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경지 민적통계표 D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역지사지(歷地思之)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인구경지_민적통계표_DB_lv2_원본]]
 
** [[인구경지_민적통계표_DB_lv2_원본]]
 
** [[인구경지_민적통계표_DB_lv3_원본]]
 
** [[인구경지_민적통계표_DB_lv3_원본]]
* [[Media:인구경지_민적통계표_DB.zip|【다운로드(zip)】]], 2025년07월15일 기준
+
* [[Media:인구경지_민적통계표_DB.xlsx|【다운로드(xlsx)】]], 2025년07월15일 기준
 
** 인구경지_민적통계표_DB.xlsx : 엑셀 형식
 
** 인구경지_민적통계표_DB.xlsx : 엑셀 형식
 +
** 행정구역 식별자는 원본의 행정구역명의 오류를 수정 후 부여.
 +
** 통계 수치는 텍스트 원본 그대로임.
 
※ 개별 DB는 위키 페이지보다 다운로드 파일이 최신 정보임
 
※ 개별 DB는 위키 페이지보다 다운로드 파일이 최신 정보임
  
17번째 줄: 19번째 줄:
 
** DB 설계 : 김현종
 
** DB 설계 : 김현종
 
** DB 입력 : 김현종
 
** DB 입력 : 김현종
** DB 보정 : 통계보정은 이헌창 선생님의 연구 결과 활용
+
** DB 검수 : 김현종, 최경현
** DB 검수 : 최경현
+
*** 통계보정은 이헌창 선생님의 연구 결과 참조 후 재검토
 +
* DB 저본
 +
** 內務警務局, 1910, 『民籍統計表: 隆熙4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 참조 자료
 
* 참조 자료
 
** 이헌창, 1997, 『民籍統計表의 해설과 이용방법』,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https://www.riss.kr/link?id=M6907315]
 
** 이헌창, 1997, 『民籍統計表의 해설과 이용방법』,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https://www.riss.kr/link?id=M6907315]
29번째 줄: 33번째 줄:
  
 
== DB 구축 원칙 ==
 
== DB 구축 원칙 ==
* 민적통계표의 원본 체계를 가능한 그대로 초기 입력
+
* 민적통계표의 원본 체계를 유지하고 통계 수치도 그대로 입력
 +
* 민적통계표의 통계 수치의 보정 및 검수
 
* 민적통계표 편찬 당시(1910년)의 행정구역(lv1~lv3)의 식별자와 연동
 
* 민적통계표 편찬 당시(1910년)의 행정구역(lv1~lv3)의 식별자와 연동
* 민적통계표의 통계 수치의 보정 및 검수
 
  
 
== DB 구축 과정 ==
 
== DB 구축 과정 ==
45번째 줄: 49번째 줄:
  
 
== 향후 작업 ==
 
== 향후 작업 ==
 +
* 통계보정 재검토 후 자료 업로드
 +
* 민적통계표와 조인할 수 있는 행정구역 업로드 및 참조 연결
 +
* 민적통계표 활용 최근 연구 링크
 +
* 행정구역명칭 수정은 행정구역 파트에서 처리
 +
* 조인 안되는 행정구역 목록 제시
 +
* 통계보정 기준 제시
  
 
== DB 변화 이력 ==
 
== DB 변화 이력 ==
 
* 2025년 07월 15일 : DB 최초 공개
 
* 2025년 07월 15일 : DB 최초 공개

2025년 7월 21일 (월) 04:03 기준 최신판

공개 DB

※ 개별 DB는 위키 페이지보다 다운로드 파일이 최신 정보임

DB 개요

  • DB 설명
    • 인구경지 민적통계표 DB
    • 1910년 5월 10일 기준 호구 및 직업 통계데이터
    • 원본통계 : 호, 남자, 여자, 인구, 직업 11종
    • 파생통계 : 호밀도, 인구밀도 등
  • DB 구축자
    • DB 설계 : 김현종
    • DB 입력 : 김현종
    • DB 검수 : 김현종, 최경현
      • 통계보정은 이헌창 선생님의 연구 결과 참조 후 재검토
  • DB 저본
    • 內務警務局, 1910, 『民籍統計表: 隆熙4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 참조 자료
    • 이헌창, 1997, 『民籍統計表의 해설과 이용방법』,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
  • 자료 공개
    • 비영리적 활동(논문, 연구서)에 본 자료 사용시, 인용 문구만 표시하면 사용에 제한 없음.
    • 영리적인 목적(프로젝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김현종(unqtsi@gmail.com)과 상의 후 처리.
    • 본 자료 전체를 다른 곳에서 서비스하는 것은 제한함.
    • 본 DB에 오류가 발견된 경우, 김현종(unqtsi@gmail.com)에 오류 신고.
    • 인용 표기 : 「인구경지 민적통계표 DB」, 202X년 X월 기준, 역지사지(https://www.hisgeo.info/wiki/인구경지_민적통계표_DB).

DB 구축 원칙

  • 민적통계표의 원본 체계를 유지하고 통계 수치도 그대로 입력
  • 민적통계표의 통계 수치의 보정 및 검수
  • 민적통계표 편찬 당시(1910년)의 행정구역(lv1~lv3)의 식별자와 연동

DB 구축 과정

  • <todo:향후 상세 정리>

관련 연구 성과

  • 이헌창, 1996, 「『민적통계표(民籍統計表)』의 검토」, 『고문서연구』, 9(1), 483-514쪽.[2]

DB 설계

  • 행정구역 파트
  • 통계 수치 파트
  • 파생 통계 파트

향후 작업

  • 통계보정 재검토 후 자료 업로드
  • 민적통계표와 조인할 수 있는 행정구역 업로드 및 참조 연결
  • 민적통계표 활용 최근 연구 링크
  • 행정구역명칭 수정은 행정구역 파트에서 처리
  • 조인 안되는 행정구역 목록 제시
  • 통계보정 기준 제시

DB 변화 이력

  • 2025년 07월 15일 : DB 최초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