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의 지역문화컨텐츠 기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역지사지(歷地思之)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연구 관심 지역== *철원 : 철원 농업지리 [https://www.cwg.go.kr/atc/index.do] === 지도 === <iframe key="googlemymap" path="maps/d/embed?mid=1XHesgk0is6Rr_HozBsaLMmHVG...)
 
잔글 (Histgeo님이 제천의 지역문화컨텐츠 문서를 제천의 지역문화컨텐츠 기획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연구 관심 지역==
+
==제천의 기본 개요==
*철원 : 철원 농업지리 [https://www.cwg.go.kr/atc/index.do]
+
===지역적 위치===
 +
<pre>
 +
한반도 중심의 중부내륙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단양군과 강원도 영월군, 서쪽으로는 충주시,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문경시, 북쪽으로는 강원도 원주시와 접한다.제천시는 차령산맥과 소백산맥의 중간에 위치하여 중부 내륙 산간지역의 약초산출 적지를 형성. </pre>
  
=== 지도 ===
+
<mapframe text="한국학중앙연구원" width="850" height="350" zoom="16" longitude="128.141005" latitude="37.0597328" align="center" />
<iframe key="googlemymap" path="maps/d/embed?mid=1XHesgk0is6Rr_HozBsaLMmHVGAsFAC0&ehbc=2E312F"width="640" height="480"></iframe>
 
  
===철원===
 
<mapframe text="철원" width="350" height="350" zoom="13" longitude="127.2482" latitude="38.2066" />
 
  
* 철원군농업기술센터 <maplink zoom="16" longitude="127.2482" latitude="38.2066" />
+
===지역의 유래===
* DMZ평화공원 <maplink zoom="16" longitude="127.2332" latitude="38.3076" />
+
* 신라시대에 내제군(奈堤郡)
* 토교저수지 <maplink zoom="16" longitude="127.2936" latitude="38.2825" />
+
* 고려 건국후 제주(堤州)
 +
* 고려 현종 9년에 제주군과 청풍현으로 개편
 +
* 조선시대에 제천현과 청풍군으로 불리다 1940년대에 제천현의 [읍] 승격
 +
* 1980년도에 [시] 승격, 95년도에 시군 통합되어 현재에 이름
 +
* 현재 1읍 7면 9동으로 이루어졌고 시청소재지는 천남동이다
 +
출처 : <ref>제천시청 [www.jecheon.go.kr]</ref>
  
====철원 고지도====
+
== 제천만의 한방 문화자원==
[[파일:해동지도-철원부.png|섬네일|『해동지도』 「철원부」]]
 
  
『해동지도』 '''「철원부」'''의 상단에는 '''철원부''' (鐵原府)라는 지역명을 적고 옆으로 철원부의 호구와 전결, 군병 등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중단에 철원부의 지도가 그려져 있으며, 하단에는 주변 군현과의 거리, 각 면(面)의 위치를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중단의 지도를 보면, 중앙의 읍치를 둘러싼 산과 강을 강조하여 철원부의 지형을 표현한 것을 볼 수 있다. 동쪽과 서쪽에는 하천이 있는데 각각 남쪽으로 흘러간다. 읍치로부터 주변 고을로 연결되는 도로망은 붉은 선으로 그렸다. 동변면, 서변면, 송내면, 어운동면, 갈말면, 관인면, 고을파면, 무장면, 북면 등 행정구역의 위치도 표시하였는데, 지도상의 행정구역명과 지도 아래 기록한 행정구역명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특히 지도에 표시된 고을파면의 경우, 위치로 보아 『1872년 지방지도』 「철원구방지도」의 신서면에 해당하는데, 지도 하단에는 해당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지역 내의 시설과 유적, 명승 등을 상세하게 표시하였다. 읍치 북쪽에는 펼쳐진 평야를 평원(平原)이라 적었는데, 근처에 궁예(弓裔)가 건설한 태봉국의 도성인 궁왕고도(弓王古都)가 있다. [http://cheorwon.grandculture.net/cheorwon/search/GC07800292?keyword=%EC%B2%A0%EC%9B%90%20%EA%B3%A0%EC%A7%80%EB%8F%84&page=1]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
===우월한 한약재 생산 자연환경===
 +
제천 지역은 산악 지대의 구릉지와 사경사지에 석회 지질층이 분포하고, 연평균 기온 10.1℃, 최고 평균 기온 16.5℃, 강우량은 1,100㎜로 약초의 생육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제천은 사계절이 뚜렷한 중산간 지대에 준고랭지의 분지형으로 일교차가 크고, 석회암과 사질 토양의 지질층으로 물 빠짐이 좋아 육질이 단단하고 약효가 월등한 약초 재배의 적지로 정평이 나 있다.
  
===개설===
+
===다양한 한방 스토리 소재===
 +
* 제천은 조선시대부터 대구, 전주와 함께 조선시대 3대 약령시장의 하나였으며 한약재의 생산 및 유통의 중심도시였다. 현재  전국 약초 생산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전국 황기 유통의  80%를 점유하고 있으며 제천에서 직접 재배한 약초를 바탕으로 한국의 약재 거래 중심지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
* 제천의 대표적인 의약인물로는 선조대의 이공기(李公沂, 생몰년 미상)가 허준과 어깨를 나란히 한 扈聖功臣으로 평가받았다.
 +
* 약선서<식료찬요(食療纂要)>의 간행: <식료찬요)는 한국의 본격 약선서로 제천시 백운면 애련리에서 출생한 손순효가 경상감사로 있을 때 
 +
    (1460)상주에서  간행하였고 우찬성이 되었을 때 성종에게 진상하였다.
 +
* 다양한 한약 의료 설화가 전해지고 있으며 의약설화와 같은 콘텐츠는 스토리텔링을  위한 소재가 풍부하다.
  
  강원도 '''철원군'''[https://www.cwg.go.kr/www/index.do]은 북위 38°05′~38°20′, ‘동경 127°05′~127°53′에 위치하며, 한반도의 중앙부에 자리 잡고 있다. 겨울이 춥고 건조한 대륙성 기후로서 연강수량은 많지만 여름철 강수의 집중도가 매우 높다. 서울에서 원산에 이르는 추가령구조곡이 지나가는 곳으로, 철원-평강 용암대지를 중심으로 남동부에 높은 산지와 북서부에 낮은 산지가 있으며 다양한 지층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탄강'''[https://www.hantangeopark.kr/]과 '''화강'''[http://river.cwg.go.kr/sub1/sub1-3-1.php], '''역곡천''', '''금성천''' 등의 수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임진강'''[https://namu.wiki/w/%EC%9E%84%EC%A7%84%EA%B0%95]과 북한강을 거쳐 한강으로 유입한다. 접경지역의 특성으로 인하여 개발이 제한된 탓에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다. 철새의 도래지[철원 철새 도래지, 천연기념물 제245호]가 되었으며, 화강과 그 지류 하천들에는 토종 민물고기가 서식한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http://www.grandculture.net/korea]
+
===지리지에 기록된 제천의 한약재===
 +
* 『제천군현지(堤川郡邑誌)』 토산조
 +
  철(鐵)ㆍ 대추ㆍ봉밀(蜂蜜)[벌꿀] ㆍ송이 [松蕈] ㆍ자초(紫草)[지치]ㆍ산무애뱀[白花蛇] ㆍ안식향(),복령(茯笭) ㆍ신감초(辛甘草)[승검최] ㆍ영양각(羚羊角) ㆍ방풍(防風)(총 11종 수록)
 +
출처 : <ref>『제천군현지(堤川郡邑誌)』</ref>
  
{| class="wikitable"
+
* [세종실록](지리지)
|-
+
** 토의(土宜): 기장·피·벼·조·콩·보리·뽕나무·닥나무·칠(漆)
! 한탄강
+
** 토공(土貢):  꿀·밀[黃蠟]·칠(漆)·종이·돼지털·곰의 털[熊毛]·족제비털[黃毛]·범의 가죽[虎皮]·여우가죽[狐皮]·삵괭이가죽[狸皮]·느타리·석이·호도·지초요, 약재(藥材)는 승검초뿌리[當歸]· 복령(茯苓)·복신(茯神)·담비쓸개[獺膽]·자단향(紫檀香)·담쟁이[洛石]·대왕풀[白芨]·인삼
! 화강
+
** 토산(土産): 신감초(辛甘草)·순채(蓴菜)·잇[紅花]. (총 34종 수록)
! 철원 은하수교
+
출처 : <ref>『[세종실록](지리지)』</ref>
|-
 
| [[파일:한탄강-Iktae Jin.jpg|섬네일|한탄강]]
 
| [[파일:화강-철원군사이트.jpeg|섬네일|오른쪽|화강]]
 
| [[파일:은하수교-남끄엉.jpg|섬네일|은하수교]]
 
|}
 
  
===지질===
+
* [신증동국여지승람], 토산조
'''철원군''' 지역은 한반도 '''지체 구조상 경기육괴'''[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0010102424236.pdf]에 속한다.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를 기반암으로 하여, 이를 관입한 화강암과 그 위로 분출한 화산암 등 다양한 암석과 지층이 분포하고 있다.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는 경기편마암복합체와 연천층군이 있는데, 북서부의 마식령산맥과 남동부의 광주산맥 동측 사면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은 쥐라기 대보 화강암과 백악기의 명성산 화강암이 있는데, 철원의 중부, 동부, 남부 일대의 산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천에 의하여 개석된 지역은 산간분지를 형성하고 있다. 중생대 백악기에 분출한 화산암은 현무암, 안산암, 응회암 등이 분포하며, 신생대 제4기 현무암이 철원-평강 일대에 용암대지를 형성하였다.
+
** 순채[蓴] 의림지(義林池)에서 난다. 철(鐵) 현 북쪽 미고개(未古介)에서 난다. 대추[棗]ㆍ꿀[蜂蜜]ㆍ송이[松蕈]ㆍ지치[紫草]ㆍ산무애뱀[白花蛇]ㆍ안식향(安息香)ㆍ복령(茯苓)ㆍ신감채(辛甘菜). 『신증』 영양각(羚羊角)ㆍ방풍(防風).(총 12종 수록)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http://www.grandculture.net/korea]
+
출처 : <ref>『[신증동국여지승람』</ref>
  
===지형===
+
* [여지도서], 물산(物産)조
 +
** 봉밀(蜂蜜)[벌꿀] ㆍ송심(松蕈)[송이버섯] ㆍ자초(紫草)[지치]ㆍ복령(茯笭) ㆍ신감초(辛甘草)[승검최]ㆍ 방풍(防風)(총 6종)
 +
출처 : <ref>『[여지도서』</ref>
  
철원군에서 가장 높은 산지는 '''대성산'''[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4502] (大成山) [1,175m]이 있는, 철원의 남동부 지역이다. 한북정맥을 따라 해발고도 1,000m 내외의 험준한 산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강원도 화천군과 경기도 포천시와의 자연 경계를 이룬다. 서부 지역에는 백악기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산지가 분포하는데, '''금학산'''[http://cheorwon.grandculture.net/cheorwon/index/GC07801152?category=%EC%9D%B8%EB%AA%85&depth=2&name=%EA%B0%80&page=4&search=%EA%B6%81%EC%98%88](金鶴山)[941m]과 '''용정산'''[http://cheorwon.grandculture.net/cheorwon/index/GC07800058?category=지명%2F기관명&depth=2&name=A~Z%2C0~9&page=35&search=고대산](龍井山)[672m]이 대표적이다. 남부 지역에는 '''명성산'''[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8294](鳴聲山)[922m]과 '''각흘산'''[http://cheorwon.grandculture.net/cheorwon/index/GC07800048?category=지명%2F기관명&depth=2&name=자&page=1&search=자등현](角屹山)[838m]으로 이어지는 700~900m 정도의 산지가 분포한다. 북서부 지역은 마식령산맥에 해당하며 철원에서는 비교적 낮은 산지가 분포하는데, '''효성산'''(曉星山)[596m], '''고성산'''[http://www.koreasanha.net/san/goseongsan_anseong.htm](故城山)[588m] 등이 있다. 철원군에서 발원한 하천은 모두 한강 유역에 해당하는데, 대표적인 하천으로는 한탄강과 화강, 역곡천, 금성천 등이 있다. 한탄강은 남한 지역의 유일한 현무암 협곡으로 ‘한탄강 지질공원’의 핵심 지역이다. 주상절리가 발달한 현무암 절벽, 본류와 지류의 폭포, 포트홀과 타포니 등 다양한 풍화·침식 지형이 나타난다. 과거 남대천에서 이름이 바뀐 화강은 한탄강에 유입한다. 평강에서 발원한 역곡천은 철원의 재송평을 거쳐 남한 지역을 잠시 흐르면서 서쪽으로 흘러 임진강으로 유입하며, 금성천은 비무장지대에서 동쪽으로 흘러 남한의 북한강으로 유입한다. 철원군에는 넓은 용암대지를 중심으로 화강암 분포지를 주위에 소규모의 산간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철원-평강 용암대지는 지역에 따라 재송평(栽松坪), 대야잔평(大也盞坪), 평강분지(平康盆地), 지암분지(芝巖盆地) 등으로 구분된다. 화강암 분포 지역에는 소규모 침식분지가 발달하여, 운장분지(雲場盆地), 청양분지(淸陽盆地), 마현분지(馬峴盆地), 민들레벌[험석분지] 등이 있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http://www.grandculture.net/korea]
+
== 제천지역 콘텐츠 구축 방향==
 +
=== 한방-생태 멀티건강도시===
 +
* 제천의 풍부한 한방 역사문화 소재를 바탕으로 한방생태휴양관광 거점단지 조성으로 한방-생태 멀티건강도시 브랜드 육성.
 +
* 역사 문화는 한약재 중심으로, 지역 특성은 약령시 중심으로, 건강 휴양은 치유의 도시, 미식은 한방 요리와 약식동원 중심으로 '한방-생태 멀티건강도시' 라는 제천의 특확된 브랜드를 육성하는 콘텐츠 전략이다.
 +
* 스토리텔링 마케팅 개발, 힐링 요법, 멘토링 제(약손, 약발, 느림, 명상, 치유, 약선 등) 등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체감형 콘텐츠 프로그램 개발.
  
===기후===
+
=== 콘텐츠 항목의 선정과 분류 체계 ===
 +
콘텐츠 항목의 선정과 분류 체계는 기본적으로 한방과 생태라는 핵심주제를 삼아 지도로 보는 제천, 주제로 보는 제천, 연표로 보는 제천로 구성하고자 한다.
 +
*지도로 보는 제천:
 +
*주제로 보는 제천:
 +
*연표로 보는 제천:
  
'''철원'''[https://www.cwg.go.kr/www/index.do]은 '''겨울'''에 춥고 건조한 지역으로 쾨펜과 가이거의 분류에 따르면 Dwa[동계 한랭 건조, 더운 여름]로 구분된다. 1981년~2010년의 평년값을 기준으로 '''연평균 기온'''은 10.2℃, '''최한월'''인 1월 평균기온은 –5.5℃, '''최난월인''' 8월 평균기온은 23.8℃이다. '''연강수량'''은 1,391㎜이며, 이 중 7월과 8월 강수량이 739㎜로 전체의 53%를 차지한다. 임진강 유역은 우리나라 3대 다우 지역의 하나로 강수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는 집중강우로 홍수 피해가 심한 지역이다.
+
=== 예시 ===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http://www.grandculture.net/korea]
+
* 지도로 보는 제천: 제천 대표 명소(세슘)3D 지도 || [http://dh.aks.ac.kr/~sandbox/cgi-bin/map/CesiumSpaceXml.py?xml=http://digerati.aks.ac.kr/DhLab/2023/101/student/feng/JeCheon/HanbangJeCheon.xml]  
  
===토양===
+
* 주제로 보는 제천: 약초생활건강, '자연에서 자연으로' 라는 순리를 추구하는 곳이다.
 +
** 산약초 먹거리: 산약초 비빔밥, 돼지고기 한방수육
 +
** 산야초 체험관 민박
 +
** 천연스킨,로션 만들기
 +
[[파일:예촌.jpg|섬네일|가운데|산약초 집밥]]
  
'''철원'''[https://www.cwg.go.kr/www/index.do] 지역은 다양한 '''암석'''과 '''지층'''이 분포하고 '''산지'''[http://cheorwon.grandculture.net/cheorwon/toc/GC07800037]와 '''평야'''[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6160], '''하천'''[http://cheorwon.grandculture.net/cheorwon/dir/GC07800082?category=%EC%8B%9C%EB%8C%80&depth=3&name=%ED%98%84%EB%8C%80&search=%ED%98%84%EB%8C%80%2F%ED%98%84%EB%8C%80] 등 다양한 지형환경으로 인하여 여러 종류의 '''토양'''이 분포하고 있다. '''암쇄토''', '''적황색토''', '''충적토''', '''회색토''' 등이 분포하는데, 산지를 중심으로 '''암쇄토'''가 광역적으로 나타나고 화강과 그 지류를 중심으로 충적토가 분포한다. 적황색 또는 회색토는 주로 용암대지 위에 형성되어 있다. 현무암 충적층을 모재로 하여, 평탄지에 분포하고 있는 철원의 대표적 토양을 ''' ‘철원통’ '''이라고 하는데, 실트질 식토나 식양토로 구성되며 토양 비옥도는 높은 편이다.
+
== 참고 문헌==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http://www.grandculture.net/korea]
+
*안상경, 「약재진상의 관광자원화와 문화권역」, 「 역사문화학회 심포지엄」,  2009
 +
*김영순 외,  「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 「 북코리아」, 2010,
 +
*김남일,  「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 「 들녘」, 2011
 +
*이현숙, 「고려시대 관료제하의 의료와 민간의료」,  「 동방학지」, Vol. 139, 2007
 +
*안숭범, 「논산지역 강변 문화관광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방법론 연구」, 「 국제어문」 , 52집, 2011
 +
*한국한의학연구원, 「제천약초 뿌리찾기와 한의약 문화연구」, 제천시, 2008
 +
*충북학연구소, 「충청북도, 조선시대 충북특산 진상명품 브랜드」,2009
 +
*제천 휴윗
  
===생태 환경===
+
== 출처 ==
 +
<references/>
  
'''철원'''[https://www.cwg.go.kr/www/index.do] 지역은 '''접경지역'''[https://www.dmz.go.kr/korean/wantknow/border_area][http://webzine.puac.go.kr/tongil/sub.php?number=3048]의 특성으로 인해 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다. '''식생'''은 대체로 냉온대 중부 또는 냉온대 북부 식생대로 구분되며 신갈나무가 우점하여 있다. '''현존 식생'''은 신갈나무를 중심으로 '''상수리나무''', '''소나무'''[http://cheorwon.grandculture.net/cheorwon/index/GC07801195?category=%EC%9D%B8%EB%AA%85&depth=2&name=A~Z%2C0~9&page=5&search=%EA%B9%80%EA%B5%AD%EA%B7%9C], '''잣나무''', '''사스래나무''', '''고로쇠나무''', '''층층나무''' 등이 '''교목''' 또는 '''아교목'''으로 분포하여, '''당단풍''', '''쪽동백나무''', '''생강나무''' 등이 '''아교목''' 및 '''관목'''으로 분포한다. 대부분의 산지가 지난 60여 년간 민간인의 출입이 제한되었던 탓에 원시림에 버금가는 생태계가 조성되어 있다. 특히, DMZ 일대는 '''두루미'''[https://www.cwg.go.kr/dmzmpt/contents.do?key=1245], '''독수리'''[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6155], '''기러기''' 등 '''겨울철새'''들을 비롯하여 희귀 철새지의 '''도래지'''가 되었으며, 화강과 그 지류 하천들에는 '''토종 민물고기'''[http://www.gwu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72]가 서식한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http://www.grandculture.net/korea]
+
[[분류:지역문화콘텐츠_2023]] [[분류:제천의 지역문화콘텐츠]]
 
 
{| class="wikitable"
 
|-
 
! 철원9경
 
! 철원 두루미
 
! 철원 재두루미
 
|-
 
| [[파일:삼부연폭포-Iktae Jin.jpg|섬네일|철원9경]]
 
| [[파일:철원 두루미-Yong-Chul Kim.jpg|섬네일|오른쪽|두루미]]
 
| [[파일:재두루미-Iktae Jin.jpg|섬네일|재두루미]]
 
|}
 
 
 
== 표 ==
 
{| class="wikitable"
 
|-
 
! <br />번호
 
! <br />지역
 
! <br />종료
 
! <br />이름
 
! <br />생태
 
! <br />비고
 
|-
 
| rowspan="4" | <br />1
 
| rowspan="4" | <br />경기/철원 도호부/삭녕군
 
| <br />토의(土宜)
 
| <br />오곡(五穀,) 조·팥·수수·메밀·뽕나무·삼[麻]
 
| <br />있음
 
| <br />No
 
|-
 
| <br />토공(土貢)
 
| <br />오곡(五穀,) 조·팥·수수·메밀·뽕나무·삼[麻]
 
| <br />있음
 
| <br />No
 
|-
 
| <br />약재(藥材
 
| <br />오미자(五味子)
 
| <br />있음
 
| <br />No
 
|-
 
| <br />토산(土産)
 
| <br />
 
| <br />생략
 
| <br />다른  지역보다 없음
 
|-
 
| rowspan="4" | <br />2
 
| rowspan="4" | <br />경기 / 철원 도호부 / 장단현
 
| <br />토의(土宜)
 
| <br />오곡(五穀), 조·팥·수수·메밀·뽕나무·삼[麻]
 
| <br />있음
 
| <br />No
 
|-
 
| <br />토공(土貢)
 
| <br />느타리·지초
 
| <br />있음
 
| <br />No
 
|-
 
| <br />약재(藥材
 
| <br />오미자·승검초[當歸]·안식향(安息香)·백복령(白茯苓)
 
| <br />있음
 
| <br />No
 
|-
 
| <br />토산(土産)
 
| <br />인삼·감초·산개(山芥)·송이[松茸]
 
| <br />있음
 
| <br />다른  지역보다 토산이 있음
 
|-
 
| rowspan="4" | <br />3
 
| rowspan="4" | <br />경기 / 철원 도호부 / 장단현
 
| <br />토의(土宜)
 
| <br />조·팥·메밀·뽕나무·삼[麻]
 
| <br />있음
 
| <br />No
 
|-
 
| <br />토공(土貢)
 
| <br />지초
 
| <br />있음
 
| <br />No
 
|-
 
| <br />약재(藥材
 
| <br />검산풀뿌리[續斷]
 
| <br />있음
 
| <br />No
 
|-
 
| <br />토산(土産)
 
| <br />
 
| <br />생략
 
| <br />다른  지역보다 없음
 
|-
 
| rowspan="4" | <br />4
 
| rowspan="4" | <br />경기 / 철원 도호부 / 안협현
 
| <br />토의(土宜)
 
| <br />오곡(五穀), 조·수수·팥·녹두·메밀·참깨·뽕나무·삼[麻]
 
| <br />있음
 
| <br />No
 
|-
 
| <br />토공(土貢)
 
| <br />꿀·느타리·싸리버섯·지초
 
| <br />있음
 
| <br />No
 
|-
 
| <br />약재(藥材
 
| <br />령(茯苓)·복신(茯神)·승검초[當歸]
 
| <br />있음
 
| <br />No
 
|-
 
| <br />토산(土産)
 
| <br />산개(山芥)·신감초(辛甘草)·석이[石茸]·배[梨]
 
| <br />있음
 
| <br />다른  지역보다 토산이 많음
 
|-
 
| rowspan="4" | <br />5
 
| rowspan="4" | <br />경기 / 철원 도호부 / 임강현
 
| <br />토의(土宜)
 
| <br />오곡(五穀), 조·팥·메밀·참깨·삼[麻]·뽕나무
 
| <br />있음
 
| <br />No
 
|-
 
| <br />토공(土貢)
 
| <br />느타리·싸리버섯·지초
 
| <br />있음
 
| <br />No
 
|-
 
| <br />약재(藥材
 
| <br />검산풀뿌리[續斷]
 
| <br />있음
 
| <br />No
 
|-
 
| <br />토산(土産)
 
| <br />송이[松茸]
 
| <br />있음
 
| <br />송이밖에  없음
 
|-
 
| rowspan="4" | <br />6
 
| rowspan="4" | <br />경기 / 철원 도호부 / 마전현
 
| <br />토의(土宜)
 
| <br />오곡(五穀), 조·팥·녹두·메밀·뽕나무·삼[麻]
 
| <br />있음
 
| <br />No
 
|-
 
| <br />토공(土貢)
 
| <br />지초·싸리버섯
 
| <br />있음
 
| <br />No
 
|-
 
| <br />약재(藥材
 
| <br />검산풀뿌리[續斷]
 
| <br />있음
 
| <br />No
 
|-
 
| <br />토산(土産)
 
| <br />
 
| <br />생략
 
| <br />다른  지역보다 없음
 
|-
 
| rowspan="4" | <br />7
 
| rowspan="4" | <br />경기 / 철원 도호부 / 연천현
 
| <br />토의(土宜)
 
| <br />벼·조·기장·피·콩·팥·뽕나무·삼[麻]]
 
| <br />있음
 
| <br />No
 
|-
 
| <br />토공(土貢)
 
| <br />꿀·지초·느타리·싸리버섯
 
| <br />있음
 
| <br />No
 
|-
 
| <br />약재(藥材
 
| <br />오미자(五味子)
 
| <br />있음
 
| <br />No
 
|-
 
| <br />토산(土産)
 
| <br />
 
| <br />생략
 
| <br />다른  지역보다 없음
 
|}
 

2023년 6월 16일 (금) 23:22 기준 최신판

제천의 기본 개요

지역적 위치

한반도 중심의 중부내륙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단양군과 강원도 영월군, 서쪽으로는 충주시,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문경시, 북쪽으로는 강원도 원주시와 접한다.제천시는 차령산맥과 소백산맥의 중간에 위치하여 중부 내륙 산간지역의 약초산출 적지를 형성.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역의 유래

  • 신라시대에 내제군(奈堤郡)
  • 고려 건국후 제주(堤州)
  • 고려 현종 9년에 제주군과 청풍현으로 개편
  • 조선시대에 제천현과 청풍군으로 불리다 1940년대에 제천현의 [읍] 승격
  • 1980년도에 [시] 승격, 95년도에 시군 통합되어 현재에 이름
  • 현재 1읍 7면 9동으로 이루어졌고 시청소재지는 천남동이다

출처 : [1]

제천만의 한방 문화자원

우월한 한약재 생산 자연환경

제천 지역은 산악 지대의 구릉지와 사경사지에 석회 지질층이 분포하고, 연평균 기온 10.1℃, 최고 평균 기온 16.5℃, 강우량은 1,100㎜로 약초의 생육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제천은 사계절이 뚜렷한 중산간 지대에 준고랭지의 분지형으로 일교차가 크고, 석회암과 사질 토양의 지질층으로 물 빠짐이 좋아 육질이 단단하고 약효가 월등한 약초 재배의 적지로 정평이 나 있다.

다양한 한방 스토리 소재

* 제천은 조선시대부터 대구, 전주와 함께 조선시대 3대 약령시장의 하나였으며 한약재의 생산 및 유통의 중심도시였다. 현재  전국 약초 생산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전국 황기 유통의  80%를 점유하고 있으며 제천에서 직접 재배한 약초를 바탕으로 한국의 약재 거래 중심지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 제천의 대표적인 의약인물로는 선조대의 이공기(李公沂, 생몰년 미상)가 허준과 어깨를 나란히 한 扈聖功臣으로 평가받았다.
* 약선서<식료찬요(食療纂要)>의 간행: <식료찬요)는 한국의 본격 약선서로 제천시 백운면 애련리에서 출생한 손순효가 경상감사로 있을 때  
   (1460)상주에서  간행하였고 우찬성이 되었을 때 성종에게 진상하였다.
* 다양한 한약 의료 설화가 전해지고 있으며 의약설화와 같은 콘텐츠는 스토리텔링을  위한 소재가 풍부하다.

지리지에 기록된 제천의 한약재

  • 『제천군현지(堤川郡邑誌)』 토산조
철(鐵)ㆍ 대추ㆍ봉밀(蜂蜜)[벌꿀] ㆍ송이 [松蕈] ㆍ자초(紫草)[지치]ㆍ산무애뱀[白花蛇] ㆍ안식향(),복령(茯笭) ㆍ신감초(辛甘草)[승검최] ㆍ영양각(羚羊角) ㆍ방풍(防風)(총 11종 수록)

출처 : [2]

  • [세종실록](지리지)
    • 토의(土宜): 기장·피·벼·조·콩·보리·뽕나무·닥나무·칠(漆)
    • 토공(土貢): 꿀·밀[黃蠟]·칠(漆)·종이·돼지털·곰의 털[熊毛]·족제비털[黃毛]·범의 가죽[虎皮]·여우가죽[狐皮]·삵괭이가죽[狸皮]·느타리·석이·호도·지초요, 약재(藥材)는 승검초뿌리[當歸]· 복령(茯苓)·복신(茯神)·담비쓸개[獺膽]·자단향(紫檀香)·담쟁이[洛石]·대왕풀[白芨]·인삼
    • 토산(土産): 신감초(辛甘草)·순채(蓴菜)·잇[紅花]. (총 34종 수록)

출처 : [3]

  • [신증동국여지승람], 토산조
    • 순채[蓴] 의림지(義林池)에서 난다. 철(鐵) 현 북쪽 미고개(未古介)에서 난다. 대추[棗]ㆍ꿀[蜂蜜]ㆍ송이[松蕈]ㆍ지치[紫草]ㆍ산무애뱀[白花蛇]ㆍ안식향(安息香)ㆍ복령(茯苓)ㆍ신감채(辛甘菜). 『신증』 영양각(羚羊角)ㆍ방풍(防風).(총 12종 수록)

출처 : [4]

  • [여지도서], 물산(物産)조
    • 봉밀(蜂蜜)[벌꿀] ㆍ송심(松蕈)[송이버섯] ㆍ자초(紫草)[지치]ㆍ복령(茯笭) ㆍ신감초(辛甘草)[승검최]ㆍ 방풍(防風)(총 6종)

출처 : [5]

제천지역 콘텐츠 구축 방향

한방-생태 멀티건강도시

  • 제천의 풍부한 한방 역사문화 소재를 바탕으로 한방생태휴양관광 거점단지 조성으로 한방-생태 멀티건강도시 브랜드 육성.
  • 역사 문화는 한약재 중심으로, 지역 특성은 약령시 중심으로, 건강 휴양은 치유의 도시, 미식은 한방 요리와 약식동원 중심으로 '한방-생태 멀티건강도시' 라는 제천의 특확된 브랜드를 육성하는 콘텐츠 전략이다.
  • 스토리텔링 마케팅 개발, 힐링 요법, 멘토링 제(약손, 약발, 느림, 명상, 치유, 약선 등) 등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체감형 콘텐츠 프로그램 개발.

콘텐츠 항목의 선정과 분류 체계

콘텐츠 항목의 선정과 분류 체계는 기본적으로 한방과 생태라는 핵심주제를 삼아 지도로 보는 제천, 주제로 보는 제천, 연표로 보는 제천로 구성하고자 한다.

  • 지도로 보는 제천:
  • 주제로 보는 제천:
  • 연표로 보는 제천:

예시

  • 지도로 보는 제천: 제천 대표 명소(세슘)3D 지도 || [1]
  • 주제로 보는 제천: 약초생활건강, '자연에서 자연으로' 라는 순리를 추구하는 곳이다.
    • 산약초 먹거리: 산약초 비빔밥, 돼지고기 한방수육
    • 산야초 체험관 민박
    • 천연스킨,로션 만들기
산약초 집밥

참고 문헌

  • 안상경, 「약재진상의 관광자원화와 문화권역」, 「 역사문화학회 심포지엄」, 2009
  • 김영순 외, 「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 「 북코리아」, 2010,
  • 김남일, 「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 「 들녘」, 2011
  • 이현숙, 「고려시대 관료제하의 의료와 민간의료」, 「 동방학지」, Vol. 139, 2007
  • 안숭범, 「논산지역 강변 문화관광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방법론 연구」, 「 국제어문」 , 52집, 2011
  • 한국한의학연구원, 「제천약초 뿌리찾기와 한의약 문화연구」, 제천시, 2008
  • 충북학연구소, 「충청북도, 조선시대 충북특산 진상명품 브랜드」,2009
  • 제천 휴윗

출처

  1. 제천시청 [www.jecheon.go.kr]
  2. 『제천군현지(堤川郡邑誌)』
  3. 『[세종실록](지리지)』
  4. 『[신증동국여지승람』
  5. 『[여지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