | 한벽루 | 寒碧樓 | 읍리. 신(新). | 충청북도 2-2권, 35쪽 | - |
12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청풍면 | 淸風面 | 성지명 | 城址名 | 망월성 | 望月城 | 물대리. 신(新). | 충청북도 2-2권, 35쪽 | - |
12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수산면 | 水山面 | 고역명 | 古驛名 | 안말역 | 內里驛 | 내리. 구(舊). | 충청북도 2-2권, 42쪽 | - |
12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수산면 | 水山面 | 명소명 | 名所名 | 옥순봉 | 玉筍峰 | 괴곡리. | 충청북도 2-2권, 53쪽 | - |
12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수산면 | 水山面 | 고적명 | 古蹟名 | 봉화둑 | 烽火峙 | 오치리. | 충청북도 2-2권, 53쪽 | - |
12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덕산면 | 德山面 | 명소 | 名所 | 수렴동 | 水簾洞 | 월악리. 구(舊). | 충청북도 2-2권, 69쪽 | - |
12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덕산면 | 德山面 | 명소 | 名所 | 청벽대 | 聽碧坮 | 월악리. 구(舊). | 충청북도 2-2권, 69쪽 | - |
12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덕산면 | 德山面 | 명소 | 名所 | 선미대 | 仙味臺 | 월악리. 구(舊). | 충청북도 2-2권, 69쪽 | - |
12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한수면 | 寒水面 | 고역명 | 古驛名 | 황강역 | 黃江驛 | 역리. 신(新). | 충청북도 2-2권, 75쪽 | - |
13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한수면 | 寒水面 | 고적명 | 古蹟名 | 사장이탑 | 獅場塔 | 송계리. | 충청북도 2-2권, 79쪽 | - |
13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한수면 | 寒水面 | 성지명 | 城址名 | 동창성 | 東倉城 | 송계리. | 충청북도 2-2권, 79쪽 | - |
13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수하면 | 水下面 | 고적명 | 古蹟名 | 능골 | 陵谷 | 서운리. 구(舊). | 충청북도 2-2권, 86쪽 | - |
13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수하면 | 水下面 | 고적명 | 古蹟名 | 남운정 | 南雲亭 | 포탄리. 구(舊). | 충청북도 2-2권, 86쪽 | - |
13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수하면 | 水下面 | 고적명 | 古蹟名 | 능골 | 陵谷 | 서운리. 구(舊). | 충청북도 2-2권, 88쪽 | - |
13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수하면 | 水下面 | 고적명 | 古蹟名 | 남운정 | 南雲亭 | 포탄리. 구(舊). | 충청북도 2-2권, 89쪽 | - |
13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봉양면 | 鳳陽面 | 고적명 | 古蹟名 | 할미성이 | 老姑城 | 명암리. | 충청북도 2-2권, 129쪽 | - |
13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봉양면 | 鳳陽面 | 고적명 | 古蹟名 | 은적 | 隱跡 | 명암리. | 충청북도 2-2권, 130쪽 | - |
13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봉양면 | 鳳陽面 | 고적명 | 古蹟名 | 미륵당이부처 | 彌勒石佛 | 명암리. | 충청북도 2-2권, 130쪽 | - |
13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봉양면 | 鳳陽面 | 명소명 | 名所名 | 탁사정 | 濯斯亭 | 원학리. | 충청북도 2-2권, 130쪽 | - |
14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봉양면 | 鳳陽面 | 명소명 | 名所名 | 대암 | 龍袋岩 | 원학리. | 충청북도 2-2권, 130쪽 | - |
14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봉양면 | 鳳陽面 | 명소명 | 名所名 | 용바우 | 龍岩 | 구곡리. | 충청북도 2-2권, 130쪽 | - |
14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봉양면 | 鳳陽面 | 명소명 | 名所名 | 마당바우 | 場岩 | 구곡리. | 충청북도 2-2권, 130쪽 | - |
14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제천군 | 堤川郡 | 봉양면 | 鳳陽面 | 고적명 | 古蹟名 | 선돌 | 立石 | 입석리. 구(舊). | 충청북도 2-2권, 141쪽 | - |
14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음성면 | 陰城面 | 성지명 | 城址名 | 수정산성터 | 水晶山城 | 읍내리. | 충청북도 2-2권, 144쪽 | - |
14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음성면 | 陰城面 | 성지명 | 城址名 | 할미성터 | 姑城 | 평곡리. | 충청북도 2-2권, 146쪽 | - |
14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음성면 | 陰城面 | 성지명 | 城址名 | 성터 | 城峙 | 석인리. | 충청북도 2-2권, 147쪽 | - |
14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음성면 | 陰城面 | 기타 | 其他 | 삼국적터 | 三國時代遺址 | 사정리. | 충청북도 2-2권, 151쪽 | - |
14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음성면 | 陰城面 | 고적명 | 古蹟名 | 부두 | 佛道岩 | 감우리. | 충청북도 2-2권, 153쪽 | - |
14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음성면 | 陰城面 | 고역명 | 古驛名 | 역답골 | 驛畓谷 | 소여리. | 충청북도 2-2권, 154쪽 | - |
15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음성면 | 陰城面 | 성지명 | 城址名 | 토성 | 土城 | - | 충청북도 2-2권, 157쪽 | - |
15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음성면 | 陰城面 | 성지명 | 城址名 | 사향산성터 | 麝香山城 | - | 충청북도 2-2권, 158쪽 | - |
15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소이면 | 蘇伊面 | 고적명 | 古蹟名 | 음애동 | 陰涯洞 | 비산리. | 충청북도 2-2권, 172쪽 | - |
15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소이면 | 蘇伊面 | 명소명 | 名所名 | 국사산 | 國師山 | 충도리. | 충청북도 2-2권, 172쪽 | - |
15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소이면 | 蘇伊面 | 성지명 | 城址名 | 성터 | 甲山城 | 갑산리. | 충청북도 2-2권, 172쪽 | - |
15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원남면 | 遠南面 | 명소 | 名所 | 백마산 | 白馬山 | 마송리. 백마가 나왔다는 구멍이 있다. | 충청북도 2-2권, 181쪽 | - |
15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원남면 | 遠南面 | 명소 | 名所 | 시로산 | 侍老山 | 봉황 두 마리[貳匹]가 왔다는 곳이며 약수가 있다. | 충청북도 2-2권, 181쪽 | - |
15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원남면 | 遠南面 | 명소 | 名所 | 비파암 | 琵琶岩 | 봉황 두 마리[貳匹]가 왔다는 곳이며 약수가 있다. | 충청북도 2-2권, 181쪽 | - |
15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원남면 | 遠南面 | 명소 | 名所 | 보덕산 | 普德山 | 선룡리. | 충청북도 2-2권, 182쪽 | - |
15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맹동면 | 孟洞面 | 고적명 | 古蹟名 | 석탑 | 石塔 | 쌍정리. | 충청북도 2-2권, 195쪽 | - |
16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맹동면 | 孟洞面 | 고적명 | 古蹟名 | 미륵부처 | 彌勒佛 | 용촌리. | 충청북도 2-2권, 195쪽 | - |
16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삼성면 | 三成面 | 고적명 | 古蹟名 | 백운산서운사 | 白雲山瑞雲寺 | 용성리. | 충청북도 2-2권, 230쪽 | - |
16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삼성면 | 三成面 | 고적명 | 古蹟名 | 마이산봉화대 | 馬耳山烽火台 | 덕정리. | 충청북도 2-2권, 231쪽 | - |
16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삼성면 | 三成面 | 성지명 | 城址名 | 마이산토성 | 馬耳山土城 | 덕정리. | 충청북도 2-2권, 231쪽 | - |
16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금왕면 | 金旺面 | 고적 | 古蹟 | 석불 | 石佛 | 오선리. | 충청북도 2-2권, 236쪽 | - |
16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금왕면 | 金旺面 | 고적 | 古蹟 | 석불 | 石佛 | 본대리. | 충청북도 2-2권, 241쪽 | - |
16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금왕면 | 金旺面 | 고적명 | 古蹟名 | 미륵 | 彌勒 | 유촌리. | 충청북도 2-2권, 251쪽 | - |
16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금왕면 | 金旺面 | 고적명 | 古蹟名 | 명마바위 | 名馬岩 | 백야리. 임진년의 난 때 유촌 조씨(柳村 趙氏)의 선조가 피란 중 이 바위에서 아들을 낳았다고 한다. | 충청북도 2-2권, 256쪽 | - |
16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금왕면 | 金旺面 | 고적 | 古蹟 | 산제당 | 山祭堂 | 용계리. | 충청북도 2-2권, 261쪽 | - |
16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생극면 | 笙極面 | 고역명 | 古驛名 | 관말역 | 館村驛 | 관성리. | 충청북도 2-2권, 269쪽 | - |
17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생극면 | 笙極面 | 고적명 | 古蹟名 | 이진봉 | 古陣峰 | 벽암리. 옛날 싸움터의 진(陣). | 충청북도 2-2권, 271쪽 | - |
171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생극면 | 笙極面 | 고적명 | 古蹟名 | 팔성산 | 八聖山 | 옛날 싸움터의 진(陣). | 충청북도 2-2권, 271쪽 | - |
172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 | - | 고적명 | 古蹟名 | 이완이대장터 | 李完李大將垈 | 영산리. | 충청북도 2-2권, 279쪽 | - |
173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음성군 | 陰城郡 | - | - | 명소명 | 名所名 | 매산 | 梅山 | 왕장리. | 충청북도 2-2권, 279쪽 | - |
174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어상천면 | 魚上川面 | 고역명 | 古驛名 | 임현역말 | 任縣驛 | - | 충청북도 2-2권, 295쪽 | - |
175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영춘면 | 永春面 | 명소명 | 名所名 | 북벽 | 北壁 | 상리. | 충청북도 2-2권, 306쪽 | - |
176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영춘면 | 永春面 | 명소명 | 名所名 | 남굴 | 南窟 | 하리. | 충청북도 2-2권, 306쪽 | - |
177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영춘면 | 永春面 | 명소명 | 名所名 | 운병대 | 雲屛臺 | 하리. | 충청북도 2-2권, 306쪽 | - |
178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영춘면 | 永春面 | 명소명 | 名所名 | 도원동문 | 桃源洞門 | 하리. | 충청북도 2-2권, 306쪽 | - |
179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영춘면 | 永春面 | 고역명 | 古驛名 | 오사리역 | 吾賜驛 | 오사리. | 충청북도 2-2권, 312쪽 | - |
180 | 충청북도 | 忠淸北道 | 단양군 | 丹陽郡 | 영춘면 | 永春面 | 성지명 | 城址名 | 온달성 | 溫達城 | 하리. | 충청북도 2-2권, 312쪽 | - |
18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청류부곡 | 淸流部曲 | - | 충청남도 1-1권, 3쪽 | - |
18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양화부곡 | 良化部曲 | - | 충청남도 1-1권, 3쪽 | - |
18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범규부곡 | 範奎部曲 | - | 충청남도 1-1권, 3쪽 | - |
18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고화부곡 | 羙化部曲 | - | 충청남도 1-1권, 3쪽 | - |
18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귀지부곡 | 貴智部曲 | - | 충청남도 1-1권, 3쪽 | - |
18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취리산 | 就利山 | - | 충청남도 1-1권, 3쪽 | - |
18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금단소 | 今丹所 | - | 충청남도 1-1권, 4쪽 | - |
18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갑촌소 | 甲村所 | - | 충청남도 1-1권, 4쪽 | - |
18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촌개소 | 村介所 | - | 충청남도 1-1권, 4쪽 | - |
19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복수소 | 福水所 | - | 충청남도 1-1권, 4쪽 | - |
19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금생소 | 金生所 | - | 충청남도 1-1권, 4쪽 | - |
19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독성 | 禿城 | - | 충청남도 1-1권, 4쪽 | - |
19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쌍수정 | 雙樹亭 | 동부면 산성. | 충청남도 1-1권, 53쪽 | - |
19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독락정 | 獨樂亭 | 삼기면 나성. 개국 초의 전서(典書) 임난수(林蘭秀) 휴퇴소(休退所) | 충청남도 1-1권, 53쪽 | 원문에는 상세사항이 우리말 독음 칸에 기재되어 있었으므로 바로잡음 |
19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원산정 | 圓山亭 | 반탄면 원산리. 만희정(晩喜亭) 박한영(朴漢英)의 유지(遺址). | 충청남도 1-1권, 53쪽 | 원문에는 상세사항이 우리말 독음 칸에 기재되어 있었으므로 바로잡음 |
19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국사당 | 國社堂 | 반탄면 국동. 조선 태조비 강씨(康氏) 유지(遺址). | 충청남도 1-1권, 53쪽 | 원문에는 상세사항이 우리말 독음 칸에 기재되어 있었으므로 바로잡음 |
19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이인부곡 | 利仁部曲 | 반탄면 구암, 명룡, 송정, 산부곡 4리(里). 전(前) 찰방도(察訪道). | 충청남도 1-1권, 53쪽 | 원문에는 상세사항이 우리말 독음 칸에 기재되어 있었으므로 바로잡음 |
19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환선정 | 幻仙亭 | 반탄면 운암리. | 충청남도 1-1권, 53쪽 | - |
19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태실 | 胎室 | 목동면 태봉산. 조선 숙종조 태실. | 충청남도 1-1권, 53쪽 | 원문에는 상세사항이 우리말 독음 칸에 기재되어 있었으므로 바로잡음 |
20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두암 | 斗岩 | 신하면 두암리. | 충청남도 1-1권, 54쪽 | - |
20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효가리 | 孝家里 | 동부면 향효포리. | 충청남도 1-1권, 54쪽 | - |
20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정지방 | 亭止房 | 남부면 정지방. | 충청남도 1-1권, 54쪽 | - |
20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박산소 | 撲山所 | 남부면 박산소. | 충청남도 1-1권, 54쪽 | - |
20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이인산성 | 利仁山城 | 반탄면 이인. | 충청남도 1-1권, 54쪽 | - |
20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양화산성 | 良化山城 | 익구곡면. | 충청남도 1-1권, 54쪽 | - |
20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신풍산성 | 新豐山城 | 신상면 유구리. | 충청남도 1-1권, 54쪽 | - |
20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유성산성 | 儒城山城 | 현내면 유성. | 충청남도 1-1권, 54쪽 | - |
20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비명 | 古碑名 | 망일사은비 | 望日思恩碑 | 동부면 산성. | 충청남도 1-1권, 54쪽 | - |
20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비명 | 古碑名 | 효자이복비 | 孝子李福碑 | 동부면 옥룡동. | 충청남도 1-1권, 54쪽 | - |
21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비명 | 古碑名 | 효자향덕비 | 孝子向德碑 | 동부면 향효포리. | 충청남도 1-1권, 55쪽 | - |
21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비명 | 古碑名 | 영규대사비 | 靈奎大師碑 | 익구곡면 갑사. | 충청남도 1-1권, 55쪽 | - |
21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공주군 | 公州郡 | - | - | 고비명 | 古碑名 | 신도비 | 神道碑 | 명탄면 명촌리. 이경억(李慶億), 호 화곡(華谷)의 신도비. | 충청남도 1-1권, 55쪽 | 원문에는 상세사항이 우리말 독음 칸에 기재되어 있었으므로 바로잡음 |
21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기군 | 燕岐郡 | 북일면 | 北一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토흥부곡 | 土興部曲 | 북일면 옥동. 내력은 불명. | 충청남도 1-1권, 174쪽 | - |
21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기군 | 燕岐郡 | 북일면 | 北一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연천소 | 燕川所 | 유래 불명. 현재 없음. | 충청남도 1-1권, 174쪽 | - |
21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진잠군 | 鎭岑郡 | 북면 | 北面 | 고비명 | 古碑名 | 열녀옥선비 | 烈女玉先碑 | 병면 내동 앞. 열녀 관비 옥선(玉先)이 그 남편 이세기(李世杞)가 죽자 수장(水醬)을 입에 들이지 않고 밤낮 울다가 자진했다. 이 사실로 인해 정려를 받았다. | 충청남도 1-1권, 240쪽 | 원문의 水醬不入口는 식음을 전폐했다는 표현으로 보임 |
21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외성면 | 外城面 | 고적명 | 古蹟名 | 양성당 | 養性堂 | 임리에 있다. | 충청남도 1-1권, 269쪽 | - |
21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외성면 | 外城面 | 고적명 | 古蹟名 | 외성 | 外城 | 임리에 있다. 군의 서쪽 10리에 있다. 속설에 전하길 삼국시대의 소축퇴지(所築頽地). | 충청남도 1-1권, 269쪽 | - |
21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벌곡면 | 伐谷面 | 고적명 | 古蹟名 | 정회당 | 靜會堂 | 상벌곡리에 있다. 선조 때 황강(黃岡) 김계휘(金繼輝)가 영남 지방을 다스릴[按節] 때 본읍(本邑) 많은 생도가 천호산 고운사에서 글을 읽었다. 글과 식량을 구하기 어려운 사정을 호소하니 (김계휘가) 책과 쌀 300석을 내려 인근 각읍의 고마(雇馬)에 실어 생도들에게 날라 주었다. | 충청남도 1-1권, 276쪽 | - |
21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벌곡면 | 伐谷面 | 고적명 | 古蹟名 | 대승사 | 大乘寺 | 상벌곡리에 있다. | 충청남도 1-1권, 276쪽 | - |
22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양양소면 | 良陽所面 | 고적명 | 古蹟名 | 달리성 | 達里城 | 변동리에 있다. 대둔산 네 면 절벽을 깎아서 고리 모양의 옹벽을 세웠다. 성의 험준함은 하늘이 만들었으며 10,000명의 병사를 수용할 수 있다. 다만 우물과 샘이 많지 않아 성을 지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세간에 전하길, 고려시대의 토적(土賊) 달리(達里)라는 자가 웅거하여 산성을 지키고 방자하게 여염집을 침략했다. 이에 관군이 토벌에 나섰으나 성의 주위를 1년이 넘도록 지켜냈다. 이에 달리성이라 불렀으나 지금은 무너졌다. | 충청남도 1-1권, 283쪽 | - |
22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두마면 | 豆磨面 | 고적명 | 古蹟名 | 광소부곡 | 廣炤部曲 | 외광리에 있다. 군의 북쪽으로 20리에 있다. 지금은 폐지되었다. | 충청남도 1-1권, 288쪽 | - |
22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식한면 | 食汗面 | 고적명 | 古蹟名 | 상암사 | 上庵寺 | 음촌리에 있다. | 충청남도 1-1권, 293쪽 | - |
22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식한면 | 食汗面 | 고적명 | 古蹟名 | 불암사 | 佛庵寺 | 당암리에 이씨다. | 충청남도 1-1권, 293쪽 | - |
22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식한면 | 食汗面 | 고적명 | 古蹟名 | 개태사 | 開泰寺 | 개태리에 있다. 수백년 전 폐지. | 충청남도 1-1권, 293쪽 | - |
22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식한면 | 食汗面 | 고적명 | 古蹟名 | 만운사 | 萬雲寺 | 향한리에 있다. | 충청남도 1-1권, 293쪽 | - |
22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식한면 | 食汗面 | 고적명 | 古蹟名 | 이리성 | 伊里城 | 두솔산에 있다. 어느 시대에 지었는지 알 수 없다. 오래 전에 무너졌다. | 충청남도 1-1권, 294쪽 | - |
22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식한면 | 食汗面 | 고적명 | 古蹟名 | 백제성 | 百濟城 | 교동에 있다. | 충청남도 1-1권, 294쪽 | - |
22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부인처면 | 夫人處面 | 고적명 | 古蹟名 | 부인당 | 夫人堂 | 고려시대에 사당을 세웠다. | 충청남도 1-1권, 301쪽 | - |
22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적사곡면 | 赤寺谷面 | 고적명 | 古蹟名 | 충곡서원 | 忠谷書院 | 충곡리에 있다. 지금은 폐지되었다. | 충청남도 1-1권, 306쪽 | - |
23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적사곡면 | 赤寺谷面 | 고적명 | 古蹟名 | 대휴정 | 大休亭 | 군의 남쪽 13리 시내[溪上]에 있다. 중종 때 김겸광(金謙光)의 손자 편(扁)이 대휴라고 불렀고 그 아들인 광천(光川)이 고을을 인자하게 다스리며 중수했다. | 충청남도 1-1권, 306쪽 | - |
23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적사곡면 | 赤寺谷面 | 고적명 | 古蹟名 | 성선생유허비 | 成先生遺墟碑 | 충곡리. | 충청남도 1-1권, 306쪽 | - |
23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연산군 | 連山郡 | 적사곡면 | 赤寺谷面 | 고적명 | 古蹟名 | 휴정서원 | 休亭書院 | - | 충청남도 1-1권, 306쪽 | - |
23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김포면 | 金浦面 | 고비명 | 古碑名 | 미교비 | 渼橋碑 | 경운보의 옆에 있다. 지금으로부터 150년 전 석운산에서 동지와 모의하여 미교(渼橋)를 가설하여 이것을 중국으로 통하는 공로(公路)로 만들기 위해 비문에 그 사적(事蹟)을 기록했다. 그러나 지금은 변천하여 채소밭[田圃]의 한 줄기 작은 길이 되었다. | 충청남도 1-1권, 338쪽 | - |
23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채운면 | 彩雲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채운산 | 彩雲山 | 양지리 부근에 있다. 백제 의자왕이 유람하던 곳이다. | 충청남도 1-1권, 341쪽 | - |
23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채운면 | 彩雲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채운향 | 彩雲鄕 | 채운면을 가리키는 (현행) 지명일 확률이 높으나 왜 고적명소 부분에 특기하게 되었는지는 상세히 알 수 없다. 혹자는 말하길 백제시대 국왕의 유람지였던 채운산을 보호하기 위해 번소(番所)를 산 아래에 두었던 일이 있고, 뒷날 조선 중기에 이르러 관아의 위치를 이곳에 옮긴 일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유래에 의거하여 고적에 편입시키게 된 것이 아닐까. | 충청남도 1-1권, 341쪽 | - |
23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구자곡면 | 九子谷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소호산 | 蘇湖山 | 마산리의 옆에 있다. 취음정 터가 있다고 하나 그 흔적은 찾을 수 없다. 약천(藥泉)이 있어 피부병에 효험이 있다. | 충청남도 1-1권, 347쪽 | - |
23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하두면 | 下豆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마야산고성 | 摩耶山古城 | 매화산 안에 있다. 지금은 무너졌다. | 충청남도 1-1권, 351쪽 | - |
23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하두면 | 下豆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대정 | 大井 | 매화산 안에 있다. 지금은 매몰되었다. | 충청남도 1-1권, 351쪽 | - |
23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하두면 | 下豆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덕은당 | 德恩堂 | 하두면 화암리에 있었다는 말이 들리나 지금 그 터를 찾을 수는 없다. 다만 언덕[坂]은 덕은판이라는 이름을 간직하고 있다. | 충청남도 1-1권, 351쪽 | - |
24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상두면 | 上豆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고덕은 | 古德恩 | 육곡리에 있다. 원래 관아의 터이다. | 충청남도 1-1권, 356쪽 | - |
24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갈마면 | 葛麻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향람사적 | 鄕覽祠迹 | 함적동에 있다. 효자 강응정(姜應貞)을 기리는 사당의 터이다. | 충청남도 1-1권, 359쪽 | - |
24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가야곡면 | 可也谷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취성당 | 聚星堂 | 우지동에 있었다고 하나 지금 그 터를 찾을 수는 없다. | 충청남도 1-1권, 363쪽 | - |
24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화지산면 | 花枝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은진미륵 | 恩津彌勒 | 관촉사 경내에 있다. | 충청남도 1-1권, 369쪽 | - |
24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화지산면 | 花枝山面 | 고비명 | 古碑名 | 관촉사사적비 | 灌燭寺事蹟碑 | 관촉사 경내에 있다. 안동 본관의 권윤박(權倫撲)이 은진미륵의 유래를 기록했다. | 충청남도 1-1권, 369쪽 | - |
24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은진군 | 恩津郡 | 화산면 | 花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화산 | 花山 | 왜 고적명소에 편입시키게 되었는지는 상세하지 않다. 지금은 무릇 일독봉(一禿峯)이다. | 충청남도 1-1권, 371쪽 | - |
24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석성군 | 石城郡 | 현내면 | 縣內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파진산 | 波鎭山 | 산록에 작은 암자가 있다. 전우치(田禹治)라 하는 사람이 늘 이곳에서 글을 읽다가 산신으로부터 비결신술(秘訣神術)을 받아 세간에 유명해진 일로 인해 그 이름을 얻었다. | 충청남도 1-1권, 378쪽 | - |
24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석성군 | 石城郡 | 현내면 | 縣內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산성동 | 山城洞 | 봉병리에 있다. 삼한시대의 성터. | 충청남도 1-1권, 379쪽 | - |
24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석성군 | 石城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태조봉 | 太祖峰 | 백제 태조가 유람을 왔을 때 은잔(銀盞)으로 흐르는 샘물을 세 번 떠다 마셨다고 한다. | 충청남도 1-1권, 382쪽 | - |
24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석성군 | 石城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군장동 | 軍藏洞 | 당나라 장군 소정방(蘇定方)이 백제와 전쟁을 할 때 이곳에 주둔했다고 한다. | 충청남도 1-1권, 382쪽 | - |
25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임천군 | 林川郡 | 가화면 | 可化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어필각 | 御筆閣 | 하수리 뒤. | 충청남도 1-1권, 427쪽 | - |
25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한산군 | 韓山郡 | 북부면 | 北部面 | 고적명 | 古蹟名 | 석탑 | 石塔 | 내서리. 고려시대 □사(□寺) 유물. | 충청남도 1-2권, 4쪽 | - |
25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한산군 | 韓山郡 | 남하면 | 南下面 | 고비명 | 古碑名 | 신도비 | 神道碑 | 광현리. 옛 가정(稼亭) 이곡(李穀) 선생의 신도문. | 충청남도 1-2권, 16쪽 | - |
25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한산군 | 韓山郡 | 서하면 | 西下面 | 고비명 | 古碑名 | 신도비 | 神道碑 | 영모리. 옛 목은 이색 선생의 신도문. | 충청남도 1-2권, 24쪽 | - |
25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남부면 | 南部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장암진 | 長岩鎭 | 장암리. 원래 수군첨제영으로 삼았으며 개국 504년에 폐지했다. | 충청남도 1-2권, 50쪽 | - |
25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남부면 | 南部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백사정 | 白沙亭 | 백사리. 창설 및 폐지년대 불명. | 충청남도 1-2권, 50쪽 | - |
25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남부면 | 南部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망해정 | 望海亭 | 백사리. 창설 및 폐지년대 불명. | 충청남도 1-2권, 50쪽 | - |
25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서부면 | 西部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고읍성 | 古邑城 | 남산리. 지금까지 서주고읍 터였다고 세간에 전해진다. | 충청남도 1-2권, 55쪽 | - |
25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서부면 | 西部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봉대 | 烽臺 | 봉하리. 밤마다 봉화로서 어느 방면에 어느 사변(事變)이 있음을 통보했다. | 충청남도 1-2권, 55쪽 | - |
25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서부면 | 西部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영적모종 | 靈寂暮鍾 | 남산리. 본군(本郡) 8경 중의 하나이다. | 충청남도 1-2권, 55쪽 | - |
26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서부면 | 西部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장교만조 | 長橋滿潮 | 남산리. 본군(本郡) 8경 중의 하나이다. | 충청남도 1-2권, 55쪽 | - |
26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서부면 | 西部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우산낙조 | 牛山落照 | 산소리. 본군(本郡) 8경 중의 하나이다. | 충청남도 1-2권, 55쪽 | - |
26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판산면 | 板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길포귀범 | 吉浦歸帆 | 길산리. 당군(當郡) 8경 중의 하나이다. | 충청남도 1-2권, 60쪽 | - |
26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두산면 | 豆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임정소 | 林正所 | 노오리. 그 내력은 불명이다. | 충청남도 1-2권, 65쪽 | - |
26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두산면 | 豆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문조향 | 文照鄕 | 그 소재지는 불명이다. | 충청남도 1-2권, 65쪽 | - |
26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두산면 | 豆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초읍기지 | 焦邑基址 | 왕야리. 내력은 불명이다. 지금 명칭으로 서림군의 터이다. | 충청남도 1-2권, 65쪽 | - |
26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문장면 | 文章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봉림귀운 | 鳳林歸雲 | 등고리. 당군(當郡) 8경 중의 하나이다. | 충청남도 1-2권, 70쪽 | - |
26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개곡면 | 開谷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삼기관농 | 三岐觀農 | 서변리. 본군(本郡) 8경 중의 하나이다. | 충청남도 1-2권, 81쪽 | - |
26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개곡면 | 開谷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조곡폭포 | 鳥谷瀑布 | 기동. 본군(本郡) 8경 중의 하나이다. | 충청남도 1-2권, 81쪽 | - |
26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천군 | 舒川郡 | 개곡면 | 開谷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아성토월 | 鵝城吐月 | 동변리. 본군(本郡) 8경 중의 하나이다. | 충청남도 1-2권, 81쪽 | - |
27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비인군 | 庇仁郡 | 군내면 | 郡內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오층탑 | 五層塔 | 상병리에 있다. | 충청남도 1-2권, 90쪽 | - |
27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남포군 | 藍浦郡 | 신안면 | 新安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보리섬자마석 | 麥島自磨石 | 하기리. 최사립(崔斯立)이 시를 읊던 곳이라 한다. | 충청남도 1-2권, 130쪽 | - |
27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남포군 | 藍浦郡 | 웅천면 | 熊川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구진 | 舊馬梁鎭基 | 비인군으로 이설(移設)했다. 지금은 혁폐되었는데 그 해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 충청남도 1-2권, 134쪽 | - |
27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남포군 | 藍浦郡 | 고읍면 | 古邑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고람포 | 古藍浦 | 군의 남쪽 15리에 있다. 고현(古縣)의 옛터이며 없어진 해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 충청남도 1-2권, 136쪽 | - |
27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남포군 | 藍浦郡 | 심전면 | 深田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박평소 | 撲坪所 | 군의 동쪽 35리에 있다. 지금은 없어졌는데 그 해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 충청남도 1-2권, 150쪽 | - |
27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남포군 | 藍浦郡 | 북외면 | 北外面 | 고비명 | 古碑名 | 대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 大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 | 성주리. 신라시대 최치원이 봉교박(奉敎撲). | 충청남도 1-2권, 151쪽 | - |
27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홍산군 | 鴻山郡 | 외산면 | 外山面 | 명소명 | 名所名 | 화암대 | 花岩臺 | 구신리. 화암대는 이곳으로 유람을 왔던 옛날 기생의 이름이다. 그러므로 옛날 사람들이 이름을 화암대로 삼았다. 탑 하나가 지금도 그대로 있다고 한다. | 충청남도 1-2권, 198쪽 | - |
27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홍산군 | 鴻山郡 | 해미면 | 海尾面 | 명소명 | 名所名 | 독서암 | 讀書岩 | - | 충청남도 1-2권, 201쪽 | - |
27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홍산군 | 鴻山郡 | 해미면 | 海尾面 | 명소명 | 名所名 | 삼도 | 三島 | - | 충청남도 1-2권, 201쪽 | - |
27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홍산군 | 鴻山郡 | 상서면 | 上西面 | 명소명 | 名所名 | 기암 | 碁岩 | - | 충청남도 1-2권, 203쪽 | - |
28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현내면 | 縣內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평제탑 | 平濟塔 | (동산리 앞) 당나라 장군 소정방(蘇定方)이 백제를 평정하고 건립했다. | 충청남도 1-2권, 211쪽 | - |
28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현내면 | 縣內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낙화암 | 落花岩 | (부소산 뒤) 백제시대 궁녀가 나라의 멸망을 한탄하며 이 바위에 올라 강으로 몸을 던져 죽었다. | 충청남도 1-2권, 211쪽 | - |
28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현내면 | 縣內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조룡대 | 釣龍臺 | (백마강 상류) 당나라 장군이 군대를 진격시킬 때 바위 위에서 용을 낚은 곳이다. 바위 위에는 신발 자국이 있다. | 충청남도 1-2권, 211쪽 | - |
28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현내면 | 縣內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탄쌀 | 燒盡米 | (부소산) 백제시대 창고부지. 흙 속에 탄 쌀이 있다. | 충청남도 1-2권, 211쪽 | - |
28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현내면 | 縣內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산유화(노래) | 山有花 | 백제시대 농부가. | 충청남도 1-2권, 211쪽 | - |
28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현내면 | 縣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유인원비 | 劉仁願碑 | (부소산) 당나라 장군 유인원(劉仁願)이 백제를 평정할 때 건립했다. 지금 기원하는 새김글이 남아 있다. | 충청남도 1-2권, 212쪽 | - |
28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대방면 | 大方面 | 고적명 | 古蹟名 | 의염창 | 義鹽倉 | 하염리. 백제시대에 여기서 소금을 얻었다. | 충청남도 1-2권, 216쪽 | - |
28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초촌면 | 草村面 | 고적명 | 古蹟名 | 절탑 | 寺塔 | 탑동 앞. | 충청남도 1-2권, 219쪽 | - |
28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몽도면 | 蒙道面 | 고적명 | 古蹟名 | 의열사 | 義烈祠 | (석정리) 백제시대 충신들의 신위를 안치했다. 지금은 훼철되었다. | 충청남도 1-2권, 224쪽 | - |
28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도성면 | 道城面 | 고적명 | 古蹟名 | 천정대 | 天政臺 | 호암리 왼쪽 가장자리. 백제 의자왕이 정사를 보던 대(臺). | 충청남도 1-2권, 228쪽 | - |
29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도성면 | 道城面 | 고적명 | 古蹟名 | 대재각 | 大哉閣 | (백마강변) 바위 위에 이백강소비(李白江疏批)라고 새겨져 있다. | 충청남도 1-2권, 228쪽 | - |
29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천을면 | 淺乙面 | 고적명 | 古蹟名 | 자온대 | 自溫臺 | (규암진두) 백제왕이 유람을 떠날 때 바위 위에서 간신으로 하여금 불을 때도록 한 곳. | 충청남도 1-2권, 247쪽 | - |
29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부여군 | 扶餘郡 | 천을면 | 淺乙面 | 고적명 | 古蹟名 | 수북정 | 水北亭 | (규암리 뒤) 김흥국(金興國)이 건축했다. | 충청남도 1-2권, 247쪽 | - |
29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정산군 | 定山郡 | 읍면 | 邑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두릉산성 | 杜陵山城 | 백곡리. 연혁 미상. 옛터만이 있다. | 충청남도 1-2권, 255쪽 | - |
29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정산군 | 定山郡 | 대면 | 大面 | 고비명 | 古碑名 | 탑 | 塔 | 삼심동. 삼한시대로부터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는 있지만 연혁은 미상이다. | 충청남도 1-2권, 257쪽 | - |
29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정산군 | 定山郡 | 대면 | 大面 | 고비명 | 古碑名 | 탑 | 塔 | 고양동. 삼한시대로부터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는 있지만 내력은 미상이다. | 충청남도 1-2권, 257쪽 | - |
29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정산군 | 定山郡 | 목면 | 木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정문 | 旌門 | 대평동. 효자 윤광은(尹光殷), 충신 윤□등(尹□等)의 정려문이다. 조선 개국 300년 8월 모일 명정을 받았다. | 충청남도 1-2권, 269쪽 | - |
29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정산군 | 定山郡 | 목면 | 木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정문 | 旌門 | 하신대리. 효자 이담(李湛)의 정려문이다. 조선 개국 481년 9월 모일 명정을 받았다. | 충청남도 1-2권, 270쪽 | - |
29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정산군 | 定山郡 | 청면 | 靑面 | 고비명 | 古碑名 | 효자정문 | 孝子旌門 | 지곡리. 효자 윤빙(尹聘)의 정려문이다. 조선 개국 268년 명정을 받았다. | 충청남도 1-2권, 278쪽 | - |
29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정산군 | 定山郡 | 청면 | 靑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몽뢰정 | 夢賚亭 | 왕위리. 300년 전 능리에 살던 조씨(趙氏)라는 사람이 건축을 찬(讚)했다. | 충청남도 1-2권, 282쪽 | - |
30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정산군 | 定山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백곡리 | 白谷里 | 이 마을에 다른 고적은 없고 마을 뒤에 두릉산성이라 하는 대(垈) 외에 건물은 없다. | 충청남도 1-2권, 302쪽 | - |
30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정산군 | 定山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계봉산성 | 鷄鳳山城 | 백곡리. 명칭이 없고 두릉산성을 잘못 부른 것이다. | 충청남도 1-2권, 302쪽 | - |
30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영세불망비 | 永世不忘碑 | 읍내리. 현감 이창령(李昌齡)의 비. | 충청남도 1-2권, 305쪽 | - |
30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영세불망비 | 永世不忘碑 | 교촌. 현감 정대림(丁大林)의 비. | 충청남도 1-2권, 305쪽 | - |
30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영세불망비 | 永世不忘碑 | 교촌. 순찰사 민치상(閔致庠)의 비. | 충청남도 1-2권, 305쪽 | - |
30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영세불망비 | 永世不忘碑 | 교촌. 현감 박제영(朴齊瑛)의 비. | 충청남도 1-2권, 305쪽 | - |
30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영세불망비 | 永世不忘碑 | 교촌. 순찰사 신억(申檍)의 비. | 충청남도 1-2권, 305쪽 | - |
30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영세불망비 | 永世不忘碑 | 교촌. 현감 조남순(趙南淳)의 비. | 충청남도 1-2권, 305쪽 | - |
30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청덕선정비 | 淸德善政碑 | 교촌. 현감 김상현(金尙鉉)의 비. | 충청남도 1-2권, 305쪽 | - |
30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영세불망비 | 永世不忘碑 | 교촌. 현감 홍매섭(洪邁燮)의 비. | 충청남도 1-2권, 306쪽 | - |
31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적명 | 古蹟名 | 용바위 | 龍巖 | 서부리. 바위에 이름 두 자를 새겼다. 유래는 미상이다. | 충청남도 1-2권, 309쪽 | - |
31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적명 | 古蹟名 | 칼바위 | 劍巖 | 서부리. 유래는 미상이다. 바위 아래에 맑은 샘이 있어 큰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다. | 충청남도 1-2권, 309쪽 | - |
31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동상면 | 東上面 | 고비명 | 古碑名 | 거사비 | 去思碑 | 계정리. 현감 박신규(朴臣圭)의 비. | 충청남도 1-2권, 353쪽 | - |
31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동상면 | 東上面 | 고비명 | 古碑名 | 휼민선정비 | 恤民善政碑 | 계정리. 현감 이종덕(李鍾悳)의 비. | 충청남도 1-2권, 353쪽 | - |
31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청양군 | 靑陽郡 | 동상면 | 東上面 | 고비명 | 古碑名 | 영세불망비 | 永世不忘碑 | 계정리. 관찰사 심의신(沈宜臣)의 비. | 충청남도 1-2권, 353쪽 | - |
31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보령군 | 保寧郡 | 청소면 | 靑所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쌍효문 | 雙孝門 | 의식리. 우씨(禹氏)의 정려문. | 충청남도 1-2권, 395쪽 | - |
31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보령군 | 保寧郡 | 청소면 | 靑所面 | 고비명 | 古碑名 | 광성비 | 光城碑 | 재궁동. | 충청남도 1-2권, 395쪽 | - |
31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비명 | 古碑名 | 유격장군비 | 遊擊將軍碑 | 천동면 군동리. 유격장군비는 명나라 때 해적이 심히 번성하여 해안의 주민들이 스스로를 지킬 수 없으므로 명나라 조정으로부터 파견된 계공(季公, 이름은 알 수 없음)이 유격보호하니 이후 각처에 사는 백성들이 생업에 안정을 얻어 이를 위해 비와 각을 세움. | 충청남도 1-2권, 402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본 DB에서는 그중 고적에 해당하는 주석을 상세사항에 덧붙임. 원문에서는 계공의 이름을 알 수 없다 하였으나 실제 이름은 계금(季金)이라 함(디지털보령문화대전 "보령유격장군청덕비" http://aks.ai/GC08800399) |
31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고소성 | 姑蘇城 | 천동면 군동리. 고소성은 읍의 북쪽 가장자리 성밖에 소성강이 있고, 강 위에 큰 암석이 있어 비석과 같은 모양으로 서 있다. 그 석면 위에 ‘고소성’ 세 글자가 새겨져 있으므로 이 이름이 붙었다. | 충청남도 1-2권, 417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본 DB에서는 그중 고적에 해당하는 주석을 상세사항에 덧붙임. |
31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강선암 | 降仙岩 | 천동면 군동리. 강선암은 ‘고소성’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바위 오른쪽에 있다. (읍의) 북쪽 가장자리에 또 큰 암석이 있어 석면 위에 ‘강선암’ 세 글자가 새겨져 있으므로 이 이름이 붙었다. | 충청남도 1-2권, 417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본 DB에서는 그중 고적에 해당하는 주석을 상세사항에 덧붙임. |
32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고소대 | 姑蘇臺 | 천동면 군동리. 고소대는 ‘고소성’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강선암의 두 돌 위에 있는 땅이 평탄하여 그 터의 모양과 관련된 유래담이 있는지 물어본즉, 이곳에 옛날 대사(臺榭)가 있었다고 함. | 충청남도 1-2권, 418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본 DB에서는 그중 고적에 해당하는 주석을 상세사항에 덧붙임. |
32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영보정 | 永保亭 | 천동면 군동리. 영보정은 본래 읍병변성(邑竝邊城) 위와 고소대의 동쪽인 바, 옛사람들의 시판필적(詩板筆蹟)이 극기빈빈(極其彬彬)하다. 지난 무인년□의 仍爲回祿西其後의 略記一亭矣러니 이 또한 지금 없음. | 충청남도 1-2권, 418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본 DB에서는 그중 고적에 해당하는 주석을 상세사항에 덧붙임. |
32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악양루 | 岳陽樓 | 천동면 군서리. 악양루는 본래 영보정의 서쪽, 고소대의 동쪽에 있었다. 불과 2칸의 정자인 바 누정의 이름은 옛날 (중국) 강남의 악양루를 뜻하는지 확실하지 않다.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1-2권, 418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본 DB에서는 그중 고적에 해당하는 주석을 상세사항에 덧붙임. |
32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황학루 | 黃鶴樓 | 천북면. 황학루는 고소성 밖 서북쪽으로 강을 넘어 몇 리에 있는 바 영보정 고소대로부터 마주보는 모양이다. 한산사의 오른쪽에 있으나 누정의 이름은 역시 옛날 황학루를 가리키는지 확실하지 않다.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1-2권, 418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본 DB에서는 그중 고적에 해당하는 주석을 상세사항에 덧붙임. |
32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한산사 | 寒山寺 | 천북면. 한산사는 본래 황학루의 지척, 왼쪽 가장자리에 있는 바 본읍(本邑)이 옛날 절도영(節度營)이었을 때 당보사(塘報寺)로 삼았다.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1-2권, 418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본 DB에서는 그중 고적에 해당하는 주석을 상세사항에 덧붙임. |
32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삼상지 | 三湘池 | 하남면. | 충청남도 1-2권, 418쪽 | - |
32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삼형제바위 | 三兄弟岩 | 하남면. 삼형제바위는 하남면 육도 앞 바다에 있는 바 암석 3개의 모습이 사람 3형제가 절렬(節烈)하게 서 있는 모양과 같으므로 이렇게 부름. | 충청남도 1-2권, 418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본 DB에서는 그중 고적에 해당하는 주석을 상세사항에 덧붙임. |
32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전횡의사당 | 田橫廟 | 하남면 어청도. 전횡(田橫)의 사당은 하서면 어청도에 있다. 전횡이 (중국 제나라로부터) 이 섬에 와 살았는데 한나라 고제 때 부름을 받았다. 장안(長安)까지 30리에 못 미쳤을 때 스스로 죽으니 섬 백성 등이 이를 위하여 사당[廟]을 세우고 향사했다. | 충청남도 1-2권, 418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본 DB에서는 그중 고적에 해당하는 주석을 상세사항에 덧붙임. |
32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봉화대 | 烽火臺 | 천동면 율기동. 봉화대는 읍의 바깥 안산 높은 곳에 봉직(烽直)을 두어 혹여 변방에 경계가 있을 때 낮에는 연기를, 밤에는 불을 피워 경보로 사용했다.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1-2권, 418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그중 봉화대에 대한 주석은 공통된 내용으로 보이므로 본 DB에서는 오천군내 모든 "봉화대"에 해당 내용을 중복 수록함. |
32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봉화대 | 烽火臺 | 천북면 하궁. 봉화대는 읍의 바깥 안산 높은 곳에 봉직(烽直)을 두어 혹여 변방에 경계가 있을 때 낮에는 연기를, 밤에는 불을 피워 경보로 사용했다.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1-2권, 418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그중 봉화대에 대한 주석은 공통된 내용으로 보이므로 본 DB에서는 오천군내 모든 "봉화대"에 해당 내용을 중복 수록함. |
33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봉화대 | 烽火臺 | 하남면 원산도. 봉화대는 읍의 바깥 안산 높은 곳에 봉직(烽直)을 두어 혹여 변방에 경계가 있을 때 낮에는 연기를, 밤에는 불을 피워 경보로 사용했다.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1-2권, 419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그중 봉화대에 대한 주석은 공통된 내용으로 보이므로 본 DB에서는 오천군내 모든 "봉화대"에 해당 내용을 중복 수록함. |
33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봉화대 | 烽火臺 | 하남면 호도. 봉화대는 읍의 바깥 안산 높은 곳에 봉직(烽直)을 두어 혹여 변방에 경계가 있을 때 낮에는 연기를, 밤에는 불을 피워 경보로 사용했다.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1-2권, 419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그중 봉화대에 대한 주석은 공통된 내용으로 보이므로 본 DB에서는 오천군내 모든 "봉화대"에 해당 내용을 중복 수록함. |
33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봉화대 | 烽火臺 | 하남면 녹도. 봉화대는 읍의 바깥 안산 높은 곳에 봉직(烽直)을 두어 혹여 변방에 경계가 있을 때 낮에는 연기를, 밤에는 불을 피워 경보로 사용했다.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1-2권, 419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그중 봉화대에 대한 주석은 공통된 내용으로 보이므로 본 DB에서는 오천군내 모든 "봉화대"에 해당 내용을 중복 수록함. |
33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봉화대 | 烽火臺 | 하남면 외인도. 봉화대는 읍의 바깥 안산 높은 곳에 봉직(烽直)을 두어 혹여 변방에 경계가 있을 때 낮에는 연기를, 밤에는 불을 피워 경보로 사용했다.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1-2권, 419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그중 봉화대에 대한 주석은 공통된 내용으로 보이므로 본 DB에서는 오천군내 모든 "봉화대"에 해당 내용을 중복 수록함. |
33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오천군 | 鰲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봉화대 | 烽火臺 | 하남면 어청도. 봉화대는 읍의 바깥 안산 높은 곳에 봉직(烽直)을 두어 혹여 변방에 경계가 있을 때 낮에는 연기를, 밤에는 불을 피워 경보로 사용했다.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1-2권, 419쪽 | 원문에서 오천군의 모든 조목이 끝난 뒤 미주로 실린 해설이 있음. 그중 봉화대에 대한 주석은 공통된 내용으로 보이므로 본 DB에서는 오천군내 모든 "봉화대"에 해당 내용을 중복 수록함. |
33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해미군 | 海美郡 | 동면 | 東面 | 명소고적 | 名所古蹟 | 고산성 | 古山城 | 반계리. 내력 미상. | 충청남도 2-1권, 91쪽 | - |
33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해미군 | 海美郡 | 동면 | 東面 | 명소고적 | 名所古蹟 | 만리성 | 万里城 | 신흥리. 내력 미상. | 충청남도 2-1권, 91쪽 | - |
33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해미군 | 海美郡 | 동면 | 東面 | 명소고적 | 名所古蹟 | 남약천영당유지 | 南藥泉影堂遺址 | 수원동. 내력 미상. | 충청남도 2-1권, 91쪽 | - |
33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해미군 | 海美郡 | 이도면 | 二道面 | 명소고적 | 名所古蹟 | 상왕고도 | 象王古都 | 강당리. 내력 미상. | 충청남도 2-1권, 102쪽 | - |
33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해미군 | 海美郡 | 이도면 | 二道面 | 명소고적 | 名所古蹟 | 강당사유지 | 江堂寺遺址 | 강당리. 내력 미상. | 충청남도 2-1권, 102쪽 | - |
34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태안군 | 泰安郡 | 남면 | 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장명소 | 長命所 | 소재지 □벌리 해만(海灣). 夙著靈□歲 가뭄에 기우제를 지냈다. | 충청남도 2-1권, 111쪽 | - |
34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태안군 | 泰安郡 | 남면 | 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판목 | 安眠串 | 소재지 기온리. 연대기록이 없음. 토정 이지함 때에 굴착한 물길. | 충청남도 2-1권, 111쪽 | - |
34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태안군 | 泰安郡 | 북이면 | 北二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가시내 | 開市浦 | 소재지 관갈리. 군의 북쪽 40리에 있다. 옛날 수로로 진상품을 바쳤을 때[朝天之時] 흥했다. | 충청남도 2-1권, 129쪽 | - |
34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태안군 | 泰安郡 | 동이면 | 東二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고성 | 古泰安城 | 소재지 고굴리. 고려 인종이 그 行□으로 삼아 굴포치에 쌓은 토성. | 충청남도 2-1권, 137쪽 | - |
34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태안군 | 泰安郡 | 동이면 | 東二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굴포 | 掘浦 | 소재지 고굴리. 고려 인종이 조운로로 삼아 포(浦)를 파다가 완공하지 못하여 폐기되었다. | 충청남도 2-1권, 137쪽 | - |
34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산군 | 瑞山郡 | 대사동 | 大寺洞 | 고적명 | 古蹟名 | 석탑 | 石塔 | 잠동. | 충청남도 2-1권, 149쪽 | - |
34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산군 | 瑞山郡 | 군내면 | 郡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성암서원비 | 聖巖書院碑 | 원동. 서원이 훼철된 후 기념비를 세웠다. | 충청남도 2-1권, 166쪽 | - |
34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산군 | 瑞山郡 | 마산면 | 馬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용샘 | 龍泉 | 사장리. | 충청남도 2-1권, 179쪽 | - |
34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산군 | 瑞山郡 | 마산면 | 馬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여기정 | 女妓井 | 가전리. | 충청남도 2-1권, 179쪽 | - |
34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산군 | 瑞山郡 | 장현면 | 丈峴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용추 | 龍湫 | 외룡두리. | 충청남도 2-1권, 194쪽 | - |
35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산군 | 瑞山郡 | 장현면 | 丈峴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미륵 | 彌勒佛 | 연화리. | 충청남도 2-1권, 194쪽 | - |
35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산군 | 瑞山郡 | 지곡면 | 地谷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서령성 | 瑞寧城 | 부역동. 본군(本郡) 고지(古址)이다. | 충청남도 2-1권, 200쪽 | - |
35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산군 | 瑞山郡 | 동음암면 | 冬音巖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까치절미륵 | 鵲寺彌勒 | 지기리. 부처는 있으나 절은 없다. | 충청남도 2-1권, 213쪽 | - |
35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산군 | 瑞山郡 | 대산면 | 大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용천 | 湧泉 | 독곶리. | 충청남도 2-1권, 218쪽 | - |
35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산군 | 瑞山郡 | 대산면 | 大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용추 | 龍湫 | 독곶리. | 충청남도 2-1권, 218쪽 | - |
35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산군 | 瑞山郡 | 대산면 | 大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석어평 | 石魚坪 | 독곶리. | 충청남도 2-1권, 218쪽 | - |
35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서산군 | 瑞山郡 | 대산면 | 大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첨사진터 | 舊僉使鎭址 | 산전리. | 충청남도 2-1권, 218쪽 | - |
35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면천군 | 沔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군자지 | 君子池 | 성내리. 고려 공민왕 때 지주사 곽충룡(郭翀龍)을 예(瑿)하여 연꽃 씨에 이름을 붙여 ‘군자지’라 했다. 연못의 중앙에 있는 정자를 ‘군자정’이라 이름 붙였다. | 충청남도 2-1권, 248쪽 | - |
35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면천군 | 沔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하준정 | 衢樽亭 |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2-1권, 248쪽 | - |
35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면천군 | 沔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강하정 | 康衢亭 |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2-1권, 248쪽 | - |
36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면천군 | 沔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치의당 | 緇衣堂 |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2-1권, 248쪽 | - |
36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면천군 | 沔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도촌소 | 杶村所 |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2-1권, 248쪽 | - |
36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면천군 | 沔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온월부곡 | 溫月部曲 |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2-1권, 249쪽 | - |
36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면천군 | 沔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가리저부곡 | 加里渚部曲 | 지금은 없음. | 충청남도 2-1권, 249쪽 | - |
36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면천군 | 沔川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몽산성지 | 蒙山城址 | 북문리 몽산. 고려시대(연대 미상)에 몽산에 군을 두어 성을 쌓았으나, 조선 초에 군을 폐지하고 면천부를 두어 중군영을 설치했다. 지금은 그 성터만 있다. | 충청남도 2-1권, 249쪽 | - |
36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덕산군 | 德山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이산진 | 伊山鎭 | - | 충청남도 2-1권, 342쪽 | - |
36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덕산군 | 德山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의마장 | 義馬場 | - | 충청남도 2-1권, 342쪽 | - |
36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덕산군 | 德山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금탑운제 | 金塔雲梯 | - | 충청남도 2-1권, 342쪽 | - |
36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덕산군 | 德山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암상고자 | 岩上古字 | - | 충청남도 2-1권, 342쪽 | - |
36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덕산군 | 德山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죽정 | 竹亭 | - | 충청남도 2-1권, 342쪽 | - |
37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덕산군 | 德山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고덕산 | 古德山 | - | 충청남도 2-1권, 342쪽 | - |
37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덕산군 | 德山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신곡소 | 薪谷所 | - | 충청남도 2-1권, 342쪽 | - |
37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홍주군 | 洪州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홍부원군사당 | 洪可臣祠 | 백월산(상봉). 이몽학의 난 때 정란공신(靖亂功臣). | 충청남도 2-1권, 346쪽 | 표제어의 홍부원군은 홍가신을 뜻함(디지털아산문화대전 "홍가신" http://aks.ai/GC07100688) |
37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대흥군 | 大興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임존성 | 任存城 | 상리. 백제시대에 수축했으나 연대가 오래되어 기록 등 의지할 만한 사료가 없어졌다. | 충청남도 2-2권, 4쪽 | - |
37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대흥군 | 大興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김상공분비 | 金相公墳碑 | 동북리. | 충청남도 2-2권, 4쪽 | - |
37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대흥군 | 大興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비명 | 古碑名 | 이성만비 | 李成萬碑 | 중리. | 충청남도 2-2권, 4쪽 | - |
37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대흥군 | 大興郡 | 이남면 | 二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태봉 | 胎峰 | 송우리. 내력은 연대가 오래되어 미상이다. | 충청남도 2-2권, 13쪽 | - |
37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대흥군 | 大興郡 | 거변면 | 居邊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거변소 | 居邊所 | 가지동. | 충청남도 2-2권, 20쪽 | - |
37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대흥군 | 大興郡 | 내북면 | 內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고려태봉 | 高麗胎封 | 후동. 내력은 미상이다. | 충청남도 2-2권, 35쪽 | - |
37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대흥군 | 大興郡 | 내북면 | 內北面 | 고비명 | 古碑名 | 고려태봉비 | 胎封碑 | 후동. | 충청남도 2-2권, 35쪽 | - |
38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대흥군 | 大興郡 | 외북면 | 外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닭채산산신당 | 鷄山山神堂 | 외계정리. 최현(崔賢) 장군의 출생지. | 충청남도 2-2권, 39쪽 | - |
38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예산군 | 禮山郡 | 군내면 | 郡內面 | 고적 | 古蹟 | 요도 | 蓼島 | - | 충청남도 2-2권, 47쪽 | - |
38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예산군 | 禮山郡 | 군내면 | 郡內面 | 고적 | 古蹟 | 무한성 | 無限城 | 옛날에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내력 미상. | 충청남도 2-2권, 47쪽 | - |
38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예산군 | 禮山郡 | 군내면 | 郡內面 | 고적 | 古蹟 | 효자방맹문 | 孝子方萌門 | 내력 미상. | 충청남도 2-2권, 47쪽 | - |
38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예산군 | 禮山郡 | 대지동면 | 大支東面 | 고적 | 古蹟 | 태봉 | 胎峯 | 궐곡. 왕자 아기씨[河只氏] 태실. | 충청남도 2-2권, 59쪽 | - |
38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예산군 | 禮山郡 | 대지동면 | 大支東面 | 고비명 | 古碑名 | 생원허명묘비 | 生員許銘墓碑 | 백사동. | 충청남도 2-2권, 59쪽 | - |
38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예산군 | 禮山郡 | 대지동면 | 大支東面 | 고비명 | 古碑名 | 상국이해산묘비 | 上國李海山墓碑 | 양산리. | 충청남도 2-2권, 59쪽 | - |
38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예산군 | 禮山郡 | 입암면 | 立岩面 | 고비명 | 古碑名 | 김한개비 | 金漢蓋碑 | 궁룡리. | 충청남도 2-2권, 61쪽 | - |
38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예산군 | 禮山郡 | 두촌면 | 豆村面 | 고비명 | 古碑名 | 김구비 | 金銶碑 | 종창리. | 충청남도 2-2권, 71쪽 | - |
38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신창군 | 新昌郡 | 소동면 | 小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소적벽 | 小赤壁 | 지금은 없다. 화달리 고산봉 아래(유래 미상). | 충청남도 2-2권, 92쪽 | - |
39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신창군 | 新昌郡 | 대서면 | 大西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초정천 | 椒井泉 | 태자평에 기술되어 있다. | 충청남도 2-2권, 101쪽 | - |
39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아산군 | 牙山郡 | - | - | 고비명 | 古碑名 | 거북비 | 龜碑 | 일북면 삼거리. 출무공 이순신 행적비. | 충청남도 2-2권, 111쪽 | - |
39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아산군 | 牙山郡 | - | - | 고비명 | 古碑名 | 신도비 | 神道碑 | 원남면 대동. 홍만전(洪晩全) 가신비. | 충청남도 2-2권, 111쪽 | - |
39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아산군 | 牙山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백련암 | 白蓮庵 | 이북면. 철봉 뒤. 지금은 폐사되었다. | 충청남도 2-2권, 116쪽 | - |
39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아산군 | 牙山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개현사 | 開現寺 | 일동면. 월랑리 뒤.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 충청남도 2-2권, 116쪽 | - |
39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아산군 | 牙山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현충사 | 顯忠祠 | 원남면. 백암. 충무공 이순신 유허. | 충청남도 2-2권, 116쪽 | - |
39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아산군 | 牙山郡 | 원남면 | 遠南面 | 고비명 | 古碑名 | 신도비 | 神道碑 | 대동. 홍만전(洪晩全) 가신비. | 충청남도 2-2권, 135쪽 | - |
39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아산군 | 牙山郡 | 원남면 | 遠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현충사 | 顯忠祠 | 백암. 충무공 이순신 유적. | 충청남도 2-2권, 135쪽 | - |
39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아산군 | 牙山郡 | 일동면 | 一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개현사 | 開現寺 | 월랑리 뒤. 지금은 유허만 남아 있다. | 충청남도 2-2권, 137쪽 | - |
39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아산군 | 牙山郡 | 일북면 | 一北面 | 고비명 | 古碑名 | 거북비 | 龜碑 | 삼거리. 충무공 이순신 행적비. | 충청남도 2-2권, 145쪽 | - |
40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아산군 | 牙山郡 | 이북면 | 二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백련암 | 白蓮庵 | 철봉 뒤. 지금은 폐사되었다. | 충청남도 2-2권, 149쪽 | - |
40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온양군 | 溫陽郡 | 서면 | 西面 | 고비명 | 古碑名 | 신정비 | 神井碑 | 온천리. 조선 세조가 일찍이 온탕에 이르렀을 때 신령스러운 샘[神泉]이 홀연히 용출하였으므로 명을 내려 우물을 만들었다. | 충청남도 2-2권, 189쪽 | - |
40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온양군 | 溫陽郡 | 서면 | 西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신정 | 神井 | 온천리. 조선 세조가 일찍이 온탕에 이르렀을 때 신령스러운 샘[神泉]이 홀연히 용출하였으므로 명을 내려 우물을 만들었다. | 충청남도 2-2권, 192쪽 | - |
40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온양군 | 溫陽郡 | 서면 | 西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벼락바위 | 霹靂岩 | 청당리. 옛날 정신(鄭信)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어머니에게 힘써 효도를 했다. 하늘이 그 성의에 감복하여 벼락을 이 바위에 떨어뜨려 은을 하사하였으므로 이 이름이 붙었다. | 충청남도 2-2권, 192쪽 | - |
40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전의군 | 全義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고려성 | 高麗城 | 고려산(내력 미상). | 충청남도 2-2권, 223쪽 | - |
40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전의군 | 全義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한석정 | 寒石亭 | 하대천리. 박팽년 강당. 지금은 파괴되었다. | 충청남도 2-2권, 223쪽 | - |
40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전의군 | 全義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독송정 | 獨松亭 | 하대천리. 박팽년 강당. 지금은 파괴되었다. | 충청남도 2-2권, 223쪽 | - |
40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전의군 | 全義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석정 | 石亭 | 하대천리. 박팽년 강당. 지금은 파괴되었다. | 충청남도 2-2권, 223쪽 | - |
40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전의군 | 全義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사관정 | 四觀亭 | 하대천리. 이상[李翔, 호 타우(打愚)] 강당. 그 자손이 수호하고 있다. | 충청남도 2-2권, 223쪽 | - |
40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유왕동 | 留王洞 | 옛날 온조왕이 와서 머무른 일이 있었으므로 이 이름이 붙었다. | 충청남도 2-2권, 230쪽 | - |
41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위례고성 | 慰禮古城 | 성거산 위에 있다. | 충청남도 2-2권, 230쪽 | - |
41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장군평 | 將軍坪 | 옛날 전쟁이 일어났던 곳이므로 이 이름이 붙었다. | 충청남도 2-2권, 231쪽 | - |
41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상진유허 | 尙震遺址 | 남화리에 있다. | 충청남도 2-2권, 231쪽 | - |
41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읍내면 | 邑內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기우단 | 祈雨壇 | 흑성산에 있다. | 충청남도 2-2권, 231쪽 | - |
41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채상유지 | 蔡相遺址 | 은석산 서림록의 아래. 채동(蔡洞)이라 불리는 곳이다. | 충청남도 2-2권, 237쪽 | - |
41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의구비 | 義狗碑 | 옛날에 구항리 사람이 개를 이끌고 구항령을 넘을 때 큰 재난을 만났다. 기르는 개가 스스로 재난에 맞서 죽으니, 이 사실에 의거하여 비를 건립했다. | 충청남도 2-2권, 237쪽 | - |
41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오야매방축 | 男妹防築 | 옛날에 진씨(陳氏) 남매가 큰 돈을 대어 이를 개착했다. | 충청남도 2-2권, 237쪽 | - |
41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복구정 | 伏龜亭 | 복구정천의 천변에 있는 정자에 옛사람의 제주시(題柱詩)가 있다. | 충청남도 2-2권, 237쪽 | - |
41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북면 | 北面 | 고적명소 | 古蹟名所 | 이어담 | 鯉魚潭 | 효자 서만(徐萬)이 얼음을 깨어 잉어를 낚은 장소로서 경치가 좋다. | 충청남도 2-2권, 237쪽 | - |
41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갈전면 | 葛田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병풍바위 | 屛風岩 | 명산석리에 있다. 바위에 봄 꽃철과 가을 단풍철에 행락객들이 많다. | 충청남도 2-2권, 244쪽 | - |
42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갈전면 | 葛田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김시민유지 | 金時敏遺址 | 백전에 있다. | 충청남도 2-2권, 244쪽 | - |
42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갈전면 | 葛田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한강정 | 寒崗亭 | 반계동에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 충청남도 2-2권, 244쪽 | - |
42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갈전면 | 葛田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도원동 | 桃源洞 | 마을의 이름으로서 홍봉조(洪鳳祚)의 팔경시(八景詩)가 있다. | 충청남도 2-2권, 244쪽 | - |
42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갈전면 | 葛田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칠성암 | 七星岩 | 갈전천의 □에 있다. 바위의 경치가 좋다. | 충청남도 2-2권, 244쪽 | - |
42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갈전면 | 葛田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삭석대 | 削石臺 | 덕신리 앞 냇물에 기암(奇岩)이 있다. 그 위에 우암 송시열이 새긴 글이 있다. | 충청남도 2-2권, 245쪽 | - |
42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갈전면 | 葛田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유허비 | 遺墟碑 | 반계동의 입구 작은 산의 위에 한반계(韓磻溪)의 유허비가 있다. | 충청남도 2-2권, 245쪽 | - |
42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일동면 | 一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선랑암 | 仙郞岩 | 산북리 시내 위에 있는 바위. 옛날 홍수가 일어났을 때 한 선랑(仙郞)이 바위에 올라탄 채 진천으로부터 부유(浮游)해 갔다고 한다. | 충청남도 2-2권, 249쪽 | - |
42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일동면 | 一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낙수암 | 落水岩 | 경치가 좋아 우암 송시열이 이 이름을 붙였다. | 충청남도 2-2권, 249쪽 | - |
42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일동면 | 一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군량평 | 軍粮坪 | 옛날 전쟁 때 이곳에 군량을 분배했다고 한다. | 충청남도 2-2권, 249쪽 | - |
42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이동면 | 二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북단나무 | 懸鼓樹 | 옛날 김일손(金馹孫)이라고 하는 사람이 산호수(珊瑚樹)의 가지에 큰 북을 걸었다. 지금은 없다. | 충청남도 2-2권, 254쪽 | - |
43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이동면 | 二東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귀암정 | 龜岩亭 | 귀암리에 있다. 옛날 김호자(金昈子)라고 하는 사람이 건립했다. | 충청남도 2-2권, 255쪽 | - |
43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남면 | 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태봉 | 胎峯 | 고려조에 태를 묻은 곳이다. | 충청남도 2-2권, 260쪽 | - |
43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남면 | 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다인현 | 多仁縣 | 태양리에 돌기둥이 있어 ‘다인현’이라는 세 글자가 조각되어 있다. | 충청남도 2-2권, 260쪽 | - |
43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남면 | 南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한절우 | 大寺洞 | 주춧돌과 석탑의 유물이 있다. | 충청남도 2-2권, 260쪽 | - |
43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서면 | 西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안시현유지 | 安時賢遺址 | 원동에 있다. | 충청남도 2-2권, 264쪽 | - |
43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서면 | 西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열녀비 | 烈女碑 | 옛날 호랑이가 나와 남편을 물었을 때, 그 부인이 스스로 호랑이 앞에 맞서서 먹이가 됨으로써 남편을 구했다. 이 사실에 의거하여 마을 사람들이 이 비를 세웠다. 신흥리에 있다. | 충청남도 2-2권, 264쪽 | - |
43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목천군 | 木川郡 | 세성면 | 細城面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도잠골 | 陶潛洞 | 옛날 황자해(黃字海)의 유지(遺址)이다. | 충청남도 2-2권, 269쪽 | - |
43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천안군 | 天安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고려태조묘 | 高麗太祖廟 | 상리면 유량동. | 충청남도 2-2권, 282쪽 | - |
43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천안군 | 天安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왕자성 | 王字城 | 상리면 상촌리. | 충청남도 2-2권, 282쪽 | - |
43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천안군 | 天安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고정 | 鼓庭 | 상리면 상촌리. | 충청남도 2-2권, 282쪽 | - |
440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천안군 | 天安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풍세현 | 豊歲縣 | 원일면 당하리. | 충청남도 2-2권, 282쪽 | - |
441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천안군 | 天安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모산부곡 | 毛山部曲 | 아산군. | 충청남도 2-2권, 282쪽 | - |
442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천안군 | 天安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신종부곡 | 新宗部曲 | 예산군. | 충청남도 2-2권, 283쪽 | - |
443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천안군 | 天安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덕흥부곡 | 德興部曲 | 신창군. | 충청남도 2-2권, 283쪽 | - |
444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천안군 | 天安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돈의향 | 頓義鄕 | 아산군. | 충청남도 2-2권, 283쪽 | - |
445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천안군 | 天安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성주갈평 | 聖主歇坪 | 원일면 대거리. | 충청남도 2-2권, 283쪽 | - |
446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천안군 | 天安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취음정 | 就陰亭 | 원서면 용두리. | 충청남도 2-2권, 283쪽 | - |
447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천안군 | 天安郡 | - | - | 고적명소명 | 古蹟名所名 | 여계연 | 麗桂淵 | 원일면 덕암. | 충청남도 2-2권, 283쪽 | - |
448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직산군 | 稷山郡 | 이북면 | 二北面 | 고비명 | 古碑名 | 중의비 | 僧道碑 | 홍경리. 고려 현종 때 金僧逈兢 창립. | 충청남도 2-2권, 325쪽 | - |
449 | 충청남도 | 忠淸南道 | 평택군 | 平澤郡 | 서면 | 西面 | 고비명 | 古碑名 | 홍학사비 | 洪學士碑 | 경정리. 홍학사는 □□ 홍익한(洪翼漢)으로 300년 전 석비를 세워 그 의절을 표창했다. | 충청남도 2-2권, 352쪽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