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GIS 연구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역지사지(歷地思之)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HGIS : 역사지리 중심 ==
+
== HGIS : 지리 중심 ==
* [[김종혁]]
+
* [[김종혁]](←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김종혁, 2022, 「GIS에 기반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의 공간적 인식」, 『한국사학회』.[http://www.riss.kr/link?id=A108442375]
+
* [[김현종]](←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김종혁, 2013, 「역사지도 제작을 위한 역사지리환경의 복원」, 『한국지도학회지』.[http://www.riss.kr/link?id=A100150594]
+
* [[박선영]](←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김현종]]
+
* [[최유식]](←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김현종, 2021, 「조선시대 경기도의 군현경계 인식과 재현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http://www.riss.kr/link?id=T15930863]
 
** 김현종, 2022, 「고지도의 지리정보 중첩 분석을 위한“통합방안체계”의 연구」, 『한국고지도연구』.[http://www.riss.kr/link?id=A108196872]
 
* [[박선영]]
 
** 박선영, 2018,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활용』,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http://www.riss.kr/link?id=T14922282]
 
** 박선영, 2022, 地圖와 地誌의 기록으로 본 은평 지역의 지명, 『한국고지도연구』.[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61507]
 
** 박선영(최원석, 손학기 공저), 2022, 『산경표』의 공간 DB 구축과 산줄기 선형의 특징 분석, 『문화역사지리』.[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76351]
 
 
* 박혜진
 
* 박혜진
 
** 박혜진, 2017, 『20세기 초 한국의 면(面) 경계 복원』,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http://www.riss.kr/link?id=T14438299]
 
** 박혜진, 2017, 『20세기 초 한국의 면(面) 경계 복원』,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http://www.riss.kr/link?id=T14438299]
* 홍명진
 
** 홍명진, 2017, 「일본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의 연구현황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일본 근세 시대 지역공간 복원방법을 사례로 -」, 『대한지리학회지』. [http://www.riss.kr/link?id=A105046627]
 
  
== HGIS : 사학 중심 ==
+
== HGIS : 역사 중심 ==
 +
* [[양정현]](←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 [[남호현]](←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 주성지
 +
** 주성지, 2019, 구글맵을 활용한 최부 『표해록』의 노정 복원, 『역사민속학』 57, 229-263.[https://www.riss.kr/link?id=A106511990]
 
* 정요근
 
* 정요근
 
** 정요근, 김현종, 2022, 「역사 GIS 기반 1910년 기준 면(面) 단위 행정구역의 복원」, 『한국사연구』. [http://www.riss.kr/link?id=A108188713]
 
** 정요근, 김현종, 2022, 「역사 GIS 기반 1910년 기준 면(面) 단위 행정구역의 복원」, 『한국사연구』. [http://www.riss.kr/link?id=A108188713]
 
== HGIS : 도시학 중심 ==
 
* 고아라
 
** 고아라, 양승우, 2021, 「미세지형과 물길로 읽는 서울 역사도심 공간구조」, 『서울학연구』, [http://www.riss.kr/link?id=A107843413]
 
 
* 유슬기
 
* 유슬기
 
** 유슬기, 2022, 『근대도시 경성에서의 토지가격 결정 요인 연구 -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http://www.riss.kr/link?id=T16548621]
 
** 유슬기, 2022, 『근대도시 경성에서의 토지가격 결정 요인 연구 -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http://www.riss.kr/link?id=T16548621]
 +
* 엄기석
 +
** 엄기석, 2023,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을 활용한 조선후기 군현도로 복원 - 여지도서 황해도 도로조를 중심으로 - 」, 『한국고지도연구』, 15(2), 5-24쪽. [https://www.riss.kr/link?id=A108919408]
 +
* 김현정
 +
** 김현정, 2025, 『1910년 전후 서울북촌연구 - 장소와 인물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7155535]
  
 
== HGIS : DH 중심 ==
 
== HGIS : DH 중심 ==
 +
* 류인태
 +
** 류인태, 2019, 『데이터로 읽는 17세기 재지사족의 일상 : 『지암일기(1692~1699)』 데이터베이스 편찬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학중앙연구원.[https://www.riss.kr/link?id=T15384743]
 
* 김현
 
* 김현
 
** 김현, 임준근, 2009, 「GIS와 지역 문화 콘텐츠의 연계 응용 기술」, 『인문콘텐츠』. [http://www.riss.kr/link?id=A76571890]
 
** 김현, 임준근, 2009, 「GIS와 지역 문화 콘텐츠의 연계 응용 기술」, 『인문콘텐츠』. [http://www.riss.kr/link?id=A76571890]
* 김바로
 
* 류인태
 
  
== 관련분야 : 고지도및지리지 ==
+
== 역사 GIS 관련 연구  ==
* 김기혁
+
* 이상일
* 양보경
+
** 이상일, 조대헌, 2014, 「고지도의 왜곡 양상에 대한 GIS-기반 연구」, 49(3), 『대한지리학회지』, 438-455쪽. [https://www.riss.kr/link?id=A100028021]
* 이기봉
+
 
** 이기봉, 「조선전기 지리지에 활용된 거리 단위에 대한 연구 - 경상도 지역 지리지를 사례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27권 제3호, 2021, 399-411쪽.
+
* 조대헌
 +
** 조대헌, 이상일, 2017, 「GIS 분석을 이용한 『대동여지도』의 투영법 추정」, 『한국지도학회지』, 17(2), 11-27쪽. [https://www.riss.kr/link?id=A103619807]
 +
 
 +
* 강동석
 +
** 강동석, 2011, GIS 를 활용한 지석묘 공간분포패턴의 사회경제적 배경 이해, 『중앙고고연구』 8, 1-37.[https://www.riss.kr/link?id=A101052461]
 +
** 김유진, 강동석, 2022, 매장문화재 공간정보의 활용 방안 연구: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공간정보학회지』, 30(2), 21-29.[https://www.riss.kr/link?id=A108185975]
 +
 
 +
* 홍명진
 +
** 홍명진, 2017, 「일본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의 연구현황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일본 근세 시대 지역공간 복원방법을 사례로 -」, 『대한지리학회지』. [http://www.riss.kr/link?id=A105046627]
 +
 
 +
* 고아라
 +
** 고아라, 양승우, 2021, 「미세지형과 물길로 읽는 서울 역사도심 공간구조」, 『서울학연구』, [http://www.riss.kr/link?id=A107843413]
 +
** 고아라, 2019, 「물길로 해석한 한성부 도시공간구조: GIS 수리수문분석을 활용하여」, 11(2), 113-134쪽. [https://www.riss.kr/link?id=A106514851]
 +
** 고아라, 2018, 『물길을 중심으로 한 서울 역사도심의 도시형태 해석 : 27개 청계천 지천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4798626]
 +
 
 +
* 강지현
 +
** 강지현, 2022, 「지도로 본 경기도 가평군의 행정구역 변천 과정」, 『한국고지도연구』, 14(1), 121-146쪽. [https://www.riss.kr/link?id=A108197309]
 +
** 강지현, 2022, 『경기도 가평군의 지명과 행정구역 변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6092894]
 +
 
 +
* 민경주, 정만호
 +
** 민경주, 정만호, 2022, 「디지털 대동여지도 개발과 인문 소프트웨어 개발 방향」, 『한문학논집』, 205-240쪽. [https://www.riss.kr/link?id=A108183786]
 +
 
 +
* 이옥선
 +
** 이옥선, 2012, 「디지털 동여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기반 고지도 서비스」, 『문화역사지리』, 24(1), 76-94쪽. [https://www.riss.kr/link?id=A60105445]
 +
 
 +
* 이민철
 +
** 이민철, 2011, 『구글 위성지도로 구현한 대동여지도의 지리정보 : 강원도 지역 山城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2281452]
 +
 
 +
* 기경량
 +
** 기경량, 2018, 『GIS 정보와 고지도를 활용한 고구려의 주요 교통로 및 거점 복원』 연구보고서, 한국연구재단. [https://www.riss.kr/link?id=G3751911]
 +
 
 +
* 이준학
 +
** 이준학, 백상호, 2015, 「GIS기반 군 관측소 입지분석 연구」, 『한국군사학논집』, 71(1), 131-147쪽. [https://www.riss.kr/link?id=A105302731]
 +
 
 +
* 서정신
 +
** 서정신, 2000, 「고지도와 디지털 내비게이션」, 『영상문화』, 2, 41-53쪽. [https://www.riss.kr/link?id=A75254885]
 +
 
 +
* 박경식
 +
** 박경식, 2010, 「고지도와 사진에 의한 월미도의 3차원 영상 복원」, 『한국측량학회지』, 28(1), 117-124쪽. [https://www.riss.kr/link?id=A100136519]
 +
 
 +
* 권지은
 +
** 권지은, 이지민,  2022, 「디지털 매체와 기술을 활용한 회화 문화재 복원 모사 방법 연구-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보물 <대동총도>모사본 제작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문화연구』, 23, 37-74쪽. [https://www.riss.kr/link?id=A108249625]
  
== 관련분야 : 근대지도 ==
+
* 오윤주
* 양윤정
+
** 오윤주, 2024,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도성도〉 복원모사 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6(1), 97-133쪽. [https://www.riss.kr/link?id=A109137497]
** 양윤정, 2010, 『미국 의회도서관 소장 19세기 후반 한반도 비밀군사지도』,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http://www.riss.kr/link?id=T12150536]
+
** 오윤주, 2024,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도성도〉 복원모사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6946936]
* 박선영(*)
 
**박선영, 2023, 1:10,000 한국 근대지형도의 특징과 「진주」 도엽의 문화적 요소, 『한국고지도연구』.169-198.[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4021]
 
**박선영(정부매, 최진무, 정암 공저), 2023, 근대지형도 수록 지명의 가타카나 표기 특징 분석 -인천광역시 자연지명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78402]
 
** 박선영, 2022, 근대지형도의 지명과 기호로 본 평양의 장소성, 『한국고지도연구』.[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25524]
 
** 박선영, 2021,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조선지형도(제2차지형도)의 특징 -국립중앙박물관과 스탠포드대학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46987]
 
**박선영, 2019,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특징– 국내외 주요 소장처를 중심으로 -, 『한국고지도연구』.[http://www.riss.kr/link?id=A106279490]
 

2025년 3월 31일 (월) 02:47 기준 최신판

HGIS : 지리 중심

  • 김종혁(←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김현종(←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박선영(←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최유식(←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박혜진
    • 박혜진, 2017, 『20세기 초 한국의 면(面) 경계 복원』,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1]

HGIS : 역사 중심

  • 양정현(←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남호현(←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주성지
    • 주성지, 2019, 구글맵을 활용한 최부 『표해록』의 노정 복원, 『역사민속학』 57, 229-263.[2]
  • 정요근
    • 정요근, 김현종, 2022, 「역사 GIS 기반 1910년 기준 면(面) 단위 행정구역의 복원」, 『한국사연구』. [3]
  • 유슬기
    • 유슬기, 2022, 『근대도시 경성에서의 토지가격 결정 요인 연구 -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4]
  • 엄기석
    • 엄기석, 2023,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을 활용한 조선후기 군현도로 복원 - 여지도서 황해도 도로조를 중심으로 - 」, 『한국고지도연구』, 15(2), 5-24쪽. [5]
  • 김현정
    • 김현정, 2025, 『1910년 전후 서울북촌연구 - 장소와 인물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6]

HGIS : DH 중심

  • 류인태
    • 류인태, 2019, 『데이터로 읽는 17세기 재지사족의 일상 : 『지암일기(1692~1699)』 데이터베이스 편찬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학중앙연구원.[7]
  • 김현
    • 김현, 임준근, 2009, 「GIS와 지역 문화 콘텐츠의 연계 응용 기술」, 『인문콘텐츠』. [8]

역사 GIS 관련 연구

  • 이상일
    • 이상일, 조대헌, 2014, 「고지도의 왜곡 양상에 대한 GIS-기반 연구」, 49(3), 『대한지리학회지』, 438-455쪽. [9]
  • 조대헌
    • 조대헌, 이상일, 2017, 「GIS 분석을 이용한 『대동여지도』의 투영법 추정」, 『한국지도학회지』, 17(2), 11-27쪽. [10]
  • 강동석
    • 강동석, 2011, GIS 를 활용한 지석묘 공간분포패턴의 사회경제적 배경 이해, 『중앙고고연구』 8, 1-37.[11]
    • 김유진, 강동석, 2022, 매장문화재 공간정보의 활용 방안 연구: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공간정보학회지』, 30(2), 21-29.[12]
  • 홍명진
    • 홍명진, 2017, 「일본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의 연구현황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일본 근세 시대 지역공간 복원방법을 사례로 -」, 『대한지리학회지』. [13]
  • 고아라
    • 고아라, 양승우, 2021, 「미세지형과 물길로 읽는 서울 역사도심 공간구조」, 『서울학연구』, [14]
    • 고아라, 2019, 「물길로 해석한 한성부 도시공간구조: GIS 수리수문분석을 활용하여」, 11(2), 113-134쪽. [15]
    • 고아라, 2018, 『물길을 중심으로 한 서울 역사도심의 도시형태 해석 : 27개 청계천 지천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 강지현
    • 강지현, 2022, 「지도로 본 경기도 가평군의 행정구역 변천 과정」, 『한국고지도연구』, 14(1), 121-146쪽. [17]
    • 강지현, 2022, 『경기도 가평군의 지명과 행정구역 변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 민경주, 정만호
    • 민경주, 정만호, 2022, 「디지털 대동여지도 개발과 인문 소프트웨어 개발 방향」, 『한문학논집』, 205-240쪽. [19]
  • 이옥선
    • 이옥선, 2012, 「디지털 동여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기반 고지도 서비스」, 『문화역사지리』, 24(1), 76-94쪽. [20]
  • 이민철
    • 이민철, 2011, 『구글 위성지도로 구현한 대동여지도의 지리정보 : 강원도 지역 山城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 기경량
    • 기경량, 2018, 『GIS 정보와 고지도를 활용한 고구려의 주요 교통로 및 거점 복원』 연구보고서, 한국연구재단. [22]
  • 이준학
    • 이준학, 백상호, 2015, 「GIS기반 군 관측소 입지분석 연구」, 『한국군사학논집』, 71(1), 131-147쪽. [23]
  • 서정신
    • 서정신, 2000, 「고지도와 디지털 내비게이션」, 『영상문화』, 2, 41-53쪽. [24]
  • 박경식
    • 박경식, 2010, 「고지도와 사진에 의한 월미도의 3차원 영상 복원」, 『한국측량학회지』, 28(1), 117-124쪽. [25]
  • 권지은
    • 권지은, 이지민, 2022, 「디지털 매체와 기술을 활용한 회화 문화재 복원 모사 방법 연구-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보물 <대동총도>모사본 제작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문화연구』, 23, 37-74쪽. [26]
  • 오윤주
    • 오윤주, 2024,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도성도〉 복원모사 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6(1), 97-133쪽. [27]
    • 오윤주, 2024,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도성도〉 복원모사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