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역지사지(歷地思之)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소속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http://snuac-hk.snu.ac.kr/]
 
*소속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http://snuac-hk.snu.ac.kr/]
  
==읽은 도서 목록==
+
== 학술논문 ==
 +
[학술논문]
 +
*박선영(정두희 공저), 2024, 규장각 소장 「강화지도」의 원형 복원 모사 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6(2), 237-265.[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64431]
 +
*박선영(정부매, 최원석 공저), 2024, 일제강점기 산이름 표기변화의 조사 분석 및 의미 고찰, 문화역사지리 36(2), 65-91.[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5670]
 +
*박선영(김수현, 한예림, 김준수, 박범순 공저), 2024, 미군정기(1945-1948년)의 한반도 미군사지형도, 한국고지도연구 16(1), 77-96.[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1421]
 +
*박선영, 2024, 19세기 한글본 서울지도 경조오부도와 한성부지도, 기전문화 45(1), 157-179.[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0830]
 +
*박선영(김현종 공저), 2024, 근대지리공간의 표상으로서 지형도의 기호와 실제, 문화역사지리 36(1), 1-25.[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77190]
 +
*박선영(심우진, 정부매 공저), 2024, 의성군의 하천 유로 변화와 취락 분포 양상,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0(1), 97-111.[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59681]
 +
*박선영, 2023, 1:10,000 한국 근대지형도의 특징과 「진주」 도엽의 문화적 요소, 한국고지도연구 15(2), 169-198.[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4021]
 +
*박선영(정부매, 김선희 공저), 2023, 한국 슬로시티의 핵심·확장콘텐츠 비교분석 - 문화·역사 자산을 중심으로 -, 문화역사지리 35(2), 41-58.[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96260]
 +
*박선영(정부매, 최진무, 정암 공저), 2023, 근대지형도 수록 지명의 가타카나 표기 특징 분석 -인천광역시 자연지명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58(3), 236-251.[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78402]
 +
*박선영, 2022, 근대지형도의 지명과 기호로 본 평양의 장소성, 한국고지도연구 14(2), 75-101.[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25524]
 +
*박선영(최원석, 손학기 공저), 2022, 『산경표』의 공간 DB 구축과 산줄기 선형의 특징 분석, 문화역사지리 34(2), 110-131.[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76351]
 +
*박선영, 2022, 地圖와 地誌의 기록으로 본 은평 지역의 지명, 한국고지도연구 14(1), 93-119.[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61507]
 +
*박선영(허정원, 심우진, 장효진 공저), 2021, 메가아시아탐색을 위한 새로운 양적 지역연구방법론의 필요성과 가능성, 아시아리뷰 11(2), 35-56.[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47995]
 +
*박선영, 2021,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조선지형도(제2차지형도)의 특징 -국립중앙박물관과 스탠포드대학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33(2), 13~34.[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46987]
 +
*박선영(이기봉 공저), 2021, 디지털 연구환경 변화에 따른 고문헌 재해제필요성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북관장파지도」와「화도진도」를사례로 -, 대한지리학회지 56(1), 81-94.[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93349]
 +
*박선영(양윤정 공저), 2020, 20세기초 지형도로 본 제주, 한국고지도연구 12(2), 183-203.[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78799]
 +
*박선영, 2019,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특징– 국내외 주요 소장처를 중심으로 -, 한국고지도연구, 11(1), 93~116.[http://www.riss.kr/link?id=A106279490]
 +
*박선영, 2018,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활용,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46987]
 +
*박선영(최지은, 박경, 양보경 공저), 2014, 조선시대 자연재해 기록에 대한 일고찰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해일 기록을 중심으로, 응용지리 31, 1-19.[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272447]
 +
 
 +
[학위논문]
 +
*박선영, 2018,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활용』,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http://www.riss.kr/link?id=T14922282]
 +
*박선영, 2006, 『장서각 소장 한국 근대 지형도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
==저서==
 +
*박선영(공저), 2023, 국가와 도시로 읽는 아시아 지리지 1권 동북아시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푸른길
 +
*박선영(공저), 2022, 메가아시아 입문 역사, 시각, 방법,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진인진
 +
*박선영(공저), 2020, 화성시사01 지리와 환경, 화성시
 +
 
 +
==관심 도서==
 
*이기봉, 2021, 조선 최고의 개발자 김정호 나의 삶은 항상 신제품 개발이었다, 덕주.
 
*이기봉, 2021, 조선 최고의 개발자 김정호 나의 삶은 항상 신제품 개발이었다, 덕주.
 
*이상태, 2021, 김정호 연구, 경인문화사.
 
*이상태, 2021, 김정호 연구, 경인문화사.
10번째 줄: 41번째 줄:
 
*고동환,이현군,유승희,김태우,이종묵,윤진영, 2017, 경강, 광나루에서 양화진까지 (서울기획연구1), 서울역사박물관.
 
*고동환,이현군,유승희,김태우,이종묵,윤진영, 2017, 경강, 광나루에서 양화진까지 (서울기획연구1), 서울역사박물관.
 
*줄리오 알레니 지음, 천기철 옮김, 2005, 직방외기(17세기 예수회 신부들이 그려낸 세계), 일조각.
 
*줄리오 알레니 지음, 천기철 옮김, 2005, 직방외기(17세기 예수회 신부들이 그려낸 세계), 일조각.
*(_ing)마르코 폴로 지음, 김호동 역주, 2005,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사계절.
 
  
==논문==
+
===읽고 있는 도서===
*박선영, 2018,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활용,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4fadf2960b0e6bfcffe0bdc3ef48d419&outLink=K]
+
*마르코 폴로 지음, 김호동 역주, 2005,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사계절.
*박선영, 2019,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특징– 국내외 주요 소장처를 중심으로 -, 한국고지도연구, 11(1), 93~116.[http://www.riss.kr/link?id=A106279490]
+
**동방견문록은 13세기 후반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임
*박선영, 2021,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조선지형도(제2차지형도)의 특징 -국립중앙박물관과 스탠포드대학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33(2), 13~34.[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46987]
+
**동방견문록의 원본은 사라짐. 오랜 연구를 통해 원본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복원한, '결정본'이 있음.
 +
**A.C.Moule & P.Pelliot의 집철(輯綴), 교감(校勘), 영역본(英譯本)인 Marco Polo, The Description of the World(London : George Routledge & Sons Ltd., 1938)를 저본(低本)으로 삼았다.
 +
**쿠빌라이/대몽골 울루스(Yeke Mongghol Ulus), 울루스는 나라, 국가를 의미하는 몽골어
 +
**1281년 고려 해군까지 동원하여 무려 10만 명을 태운 3,500여 척의 대함대 >> 일본원정군.
 +
**일본원정은 유목민이 건설한 몽골제국의 위엄을 말해주는 것이고, 그 뒤 자바와 수마트라를 원정했고 말라카 해협을 넘어 인도양으로 진출
 +
**폴로 일가의 여행은1260년 베니스를 출발하여 1295년 귀향, 쿠빌라이의 치세와 거의 정확하게 일치
 +
**동방경문록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마르코 폴로의 기록은 바로 쿠빌라이 치세의 몽골제국과 그 주변세계에 대한 증언, 시대가 남긴 지원지지 않는 기념물
 +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은 쿠빌라이가 살던 13세기 후반의 몽골제국을 시대적 배경으로 하여 쓰여진 것이기 때문에 글 페이지마다 그 시대의 모습이 드러나고 있다.
 +
**15세의 마르코가 베니스의 집을 떠나 41세의 나이에 다시 고향으로 돌아올 때까지 몽골제국의 세계에 있었던 것이다.
 +
**귀향할때 동남아시아와 수마트라, 자바 등지의 수많은 섬과 해안을 거치면서 대카안의 종주권이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고, 말라카 해협 너머에 있는 인도의 세일론섬(스리랑카)이나 동아프카 연안깢도 대카안 사신들의 발길이 미치고 있음을 보았다.
 +
**마크로 폴로에게 몽골제국은 단순히 하나의 제국이 아니라 '세계' 그 자체였다.
 +
 
 +
==답사==
 +
===강원도 원주===
 +
[[파일:규장각 1872 원주목지도 일부.png|섬네일|500픽셀|조선시대 강원도 원주목 지도(1872년 지방지도)]]
 +
*답사일정
 +
**2024년 2월 20일
 +
*답사장소
 +
**원주감영
 +
**원주역사박물관
 +
**원주시장
 +
*지도자료
 +
** 조선시대 강원도 원주목 지도(1872년 지방지도)
 +
 
 +
==참고사이트==
 +
*http://www.stemwith.com/

2025년 1월 22일 (수) 11:03 기준 최신판

개요

  • 이름 : 박선영
  • 소속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1]

학술논문

[학술논문]

  • 박선영(정두희 공저), 2024, 규장각 소장 「강화지도」의 원형 복원 모사 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6(2), 237-265.[2]
  • 박선영(정부매, 최원석 공저), 2024, 일제강점기 산이름 표기변화의 조사 분석 및 의미 고찰, 문화역사지리 36(2), 65-91.[3]
  • 박선영(김수현, 한예림, 김준수, 박범순 공저), 2024, 미군정기(1945-1948년)의 한반도 미군사지형도, 한국고지도연구 16(1), 77-96.[4]
  • 박선영, 2024, 19세기 한글본 서울지도 경조오부도와 한성부지도, 기전문화 45(1), 157-179.[5]
  • 박선영(김현종 공저), 2024, 근대지리공간의 표상으로서 지형도의 기호와 실제, 문화역사지리 36(1), 1-25.[6]
  • 박선영(심우진, 정부매 공저), 2024, 의성군의 하천 유로 변화와 취락 분포 양상,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0(1), 97-111.[7]
  • 박선영, 2023, 1:10,000 한국 근대지형도의 특징과 「진주」 도엽의 문화적 요소, 한국고지도연구 15(2), 169-198.[8]
  • 박선영(정부매, 김선희 공저), 2023, 한국 슬로시티의 핵심·확장콘텐츠 비교분석 - 문화·역사 자산을 중심으로 -, 문화역사지리 35(2), 41-58.[9]
  • 박선영(정부매, 최진무, 정암 공저), 2023, 근대지형도 수록 지명의 가타카나 표기 특징 분석 -인천광역시 자연지명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58(3), 236-251.[10]
  • 박선영, 2022, 근대지형도의 지명과 기호로 본 평양의 장소성, 한국고지도연구 14(2), 75-101.[11]
  • 박선영(최원석, 손학기 공저), 2022, 『산경표』의 공간 DB 구축과 산줄기 선형의 특징 분석, 문화역사지리 34(2), 110-131.[12]
  • 박선영, 2022, 地圖와 地誌의 기록으로 본 은평 지역의 지명, 한국고지도연구 14(1), 93-119.[13]
  • 박선영(허정원, 심우진, 장효진 공저), 2021, 메가아시아탐색을 위한 새로운 양적 지역연구방법론의 필요성과 가능성, 아시아리뷰 11(2), 35-56.[14]
  • 박선영, 2021,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조선지형도(제2차지형도)의 특징 -국립중앙박물관과 스탠포드대학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33(2), 13~34.[15]
  • 박선영(이기봉 공저), 2021, 디지털 연구환경 변화에 따른 고문헌 재해제필요성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북관장파지도」와「화도진도」를사례로 -, 대한지리학회지 56(1), 81-94.[16]
  • 박선영(양윤정 공저), 2020, 20세기초 지형도로 본 제주, 한국고지도연구 12(2), 183-203.[17]
  • 박선영, 2019,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특징– 국내외 주요 소장처를 중심으로 -, 한국고지도연구, 11(1), 93~116.[18]
  • 박선영, 2018,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활용,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19]
  • 박선영(최지은, 박경, 양보경 공저), 2014, 조선시대 자연재해 기록에 대한 일고찰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해일 기록을 중심으로, 응용지리 31, 1-19.[20]

[학위논문]

  • 박선영, 2018,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활용』,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21]
  • 박선영, 2006, 『장서각 소장 한국 근대 지형도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저서

  • 박선영(공저), 2023, 국가와 도시로 읽는 아시아 지리지 1권 동북아시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푸른길
  • 박선영(공저), 2022, 메가아시아 입문 역사, 시각, 방법,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진인진
  • 박선영(공저), 2020, 화성시사01 지리와 환경, 화성시

관심 도서

  • 이기봉, 2021, 조선 최고의 개발자 김정호 나의 삶은 항상 신제품 개발이었다, 덕주.
  • 이상태, 2021, 김정호 연구, 경인문화사.
  • 조지 클레이튼 포크 지음, 사무엘 홀리 편집소개, 조법종, 조현미 번역, 주석, 2021, 화륜선 타고온 포크, 대동여지도 들고 조선을 기록하다, 알파미디어.
  • 헨드릭 하멜 지음, 신동운 옮김, 2020, 하멜표류기 조선과 유럽의 운명적 만남, 난선제주도난파기, 스타북스.
  • 고동환,이현군,유승희,김태우,이종묵,윤진영, 2017, 경강, 광나루에서 양화진까지 (서울기획연구1), 서울역사박물관.
  • 줄리오 알레니 지음, 천기철 옮김, 2005, 직방외기(17세기 예수회 신부들이 그려낸 세계), 일조각.

읽고 있는 도서

  • 마르코 폴로 지음, 김호동 역주, 2005,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사계절.
    • 동방견문록은 13세기 후반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임
    • 동방견문록의 원본은 사라짐. 오랜 연구를 통해 원본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복원한, '결정본'이 있음.
    • A.C.Moule & P.Pelliot의 집철(輯綴), 교감(校勘), 영역본(英譯本)인 Marco Polo, The Description of the World(London : George Routledge & Sons Ltd., 1938)를 저본(低本)으로 삼았다.
    • 쿠빌라이/대몽골 울루스(Yeke Mongghol Ulus), 울루스는 나라, 국가를 의미하는 몽골어
    • 1281년 고려 해군까지 동원하여 무려 10만 명을 태운 3,500여 척의 대함대 >> 일본원정군.
    • 일본원정은 유목민이 건설한 몽골제국의 위엄을 말해주는 것이고, 그 뒤 자바와 수마트라를 원정했고 말라카 해협을 넘어 인도양으로 진출
    • 폴로 일가의 여행은1260년 베니스를 출발하여 1295년 귀향, 쿠빌라이의 치세와 거의 정확하게 일치
    • 동방경문록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마르코 폴로의 기록은 바로 쿠빌라이 치세의 몽골제국과 그 주변세계에 대한 증언, 시대가 남긴 지원지지 않는 기념물
    •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은 쿠빌라이가 살던 13세기 후반의 몽골제국을 시대적 배경으로 하여 쓰여진 것이기 때문에 글 페이지마다 그 시대의 모습이 드러나고 있다.
    • 15세의 마르코가 베니스의 집을 떠나 41세의 나이에 다시 고향으로 돌아올 때까지 몽골제국의 세계에 있었던 것이다.
    • 귀향할때 동남아시아와 수마트라, 자바 등지의 수많은 섬과 해안을 거치면서 대카안의 종주권이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고, 말라카 해협 너머에 있는 인도의 세일론섬(스리랑카)이나 동아프카 연안깢도 대카안 사신들의 발길이 미치고 있음을 보았다.
    • 마크로 폴로에게 몽골제국은 단순히 하나의 제국이 아니라 '세계' 그 자체였다.

답사

강원도 원주

조선시대 강원도 원주목 지도(1872년 지방지도)
  • 답사일정
    • 2024년 2월 20일
  • 답사장소
    • 원주감영
    • 원주역사박물관
    • 원주시장
  • 지도자료
    • 조선시대 강원도 원주목 지도(1872년 지방지도)

참고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