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대동여지도 D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자 정규화)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DB 개요 == | == DB 개요 == | ||
* DB 설명 | * DB 설명 | ||
− | ** 대동여지도( | + | ** 대동여지도(김정호)의 지리정보를 주제별 레이어로 제작 |
− | ** 대동여지도 지명과 기호를 통합적으로 | + | ** 대동여지도 지명과 기호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역사지리사상 식별자 부여 |
+ | ** 저본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대동여지도』(奎 10333) | ||
* DB 구축자 | * DB 구축자 | ||
** DB 설계 : 김현종 | ** DB 설계 : 김현종 | ||
23번째 줄: | 24번째 줄: | ||
** 바다 DB 구축 : 김현종 | ** 바다 DB 구축 : 김현종 | ||
* 자료 공개 | * 자료 공개 | ||
− | ** 비영리적 활동(논문, 연구서)에 본 자료 사용시, | + | ** 비영리적 활동(논문, 연구서)에 본 자료 사용시, 인용 문구만 표시하면 사용에 제한 없음. |
** 영리적인 목적(프로젝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관계자(unqtsi@gmail.com)와 상의 후 처리. | ** 영리적인 목적(프로젝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관계자(unqtsi@gmail.com)와 상의 후 처리. | ||
** 본 자료 전체를 다른 곳에서 서비스하는 것은 제한함. | ** 본 자료 전체를 다른 곳에서 서비스하는 것은 제한함. | ||
31번째 줄: | 32번째 줄: | ||
== DB 구축 원칙 == | == DB 구축 원칙 == | ||
* 대동여지도의 모든 지리정보를 점, 선, 면 사상으로 디지타이징하고 역사지리사상 식별자 부여 | * 대동여지도의 모든 지리정보를 점, 선, 면 사상으로 디지타이징하고 역사지리사상 식별자 부여 | ||
− | * 고지도 통합방안체계 | + | * 고지도 통합방안체계 유형2(신경주 20리 방안체계)에 따라 좌표 부여 |
+ | * 지명 및 기호의 통합 분류 원칙 | ||
+ | ** 대동여지도의 지명의 유형은 기호와 최대한 연계해 분류 | ||
+ | *** 개별 지명이 의미가 있더라도 기호와 가까이 있는 경우 우선 기호 연계함 | ||
+ | *** ex) 안인포와 고진보 → 안인포라는 포구가 아니라 안인포진이라는 고진보로 분류 | ||
+ | *** 고산성과 봉수는 지명과 우선 연계하기 어려움 | ||
+ | ** 한개의 지명에 여러 기호(보통 2개)가 연계된 경우가 있음 | ||
+ | *** 지명쪽에는 : type_place에 +A유형+B유형, id는 강원_간성_열산○(조선) | ||
+ | *** 기호쪽에는 : 별도 메모 없음 | ||
+ | ** 실제 시설물의 이름은 지명과 다른 경우가 있음 | ||
+ | *** ex) 독산창→독창 : 일단 독산창으로 유지함 | ||
+ | *** 대부분의 고산성은 향후 지리지 참조해 명칭 수정 필요 | ||
+ | ** adm_locid는 한글 표기를 원칙으로 하되, 하나의 군현에 동일 한글 지명이 두 개 이상 있으면, 한자 표기 내지, 1~9 숫자 표기를 허용 | ||
+ | *** ex)경상_남해_漕창(조선), 경상_남해_鳥도(조선) | ||
== DB 구축 과정 == | == DB 구축 과정 == | ||
41번째 줄: | 55번째 줄: | ||
== DB 설계 == | == DB 설계 == | ||
− | * <todo:향후 | + | * <todo:향후 입력> |
− | == 지명 및 기호 유형 | + | == 지명 및 기호 유형 == |
− | + | {| class="wikitable" | |
+ | ! 순번 !! 유형_한글 !! 유형_한자 !! 지명 !! 기호 !! 지도표 !! 비고 | ||
+ | |- | ||
+ | | 1 || 영아 || 營衙 || O || O || 표시_01 || 주)營在邑治則無標 | ||
+ | |- | ||
+ | | 2 || 읍치 || 邑治 || O || O || 표시_02 || 세부유형)무성읍치, 유성읍치 | ||
+ | |- | ||
+ | | 3 || 산성 || 山城 || O || O || 표시_03_1 || 메모)지도표는 성지(城池) / 세부유형)산성, 관성 | ||
+ | |- | ||
+ | | 4 || 관성 || 關城 || O || O || 표시_03_2 || 메모)지도표는 성지(城池) / 세부유형)산성, 관성 | ||
+ | |- | ||
+ | | 5 || 진보 || 鎭堡 || O || O || 표시_04 || 세부유형)무성진보, 유성진보 | ||
+ | |- | ||
+ | | 6 || 역참 || 驛站 || O || O || 표시_05 || - | ||
+ | |- | ||
+ | | 7 || 창고 || 倉庫 || O || O || 표시_06 || 세부유형)무성창고, 유성창고 | ||
+ | |- | ||
+ | | 8 || 목장 || 牧場 || O || O || 표시_07 || 메모)지도표의 유형명은 목소(牧所) / 세부유형)목장, 속장 | ||
+ | |- | ||
+ | | 9 || 능침 || 陵寢 || O || O || 표시_08 || 주)始奉陵號書圈內 | ||
+ | |- | ||
+ | | 10 || 봉수 || 烽燧 || - || O || 표시_09 || - | ||
+ | |- | ||
+ | | 11 || 방리 || 坊里 || O || O || 표시_10 || - | ||
+ | |- | ||
+ | | 12 || 고현 || 古縣 || O || O || 표시_11_1 || 메모)지도표는 고현(古縣) / 세부유형)무성고현, 유성고현, 구읍지유성 | ||
+ | |- | ||
+ | | 13 || 구읍 || 舊邑 || O || O || 표시_11_2 || 메모)지도표는 고현(古縣) / 세부유형)무성고현, 유성고현, 구읍지유성 | ||
+ | |- | ||
+ | | 14 || 고진보 || 古鎭堡 || O || O || 표시_12 || 세부유형)무성고진보, 유성고진보 | ||
+ | |- | ||
+ | | 15 || 고산성 || 古山城 || - || O || 표시_13 || - | ||
+ | |- | ||
+ | | 16 || 도로 || 道路 || - || O || 표시_14 || - | ||
+ | |- | ||
+ | | 17 || 파수 || 把守 || O || O || <지도만> || 메모)지도표에는 없으나, 지도에 그려진 기호 | ||
+ | |- | ||
+ | | 18 || 산 || 山 || O || - || - || - | ||
+ | |- | ||
+ | | 19 || 고개 || 古介 || O || - || - || - | ||
+ | |- | ||
+ | | 20 || 평야지형 || 平野地形 || O || - || - || - | ||
+ | |- | ||
+ | | 21 || 산지지형 || 山地地形 || O || - || - || - | ||
+ | |- | ||
+ | | 22 || 하천 || 河川 || O || - || - || - | ||
+ | |- | ||
+ | | 23 || 호수 || 湖水 || O || - || - || - | ||
+ | |- | ||
+ | | 24 || 하천지형 || 河川地形 || O || - || - || - | ||
+ | |- | ||
+ | | 25 || 도서 || 島嶼 || O || - || - || - | ||
+ | |- | ||
+ | | 26 || 해안지형 || 海岸地形 || O || - || - || - | ||
+ | |- | ||
+ | | 27 || 월경지 || 越境地 || O || - || - || - | ||
+ | |- | ||
+ | | 28 || 촌락 || 村落 || O || - || - || - | ||
+ | |- | ||
+ | | 29 || 나루 || 津 || O || - || - || - | ||
+ | |- | ||
+ | | 30 || 포구 || 浦 || O || - || - || - | ||
+ | |- | ||
+ | | 31 || 발참 || 發站 || O || - || - || - | ||
+ | |- | ||
+ | | 32 || 누정 || 樓亭 || O || - || - || - | ||
+ | |- | ||
+ | | 33 || 사찰 || 寺刹 || O || - || - || - | ||
+ | |- | ||
+ | | 34 || 탑비 || 塔碑 || O || - || - || - | ||
+ | |- | ||
+ | | 35 || 교량 || 橋梁 || O || - || - || - | ||
+ | |- | ||
+ | | 36 || 제방 || 堤防 || O || - || - || - | ||
+ | |- | ||
+ | | 37 || 건축물 || 建築物 || O || - || - || - | ||
+ | |- | ||
+ | | 38 || 고적 || 古跡 || O || - || - || - | ||
+ | |- | ||
+ | | 39 || 기타 || 其他 || O || - || - || - | ||
+ | |- | ||
+ | | 40 || 주 || 註 || - || - || - || - | ||
+ | |} | ||
== 대동여지도 지명 및 기호 통계 == | == 대동여지도 지명 및 기호 통계 == | ||
− | * 기호만 : 1194개 → 1243개 | + | * 기호만 : 1194개 → 1243개 → 1294개 |
− | * 기호(지명연동) : 2238개 → 2283개 | + | * 기호(지명연동) : 2238개 → 2283개 → 2260개 |
* 기호(지명포함) : 448개 → 447개 | * 기호(지명포함) : 448개 → 447개 | ||
− | * 주기 : 9개 | + | * 주기 : 9개 → 15개 |
− | * 지명만 : 8654개 → 8742개 | + | * 지명만 : 8654개 → 8742개 → 8820개 |
− | * 지명(기호연동) : 2216개 → 2130개 | + | * 지명(기호연동) : 2216개 → 2130개 → 2051개 |
− | * 모든 지명 개수 : 11318개 → 11319개 | + | * 모든 지명 개수 : 11318개 → 11319개 → 11318개 |
− | + | ** = 기호(지명포함) + 지명만 + 지명(기호연동) | |
− | * 모든 기호 개수 : 3880개 → 3973개 | + | ** 월경지 표기 보완 9개 포함 |
− | * 고유 역사지리사상 : 12982개 → 12715개 | + | * 모든 기호 개수 : 3880개 → 3973개 → 4001개 |
+ | ** = 기호만 + 기호(지명연동) + 기호(지명포함) | ||
+ | * 고유 역사지리사상 : 12982개 → 12715개 → 12821개 | ||
+ | ** = 기호만 + 기호(지명연동) + 기호(지명포함) + 지명만 | ||
※ 경조도 및 도성도의 지명 및 기호 개수는 제외 | ※ 경조도 및 도성도의 지명 및 기호 개수는 제외 | ||
2025년 4월 4일 (금) 02:21 기준 최신판
공개 DB
- 조선_대동여지도_지명및기호 : 【다운로드(shapefile)】
- 조선_대동여지도_군현경계 : 【다운로드(shapefile)】
- 조선_대동여지도_도로 : 【다운로드(shapefile)】
- 조선_대동여지도_목장울타리 : 【다운로드(shapefile)】
- 조선_대동여지도_산줄기 : 【다운로드(shapefile)】
- 조선_대동여지도_물줄기 : 【다운로드(shapefile)】
- 조선_대동여지도_바다 : 【다운로드(shapefile)】
※ 개별 DB는 위키 페이지보다 원본 파일이 최신 정보임
DB 개요
- DB 설명
- 대동여지도(김정호)의 지리정보를 주제별 레이어로 제작
- 대동여지도 지명과 기호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역사지리사상 식별자 부여
- 저본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대동여지도』(奎 10333)
- DB 구축자
- DB 설계 : 김현종
- 지명 및 기호 DB 구축 : 김현종, 박선영
- 군현경계 DB 구축 : 김현종, 박소민
- 도로 DB 구축 : 김현종
- 목장울타리 DB 구축 : 김현종
- 산줄기 DB 구축 : 박선영, 진예원
- 물줄기 DB 구축 : 박선영, 박소민
- 바다 DB 구축 : 김현종
- 자료 공개
- 비영리적 활동(논문, 연구서)에 본 자료 사용시, 인용 문구만 표시하면 사용에 제한 없음.
- 영리적인 목적(프로젝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관계자(unqtsi@gmail.com)와 상의 후 처리.
- 본 자료 전체를 다른 곳에서 서비스하는 것은 제한함.
- 본 DB에 오류가 발견된 경우, unqtsi@gmail.com에 오류 신고.
- 인용 표기 : 「조선시대 행정구역 DB」, 202X년 X월 기준, 역지사지(https://www.hisgeo.info).
DB 구축 원칙
- 대동여지도의 모든 지리정보를 점, 선, 면 사상으로 디지타이징하고 역사지리사상 식별자 부여
- 고지도 통합방안체계 유형2(신경주 20리 방안체계)에 따라 좌표 부여
- 지명 및 기호의 통합 분류 원칙
- 대동여지도의 지명의 유형은 기호와 최대한 연계해 분류
- 개별 지명이 의미가 있더라도 기호와 가까이 있는 경우 우선 기호 연계함
- ex) 안인포와 고진보 → 안인포라는 포구가 아니라 안인포진이라는 고진보로 분류
- 고산성과 봉수는 지명과 우선 연계하기 어려움
- 한개의 지명에 여러 기호(보통 2개)가 연계된 경우가 있음
- 지명쪽에는 : type_place에 +A유형+B유형, id는 강원_간성_열산○(조선)
- 기호쪽에는 : 별도 메모 없음
- 실제 시설물의 이름은 지명과 다른 경우가 있음
- ex) 독산창→독창 : 일단 독산창으로 유지함
- 대부분의 고산성은 향후 지리지 참조해 명칭 수정 필요
- adm_locid는 한글 표기를 원칙으로 하되, 하나의 군현에 동일 한글 지명이 두 개 이상 있으면, 한자 표기 내지, 1~9 숫자 표기를 허용
- ex)경상_남해_漕창(조선), 경상_남해_鳥도(조선)
- 대동여지도의 지명의 유형은 기호와 최대한 연계해 분류
DB 구축 과정
- 대동여지도 이미지 지오레퍼런싱
- 대동여지도 이미지 전체를 벡터라이징 후 개체별 유형 분류
- 대동여지도 지명 및 기호 포인트 레이어 구축
- 유형별 레이어 후처리
- <todo:향후 상세 내역 작성>
DB 설계
- <todo:향후 입력>
지명 및 기호 유형
순번 | 유형_한글 | 유형_한자 | 지명 | 기호 | 지도표 | 비고 |
---|---|---|---|---|---|---|
1 | 영아 | 營衙 | O | O | 표시_01 | 주)營在邑治則無標 |
2 | 읍치 | 邑治 | O | O | 표시_02 | 세부유형)무성읍치, 유성읍치 |
3 | 산성 | 山城 | O | O | 표시_03_1 | 메모)지도표는 성지(城池) / 세부유형)산성, 관성 |
4 | 관성 | 關城 | O | O | 표시_03_2 | 메모)지도표는 성지(城池) / 세부유형)산성, 관성 |
5 | 진보 | 鎭堡 | O | O | 표시_04 | 세부유형)무성진보, 유성진보 |
6 | 역참 | 驛站 | O | O | 표시_05 | - |
7 | 창고 | 倉庫 | O | O | 표시_06 | 세부유형)무성창고, 유성창고 |
8 | 목장 | 牧場 | O | O | 표시_07 | 메모)지도표의 유형명은 목소(牧所) / 세부유형)목장, 속장 |
9 | 능침 | 陵寢 | O | O | 표시_08 | 주)始奉陵號書圈內 |
10 | 봉수 | 烽燧 | - | O | 표시_09 | - |
11 | 방리 | 坊里 | O | O | 표시_10 | - |
12 | 고현 | 古縣 | O | O | 표시_11_1 | 메모)지도표는 고현(古縣) / 세부유형)무성고현, 유성고현, 구읍지유성 |
13 | 구읍 | 舊邑 | O | O | 표시_11_2 | 메모)지도표는 고현(古縣) / 세부유형)무성고현, 유성고현, 구읍지유성 |
14 | 고진보 | 古鎭堡 | O | O | 표시_12 | 세부유형)무성고진보, 유성고진보 |
15 | 고산성 | 古山城 | - | O | 표시_13 | - |
16 | 도로 | 道路 | - | O | 표시_14 | - |
17 | 파수 | 把守 | O | O | <지도만> | 메모)지도표에는 없으나, 지도에 그려진 기호 |
18 | 산 | 山 | O | - | - | - |
19 | 고개 | 古介 | O | - | - | - |
20 | 평야지형 | 平野地形 | O | - | - | - |
21 | 산지지형 | 山地地形 | O | - | - | - |
22 | 하천 | 河川 | O | - | - | - |
23 | 호수 | 湖水 | O | - | - | - |
24 | 하천지형 | 河川地形 | O | - | - | - |
25 | 도서 | 島嶼 | O | - | - | - |
26 | 해안지형 | 海岸地形 | O | - | - | - |
27 | 월경지 | 越境地 | O | - | - | - |
28 | 촌락 | 村落 | O | - | - | - |
29 | 나루 | 津 | O | - | - | - |
30 | 포구 | 浦 | O | - | - | - |
31 | 발참 | 發站 | O | - | - | - |
32 | 누정 | 樓亭 | O | - | - | - |
33 | 사찰 | 寺刹 | O | - | - | - |
34 | 탑비 | 塔碑 | O | - | - | - |
35 | 교량 | 橋梁 | O | - | - | - |
36 | 제방 | 堤防 | O | - | - | - |
37 | 건축물 | 建築物 | O | - | - | - |
38 | 고적 | 古跡 | O | - | - | - |
39 | 기타 | 其他 | O | - | - | - |
40 | 주 | 註 | - | - | - | - |
대동여지도 지명 및 기호 통계
- 기호만 : 1194개 → 1243개 → 1294개
- 기호(지명연동) : 2238개 → 2283개 → 2260개
- 기호(지명포함) : 448개 → 447개
- 주기 : 9개 → 15개
- 지명만 : 8654개 → 8742개 → 8820개
- 지명(기호연동) : 2216개 → 2130개 → 2051개
- 모든 지명 개수 : 11318개 → 11319개 → 11318개
- = 기호(지명포함) + 지명만 + 지명(기호연동)
- 월경지 표기 보완 9개 포함
- 모든 기호 개수 : 3880개 → 3973개 → 4001개
- = 기호만 + 기호(지명연동) + 기호(지명포함)
- 고유 역사지리사상 : 12982개 → 12715개 → 12821개
- = 기호만 + 기호(지명연동) + 기호(지명포함) + 지명만
※ 경조도 및 도성도의 지명 및 기호 개수는 제외
한자 정규화
- 舡→船 : 일괄 변환
- 岺→嶺 : 일괄 변환
- 旧→舊 : 일괄 변환
- 沉→沈 : 일괄 변환
- 曳→戌 : 일괄 변환
- 竜→龍 : 일괄 변환
- 灵→靈 : 일괄 변환
- 灯→燈 : 일괄 변환
- 万→萬 : 일괄 변환
- 迁→遷 : 일괄 변환
- 回(안쪽 口가 왼쪽으로 붙은것) → 因 : 개별 검토
향후 작업
- (todo) 대동여지도 내 도성도 DB 작업
- (todo) 대동여지도 내 경조오부도 DB 작업
- (todo) 산줄기에 산경표 정보 기입
- (todo) 물줄기에 강이름 정보 기입
- (todo) 도로에 대동여지도 정리고 정보 기입 -> 완전 경로가 일치하지 않음.
DB 변화 이력
- 2024년 04월 30일 : DB 최초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