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GIS 연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0번째 줄: | 50번째 줄: | ||
** 기경량, 2018, 『GIS 정보와 고지도를 활용한 고구려의 주요 교통로 및 거점 복원』 연구보고서, 한국연구재단. [https://www.riss.kr/link?id=G3751911] | ** 기경량, 2018, 『GIS 정보와 고지도를 활용한 고구려의 주요 교통로 및 거점 복원』 연구보고서, 한국연구재단. [https://www.riss.kr/link?id=G3751911] | ||
− | == | + | == 근대지형도 and GIS == |
* 박선영 | * 박선영 | ||
** 박선영, 2023, 1:10,000 한국 근대지형도의 특징과 「진주」 도엽의 문화적 요소, 『한국고지도연구』.169-198.[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4021] | ** 박선영, 2023, 1:10,000 한국 근대지형도의 특징과 「진주」 도엽의 문화적 요소, 『한국고지도연구』.169-198.[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4021] |
2024년 9월 6일 (금) 14:59 판
고지도 and 디지털 and GIS
- 김현종
- 김현종, 2023, 「『대동여지도』 도로 방점 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5(2), 119-140쪽. [1]
- 김현종, 2023, 「조선 후기 대구와 인접 군현간 교통로 복원 - 「여지도서(輿地圖書)」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교통정보를 중심으로」, 22(2), 1-35쪽. [2]
- 김현종, 2022, 「고지도의 지리정보 중첩 분석을 위한“통합방안체계”의 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67-193쪽. [3]
- 김현종, 2021, 『조선시대 경기도의 군현경계 인식과 재현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 김현종, 2017, 『조선시대 교통로 복원과 공간 데이터베이스 설계 : 경기도 광주부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 이상일, 조대헌
- 강지현
- 고아라
- 오윤주
- 박선영
- 박선영, 2024, 「19세기 한글본 서울지도 경조오부도와 한성부지도」, 『기전문화』, 45(1), 157-179쪽. [14]
- 이옥선
- 이옥선, 2012, 「디지털 동여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기반 고지도 서비스」, 『문화역사지리』, 24(1), 76-94쪽. [15]
- 민경주, 정만호
- 민경주, 정만호, 2022, 「디지털 대동여지도 개발과 인문 소프트웨어 개발 방향」, 『한문학논집』, 205-240쪽. [16]
- 박경식
- 박경식, 2010, 「고지도와 사진에 의한 월미도의 3차원 영상 복원」, 『한국측량학회지』, 28(1), 117-124쪽. [17]
- 서정신
- 서정신, 2000, 「고지도와 디지털 내비게이션」, 『영상문화』, 2, 41-53쪽. [18]
- 권지은, 이지민
- 권지은, 이지민, 2022, 「디지털 매체와 기술을 활용한 회화 문화재 복원 모사 방법 연구-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보물 <대동총도>모사본 제작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문화연구』, 23, 37-74쪽. [19]
- 이민철
- 이민철, 2011, 『구글 위성지도로 구현한 대동여지도의 지리정보 : 강원도 지역 山城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 이준학, 백상호
- 이준학, 백상호, 2015, 「GIS기반 군 관측소 입지분석 연구」, 『한국군사학논집』, 71(1), 131-147쪽. [21]
- 기경량
- 기경량, 2018, 『GIS 정보와 고지도를 활용한 고구려의 주요 교통로 및 거점 복원』 연구보고서, 한국연구재단. [22]
근대지형도 and GIS
- 박선영
- 박선영, 2023, 1:10,000 한국 근대지형도의 특징과 「진주」 도엽의 문화적 요소, 『한국고지도연구』.169-198.[23]
- 박선영(정부매, 최진무, 정암 공저), 2023, 근대지형도 수록 지명의 가타카나 표기 특징 분석 -인천광역시 자연지명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24]
- 박선영, 2022, 근대지형도의 지명과 기호로 본 평양의 장소성, 『한국고지도연구』.[25]
- 박선영, 2021,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조선지형도(제2차지형도)의 특징 -국립중앙박물관과 스탠포드대학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26]
- 박선영, 2019,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특징– 국내외 주요 소장처를 중심으로 -, 『한국고지도연구』.[27]
- 양윤정
- 양윤정, 2010, 『미국 의회도서관 소장 19세기 후반 한반도 비밀군사지도』,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