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행정구역 D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DB 개요)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DB 공유(★new) == | == DB 공유(★new) == | ||
− | * [[조선시대_행정구역_이력_요약]] : | + | * [[조선시대_행정구역_이력_요약]] : [[Media:조선시대_행정구역_이력_요약.xlsx|【다운로드(xlsx)】]] |
− | * [[조선시대_행정구역_이력]] : | + | * [[조선시대_행정구역_이력]] : [[Media:조선시대_행정구역_이력.xlsx|【다운로드(xlsx)】]] |
− | * [[조선시대_행정구역_세종실록지리지]] : | + | * [[조선시대_행정구역_세종실록지리지]] : [[Media:조선시대_행정구역_세종실록지리지_목록.xlsx|【다운로드(xlsx)】]] |
* [[조선시대_읍치_이력]] : <구축중> / <향후 xlsx로 공개> | * [[조선시대_읍치_이력]] : <구축중> / <향후 xlsx로 공개> | ||
* 조선시대 연단위 시계열 폴리곤(1392-1914) : <구축중> / <향후 gpkg로 공개> | * 조선시대 연단위 시계열 폴리곤(1392-1914) : <구축중> / <향후 gpkg로 공개> | ||
* 조선시대 연단위 읍치 포인트(1392-1914) : <구축중> / <향후 gpkg로 공개> | * 조선시대 연단위 읍치 포인트(1392-1914) : <구축중> / <향후 gpkg로 공개> | ||
+ | ※ 개별 DB는 위키 페이지보다 원본 파일이 최신 정보임 | ||
== DB 개요 == | == DB 개요 == | ||
27번째 줄: | 28번째 줄: | ||
** 본 DB에 오류가 발견된 경우, unqtsi@gmail.com에 오류 신고. | ** 본 DB에 오류가 발견된 경우, unqtsi@gmail.com에 오류 신고. | ||
** 인용 표기 : 「조선시대 행정구역 DB」, 202X년 X월 기준, 역지사지(https://www.hisgeo.info). | ** 인용 표기 : 「조선시대 행정구역 DB」, 202X년 X월 기준, 역지사지(https://www.hisgeo.info). | ||
+ | * 외부 자료 라이선스 | ||
+ | **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지리정보DB, 개방데이터셋, 행정구역 GIS 데이터. [https://db.history.go.kr/hgis/pro_g1/dataset.do] | ||
+ | *** '조선시대 행정구역 DB' 구축에 기반 GIS 데이터로 활용 | ||
== DB 구축 원칙 == | == DB 구축 원칙 == | ||
51번째 줄: | 55번째 줄: | ||
== 역사GIS 기반 조선시대 행정구역 복원의 역사 == | == 역사GIS 기반 조선시대 행정구역 복원의 역사 == | ||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 [http://www.atlaskorea.org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 [http://www.atlaskorea.org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 ||
− | ** [https://www.riss.kr/link?id= | + | ** [https://www.riss.kr/link?id=T8185725 김종혁, 2001, 『조선시대 한강유역의 교통로와 장시』, 부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 [https://www.riss.kr/link?id=A30034198 김종혁, 2003, 「조선시대 행정구역 복원과 베이스맵 작성」, 『민족문화연구』.] | ** [https://www.riss.kr/link?id=A30034198 김종혁, 2003, 「조선시대 행정구역 복원과 베이스맵 작성」, 『민족문화연구』.] | ||
** [https://www.riss.kr/link?id=A104602711 김종혁, 2003, 「조선시대 행정구역 변동과 복원」, 『문화역사지리』.] | ** [https://www.riss.kr/link?id=A104602711 김종혁, 2003, 「조선시대 행정구역 변동과 복원」, 『문화역사지리』.] | ||
− | * 연세대ㆍ서강대 :「동북아역사지도」, | + | * 연세대ㆍ서강대 :「동북아역사지도」, 비공개 |
** [https://iupress.org/9780253022448/placing-names 김유철, 윤병남, 김종혁, 김현종, 「The Yeosi Project Finding a Place in Northeast Asia Through History」, 『Placing Names Enriching and Integrating Gazetteers』, 인디애나대학출판사, 2016.] | ** [https://iupress.org/9780253022448/placing-names 김유철, 윤병남, 김종혁, 김현종, 「The Yeosi Project Finding a Place in Northeast Asia Through History」, 『Placing Names Enriching and Integrating Gazetteers』, 인디애나대학출판사, 2016.] | ||
** [http://contents.nahf.or.kr/id/NAHF.bg.d_0358 동북아역사지도편찬위원회, 2016, 「GIS를 이용한 <동북아 역사지도> 제작 원리와 작업 과정」, 『역사지도집의 개념과 제작 방법론』,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87-114쪽.] | ** [http://contents.nahf.or.kr/id/NAHF.bg.d_0358 동북아역사지도편찬위원회, 2016, 「GIS를 이용한 <동북아 역사지도> 제작 원리와 작업 과정」, 『역사지도집의 개념과 제작 방법론』,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87-114쪽.] | ||
+ | ** [https://www.riss.kr/link?id=A100397816 정요근, 2014, 「GIS 기법의 활용을 통한 조선후기 越境地의 복원」, 『역사학보』.] | ||
* 성신여대 : [http://waks.aks.ac.kr/rsh/?rshID=AKS-2014-KFR-1230005 조선시대 수륙교통로] | * 성신여대 : [http://waks.aks.ac.kr/rsh/?rshID=AKS-2014-KFR-1230005 조선시대 수륙교통로] | ||
** [https://www.riss.kr/link?id=T14438299 박혜진, 2017, 『20세기 초 한국의 면(面) 경계 복원』,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 [https://www.riss.kr/link?id=T14438299 박혜진, 2017, 『20세기 초 한국의 면(面) 경계 복원』,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
66번째 줄: | 71번째 줄: | ||
* <작성중> | * <작성중> | ||
− | === 행정구역 변화 유형 === | + | === 읍격 및 관직 코드 === |
+ | {| class="wikitable" | ||
+ | ! 행정구역_단계 !! 읍격 !! 관직명 !! 관직_세종실록지리지 !! 관직_경국대전 !! 관직_대전회통 !! 메모 | ||
+ | |- | ||
+ | | lv1 || 부(府) || 판부사(判府事)/부윤(府尹)/판윤(判尹) || 京官職/正二品/判府事 || 京官職/正二品/判尹 || 京官職/正二品/判尹 || 한성부 | ||
+ | |- | ||
+ | | lv1 || 유후사(留後司) || 유후(留後) || 京官職/正二品/留後 || - || - || 개성부 | ||
+ | |- | ||
+ | | lv1 || 도(道) || 관찰사(觀察使) || 外官職/從二品/觀察使 || 外官職/從二品/觀察使 || 外官職/從二品/觀察使 || - | ||
+ | |- | ||
+ | | lv2 || 유수부(留守府) || 유수(留守) || - || 京官職/從二品/留守 || 京官職/從二品/留守 || - | ||
+ | |- | ||
+ | | lv2 || 부(府) || 부윤(府尹) || 外官職/從二品/府尹 || 外官職/從二品/府尹 || 外官職/從二品/府尹 || - | ||
+ | |- | ||
+ | | lv2 || 대도호부(大都護府) ||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 外官職/正三品/大都護府使 || 外官職/正三品/大都護府使 || 外官職/正三品/大都護府使 || - | ||
+ | |- | ||
+ | | lv2 || 목(牧) || 목사(牧使) || 外官職/正三品/牧使 || 外官職/正三品/牧使 || 外官職/正三品/牧使 || - | ||
+ | |- | ||
+ | | lv2 || 목(牧) || 도안무사(都安撫使) || 外官職/正三品/都按撫使 || || || 제주목 | ||
+ | |- | ||
+ | | lv2 || 도호부(都護府) || 도호부사(都護府使) || 外官職/從三品/都護府使 || 外官職/從三品/都護府使 || 外官職/從三品/都護府使 || - | ||
+ | |- | ||
+ | | lv2 || 군(郡) || 지군사(知郡事)/군수(郡守) || 外官職/從四品/知郡事 || 外官職/從四品/郡守 || 外官職/從四品/郡守 || - | ||
+ | |- | ||
+ | | lv2 || 현(縣) || 판현사(判縣事) || 外官職/從三品/判縣事 || - || - || - | ||
+ | |- | ||
+ | | lv2 || 현(縣) || 지현사(知縣事) || 外官職/從四品/知縣事 || - || - || - | ||
+ | |- | ||
+ | | lv2 || 현(縣) || 현령(縣令) || 外官職/從五品/縣令 || 外官職/從五品/縣令 || 外官職/從五品/縣令 || - | ||
+ | |- | ||
+ | | lv2 || 현(縣) || 감무(監務)/현감(縣監) || 外官職/從六品/縣監 || 外官職/從六品/縣監 || 外官職/從六品/縣監 || - | ||
+ | |} | ||
+ | * 주1)한성부 읍격은 1466년(세조12)에 판부사(判府事)를 부윤(府尹)으로 고침(『세조실록』 12년 1월 15일). | ||
+ | * 주2)한성부 읍격은 1469년(예종1)에 부윤(府尹)을 판윤(判尹)으로 고침(『예종실록』 1년 6월 29일). | ||
+ | * 주3)개성부 읍격은 1438년(세종20)에 유후사(留後司)를 유수(留守)로 고침(『세종실록』 20년 10월 15일). | ||
+ | * 주4)『세종실록』「지리지」 시점의 개성부 품계는 1424년(세종6)의 기사에 따라 정2품으로 처리(『세종실록』 6년 12월 3일). | ||
+ | * 주5)『세종실록』「지리지」 시점의 읍격별 품계는 1431년(세종13)의 규정에 따름(『세종실록』 13년 1월 12일). | ||
+ | * 주6)『세종실록』「지리지」에는 경관직과 외관직 구분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편찬 이전 기사를 토대로 기입. | ||
+ | * 주7)제주도안무사의 경우는 제주목의 읍격에 따라 목사와 동일 품계에 둠(『세종실록』「지리지」). | ||
+ | * 주8)세종 5년 京·外官의 고과법(考課法)을 상정하는 내용에서 현령과 현감 가운데 산관(散官)이 4품이 되는 경우 지현사(知縣事)로 3품이 되는 경우는 판현사(判縣事)로 승격 시킴. 이에 판현사는 종3품의 도호부사, 지현사는 종4품의 지군사와 같은 층위에 배치(『세종실록』 5년 6월 5일). | ||
+ | |||
+ | === 행정구역 변화 유형 코드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행정구역 단계 !! 행정구역 변화 유형 코드 !! 이력 표현 | ! 행정구역 단계 !! 행정구역 변화 유형 코드 !! 이력 표현 | ||
129번째 줄: | 175번째 줄: | ||
|} | |} | ||
− | === 행정구역 이력 근거 자료 === | + | === 행정구역 이력 근거 자료 코드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우선순위 !! 자료코드 !! 유형 !! 명칭 !! 비고 | ! 우선순위 !! 자료코드 !! 유형 !! 명칭 !! 비고 | ||
169번째 줄: | 215번째 줄: | ||
| 18 || <추정> || 특수 || <추정> || 정황상 추정 이력 | | 18 || <추정> || 특수 || <추정> || 정황상 추정 이력 | ||
|} | |} | ||
+ | |||
+ | == 향후 작업 == | ||
+ | * (todo) 행정구역 이미지 제작. 대형 이미지로 제작(A1) | ||
+ | * (todo) 행정구역 이미지 상단에 배치 | ||
+ | * (todo) 개성 유후->유수로 변경되는 시점과 lv1->lv2로 변경되는 시점 불일치함. 읍격/관직 코드 검수 필요 | ||
== DB 변화 이력 == | == DB 변화 이력 == | ||
* 2024년 08월 01일 : DB 최초 공개 | * 2024년 08월 01일 : DB 최초 공개 | ||
− | * 2024년 08월 24일 : 역사GIS 기반 조선신대 행정구역 복원의 역사 추가 | + | * 2024년 08월 24일 : 역사GIS 기반 조선신대 행정구역 복원의 역사 추가(by김종혁) |
2024년 9월 30일 (월) 04:59 기준 최신판
DB 공유(★new)
- 조선시대_행정구역_이력_요약 : 【다운로드(xlsx)】
- 조선시대_행정구역_이력 : 【다운로드(xlsx)】
- 조선시대_행정구역_세종실록지리지 : 【다운로드(xlsx)】
- 조선시대_읍치_이력 : <구축중> / <향후 xlsx로 공개>
- 조선시대 연단위 시계열 폴리곤(1392-1914) : <구축중> / <향후 gpkg로 공개>
- 조선시대 연단위 읍치 포인트(1392-1914) : <구축중> / <향후 gpkg로 공개>
※ 개별 DB는 위키 페이지보다 원본 파일이 최신 정보임
DB 개요
- DB 설명
- 조선시대 행정구역 및 치소의 연단위 변화 이력 및 공간 복원 레이어
- 행정구역 변화 이력에 관한 근거 명시
- DB 구축자
- DB 설계 : 김현종
- 행정구역 이력 DB 구축 : 김현종
- 치소 이력 DB 구축 : 김종혁
- 이력 및 공간 데이터 검수 : 김종혁, 양정현, 박선영, 최유식
- 참조 자료
-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 성신여자대학교 행정구역 복원 사업
-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적 행정구역
- 한국학중앙연구원 실록위키
- 자료 공개
- 비영리적 활동(논문, 연구서)에 본 자료 사용시, 인용문구만 표시하면 사용에 제한 없음.
- 영리적인 목적(프로젝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관계자(unqtsi@gmail.com)와 상의 후 처리.
- 본 자료 전체를 다른 곳에서 서비스하는 것은 제한함.
- 본 DB에 오류가 발견된 경우, unqtsi@gmail.com에 오류 신고.
- 인용 표기 : 「조선시대 행정구역 DB」, 202X년 X월 기준, 역지사지(https://www.hisgeo.info).
- 외부 자료 라이선스
-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지리정보DB, 개방데이터셋, 행정구역 GIS 데이터. [1]
- '조선시대 행정구역 DB' 구축에 기반 GIS 데이터로 활용
-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지리정보DB, 개방데이터셋, 행정구역 GIS 데이터. [1]
DB 구축 원칙
- 역사적 행정구역 개체 단위의 정의
- 행정구역 변화 이력의 기준
- 읍치 변화 이력의 기준
- 제외 사항
- 군사 권역(진관체계)의 변화
- 면 단위 이하의 변화
DB 구축 과정
- 조선시대 행정구역 이력 DB 구축
- 세종실록지리지는 1432년 기준으로 군현이 작성되었으나, 북방 지역(4군 6진)은 1454년 기준으로 작성됨
- 자료원 코드 's1432'는 특정 시점의 연도가 아니라 자료 중심으로 복원함
- 조선시대 행정구역 시계열 공간 DB 구축
-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적 행정구역 중 1910년대 GIS 레이어 활용
- 1906년 월경지 정리령 반영
- 도서 소속 변화 반영 : 1910년 군현 단위 소속 도서를 기준, 일부 도서 단위 소속 변화 반영
- GIS 구축 예외 사항
- 영역 복원이 어려운 경우(조선 초기)에는 중심지 부근에 원형 폴리곤으로 구축
- 영역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폴리곤의 경우 복원 메모에 "영역복원안됨"을 기입
- 영역 변화에 어려움이 있으나, 일단 폴리곤으로 구축한 경우 복원 메모에 "임시복원"을 기입
역사GIS 기반 조선시대 행정구역 복원의 역사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 연세대ㆍ서강대 :「동북아역사지도」, 비공개
- 김유철, 윤병남, 김종혁, 김현종, 「The Yeosi Project Finding a Place in Northeast Asia Through History」, 『Placing Names Enriching and Integrating Gazetteers』, 인디애나대학출판사, 2016.
- 동북아역사지도편찬위원회, 2016, 「GIS를 이용한 <동북아 역사지도> 제작 원리와 작업 과정」, 『역사지도집의 개념과 제작 방법론』,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87-114쪽.
- 정요근, 2014, 「GIS 기법의 활용을 통한 조선후기 越境地의 복원」, 『역사학보』.
- 성신여대 : 조선시대 수륙교통로
- 국사편찬위원회 : 역사적 행정구역 DB
- 서울대 규장각 : 규장각 역사GIS
DB 설계
- <작성중>
읍격 및 관직 코드
행정구역_단계 | 읍격 | 관직명 | 관직_세종실록지리지 | 관직_경국대전 | 관직_대전회통 | 메모 |
---|---|---|---|---|---|---|
lv1 | 부(府) | 판부사(判府事)/부윤(府尹)/판윤(判尹) | 京官職/正二品/判府事 | 京官職/正二品/判尹 | 京官職/正二品/判尹 | 한성부 |
lv1 | 유후사(留後司) | 유후(留後) | 京官職/正二品/留後 | - | - | 개성부 |
lv1 | 도(道) | 관찰사(觀察使) | 外官職/從二品/觀察使 | 外官職/從二品/觀察使 | 外官職/從二品/觀察使 | - |
lv2 | 유수부(留守府) | 유수(留守) | - | 京官職/從二品/留守 | 京官職/從二品/留守 | - |
lv2 | 부(府) | 부윤(府尹) | 外官職/從二品/府尹 | 外官職/從二品/府尹 | 外官職/從二品/府尹 | - |
lv2 | 대도호부(大都護府) |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 外官職/正三品/大都護府使 | 外官職/正三品/大都護府使 | 外官職/正三品/大都護府使 | - |
lv2 | 목(牧) | 목사(牧使) | 外官職/正三品/牧使 | 外官職/正三品/牧使 | 外官職/正三品/牧使 | - |
lv2 | 목(牧) | 도안무사(都安撫使) | 外官職/正三品/都按撫使 | 제주목 | ||
lv2 | 도호부(都護府) | 도호부사(都護府使) | 外官職/從三品/都護府使 | 外官職/從三品/都護府使 | 外官職/從三品/都護府使 | - |
lv2 | 군(郡) | 지군사(知郡事)/군수(郡守) | 外官職/從四品/知郡事 | 外官職/從四品/郡守 | 外官職/從四品/郡守 | - |
lv2 | 현(縣) | 판현사(判縣事) | 外官職/從三品/判縣事 | - | - | - |
lv2 | 현(縣) | 지현사(知縣事) | 外官職/從四品/知縣事 | - | - | - |
lv2 | 현(縣) | 현령(縣令) | 外官職/從五品/縣令 | 外官職/從五品/縣令 | 外官職/從五品/縣令 | - |
lv2 | 현(縣) | 감무(監務)/현감(縣監) | 外官職/從六品/縣監 | 外官職/從六品/縣監 | 外官職/從六品/縣監 | - |
- 주1)한성부 읍격은 1466년(세조12)에 판부사(判府事)를 부윤(府尹)으로 고침(『세조실록』 12년 1월 15일).
- 주2)한성부 읍격은 1469년(예종1)에 부윤(府尹)을 판윤(判尹)으로 고침(『예종실록』 1년 6월 29일).
- 주3)개성부 읍격은 1438년(세종20)에 유후사(留後司)를 유수(留守)로 고침(『세종실록』 20년 10월 15일).
- 주4)『세종실록』「지리지」 시점의 개성부 품계는 1424년(세종6)의 기사에 따라 정2품으로 처리(『세종실록』 6년 12월 3일).
- 주5)『세종실록』「지리지」 시점의 읍격별 품계는 1431년(세종13)의 규정에 따름(『세종실록』 13년 1월 12일).
- 주6)『세종실록』「지리지」에는 경관직과 외관직 구분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편찬 이전 기사를 토대로 기입.
- 주7)제주도안무사의 경우는 제주목의 읍격에 따라 목사와 동일 품계에 둠(『세종실록』「지리지」).
- 주8)세종 5년 京·外官의 고과법(考課法)을 상정하는 내용에서 현령과 현감 가운데 산관(散官)이 4품이 되는 경우 지현사(知縣事)로 3품이 되는 경우는 판현사(判縣事)로 승격 시킴. 이에 판현사는 종3품의 도호부사, 지현사는 종4품의 지군사와 같은 층위에 배치(『세종실록』 5년 6월 5일).
행정구역 변화 유형 코드
행정구역 단계 | 행정구역 변화 유형 코드 | 이력 표현 |
---|---|---|
lv1 | 개편생성 | ㆍA를 개편생성(OOO 제도) |
lv1 | 개편소멸 | ㆍA를 개편소멸(OOO 제도) |
lv1 | 기준 | ㆍA |
lv1 | 개명 | ㆍA→B로 개명 |
lv1 | 읍격 | ㆍA 읍격이 B→C로 승격/강등/변동/동일 |
lv1 | 읍치 | ㆍA 읍치가 B→C로 이동 |
lv1 | 영역 | ㆍA(lv2)가 B(lv1)로 소속 변경 |
lv1 | except | ㆍ<자율서술> |
lv2 | 개편생성 | ㆍA를 개편생성(OOO제도 ) |
lv2 | 병합생성 | ㆍA+B→C로 병합생성 ㆍA 일부+B 일부→C로 병합생성 |
lv2 | 분할생성 | ㆍA→B+C로 분할생성 ㆍA 일부→B로 분할생성 |
lv2 | 개척생성 | ㆍA 개척생성 |
lv2 | 개명생성 | ㆍA→B 개명생성 |
lv2 | 개편소멸 | ㆍA를 개편생성(OOO 제도) |
lv2 | 병합소멸 | ㆍA+B→C로 병합소멸 |
lv2 | 분할소멸 | ㆍA→B+C로 분할소멸 |
lv2 | 편입소멸 | ㆍA→B로 전체편입소멸 |
lv2 | 개명소멸 | ㆍA→B 개명소멸 |
lv2 | 기준 | ㆍA |
lv2 | 폐지 | ㆍA를 폐지 |
lv2 | 복설 | ㆍA를 복설 |
lv2 | 개명 | ㆍA→B로 개명 |
lv2 | 읍격 | ㆍA 읍격이 B→C로 승격/강등/변동/동일 |
lv2 | 개명읍격 | ㆍA→B로 개명, C→D로 승격/강등/변동/동일 |
lv2 | 소속읍격 | ㆍA를 B→C로 소속 변경, D→E로 승격/강등/변동/동일 |
lv2 | 읍치 | ㆍA의 읍치가 B→C로 이동 |
lv2 | 영역 | ㆍA→B로 전체편입소멸 ㆍA 일부(OOO)→B에 편입 ㆍA→B+C로 분할소멸 ㆍA 일부→B로 분할생성 |
lv2 | 소속 | hist)0000:소속:A를 B→C로 소속 변경 |
lv2 | except | ㆍ<자율서술> |
행정구역 이력 근거 자료 코드
우선순위 | 자료코드 | 유형 | 명칭 | 비고 |
---|---|---|---|---|
1 | 실록 | 연대기 | 조선왕조실록 | 수록시기:1392(태조1)-1863(철종14) |
2 | 승정원 | 연대기 | 승정원일기 | 수록시기:1623(인조1)-1894년(고종31) |
3 | 비변사 | 연대기 | 비변사등록 | 수록시기:1623(인조1)-1910(순종4) |
4 | 관보 | 관보 | 관보 | 1895(고종32)-1914 |
5 | 세종 | 관찬지리지 | 세종실록지리지 | 제작시기:1454(단종2) |
6 | 신증 | 관찬지리지 | 신증동국여지승람 | 제작시기:1530(중종25) |
7 | 여지 | 관찬지리지 | 여지도서 | 제작시기:1757(영조33)∼1765(영조41) |
8 | 대동 | 사찬지리지 | 대동지지 | 제작시기:1861(철종12)~1866(고종3) |
9 | 증보 | 관찬지리지 | 증보문헌비고 | 제작시기:1907(융희1) |
10 | 읍지 | 관찬지리지/사찬지리지 | 읍지 | 제작시기:조선 |
11 | 향문 | 디지털백과사전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행정구역 건치연혁 |
12 | 실록위키 | 디지털백과사전 | 위키실록사전 | 행정구역 건치연혁 |
13 | 민백 | 백과사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행정구역 건치연혁 |
14 | 조향 | 백과사전 | 조선향토백과 | 행정구역 건치연혁 |
15 | 관청 | 시군청홈페이지 | 시군청홈페이지 | 행정구역 건치연혁 |
16 | <기타문헌> | 기타 | <기타문헌> | 그외 문헌 |
17 | <기준> | 특수 | <기준> | 시점:1392(태조1).07.17/종점:1914.02.28(양) |
18 | <추정> | 특수 | <추정> | 정황상 추정 이력 |
향후 작업
- (todo) 행정구역 이미지 제작. 대형 이미지로 제작(A1)
- (todo) 행정구역 이미지 상단에 배치
- (todo) 개성 유후->유수로 변경되는 시점과 lv1->lv2로 변경되는 시점 불일치함. 읍격/관직 코드 검수 필요
DB 변화 이력
- 2024년 08월 01일 : DB 최초 공개
- 2024년 08월 24일 : 역사GIS 기반 조선신대 행정구역 복원의 역사 추가(by김종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