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역지사지(歷地思之)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3번째 줄: 13번째 줄:
 
===읽고 있는 도서===
 
===읽고 있는 도서===
 
*마르코 폴로 지음, 김호동 역주, 2005,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사계절.
 
*마르코 폴로 지음, 김호동 역주, 2005,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사계절.
#동방견문록은 13세기 후반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임
+
-동방견문록은 13세기 후반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임
 
#동방견문록의 원본은 사라짐. 오랜 연구를 통해 원본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복원한, '결정본'이 있음.
 
#동방견문록의 원본은 사라짐. 오랜 연구를 통해 원본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복원한, '결정본'이 있음.
 
#A.C.Moule & P.Pelliot의 집철(輯綴), 교감(校勘), 영역본(英譯本)인 Marco Polo, The Description of the World(London : George Routledge & Sons Ltd., 1938)를 저본(低本)으로 삼았다.
 
#A.C.Moule & P.Pelliot의 집철(輯綴), 교감(校勘), 영역본(英譯本)인 Marco Polo, The Description of the World(London : George Routledge & Sons Ltd., 1938)를 저본(低本)으로 삼았다.

2024년 2월 19일 (월) 15:10 판

개요

  • 이름 : 박선영
  • 소속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1]

관심 도서

  • 이기봉, 2021, 조선 최고의 개발자 김정호 나의 삶은 항상 신제품 개발이었다, 덕주.
  • 이상태, 2021, 김정호 연구, 경인문화사.
  • 조지 클레이튼 포크 지음, 사무엘 홀리 편집소개, 조법종, 조현미 번역, 주석, 2021, 화륜선 타고온 포크, 대동여지도 들고 조선을 기록하다, 알파미디어.
  • 헨드릭 하멜 지음, 신동운 옮김, 2020, 하멜표류기 조선과 유럽의 운명적 만남, 난선제주도난파기, 스타북스.
  • 고동환,이현군,유승희,김태우,이종묵,윤진영, 2017, 경강, 광나루에서 양화진까지 (서울기획연구1), 서울역사박물관.
  • 줄리오 알레니 지음, 천기철 옮김, 2005, 직방외기(17세기 예수회 신부들이 그려낸 세계), 일조각.

읽고 있는 도서

  • 마르코 폴로 지음, 김호동 역주, 2005,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사계절.

-동방견문록은 13세기 후반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임

  1. 동방견문록의 원본은 사라짐. 오랜 연구를 통해 원본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복원한, '결정본'이 있음.
  2. A.C.Moule & P.Pelliot의 집철(輯綴), 교감(校勘), 영역본(英譯本)인 Marco Polo, The Description of the World(London : George Routledge & Sons Ltd., 1938)를 저본(低本)으로 삼았다.
  3. 쿠빌라이/대몽골 울루스(Yeke Mongghol Ulus), 울루스는 나라, 국가를 의미하는 몽골어
  4. 1281년 고려 해군까지 동원하여 무려 10만 명을 태운 3,500여 척의 대함대 >> 일본원정군.
  5. 일본원정은 유목민이 건설한 몽골제국의 위엄을 말해주는 것이고, 그 뒤 자바와 수마트라를 원정했고 말라카 해협을 넘어 인도양으로 진출
  6. 폴로 일가의 여행은1260년 베니스를 출발하여 1295년 귀향, 쿠빌라이의 치세와 거의 정확하게 일치
  7. 동방경문록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마르코 폴로의 기록은 바로 쿠빌라이 치세의 몽골제국과 그 주변세계에 대한 증언, 시대가 남긴 지원지지 않는 기념물
  8.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은 쿠빌라이가 살던 13세기 후반의 몽골제국을 시대적 배경으로 하여 쓰여진 것이기 때문에 글 페이지마다 그 시대의 모습이 드러나고 있다.
  9. 15세의 마르코가 베니스의 집을 떠나 41세의 나이에 다시 고향으로 돌아올 때까지 몽골제국의 세계에 있었던 것이다.
  10. 귀향할때 동남아시아와 수마트라, 자바 등지의 수많은 섬과 해안을 거치면서 대카안의 종주권이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고, 말라카 해협 너머에 있는 인도의 세일론섬(스리랑카)이나 동아프카 연안깢도 대카안 사신들의 발길이 미치고 있음을 보았다.
  11. 마크로 폴로에게 몽골제국은 단순히 하나의 제국이 아니라 '세계' 그 자체였다.

논문

  • 박선영, 2023, 1:10,000 한국 근대지형도의 특징과 「진주」 도엽의 문화적 요소, 한국고지도연구 15(2), 169-198.[2]
  • 박선영(정부매, 김선희 공저), 2023, 한국 슬로시티의 핵심·확장콘텐츠 비교분석 - 문화·역사 자산을 중심으로 -, 문화역사지리 35(2), 41-58.[3]
  • 박선영(정부매, 최진무, 정암 공저), 2023, 근대지형도 수록 지명의 가타카나 표기 특징 분석 -인천광역시 자연지명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58(3), 236-251.[4]
  • 박선영, 2022, 근대지형도의 지명과 기호로 본 평양의 장소성, 한국고지도연구 14(2), 75-101.[5]
  • 박선영(최원석, 손학기 공저), 2022, 『산경표』의 공간 DB 구축과 산줄기 선형의 특징 분석, 문화역사지리 34(2), 110-131.[6]
  • 박선영, 2022, 地圖와 地誌의 기록으로 본 은평 지역의 지명, 한국고지도연구 14(1), 93-119.[7]
  • 박선영(허정원, 심우진, 장효진 공저), 2021, 메가아시아탐색을 위한 새로운 양적 지역연구방법론의 필요성과 가능성, 아시아리뷰 11(2), 35-56.[8]
  • 박선영, 2021,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조선지형도(제2차지형도)의 특징 -국립중앙박물관과 스탠포드대학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33(2), 13~34.[9]
  • 박선영(이기봉 공저), 2021, 디지털 연구환경 변화에 따른 고문헌 재해제필요성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북관장파지도」와「화도진도」를사례로 -, 대한지리학회지 56(1), 81-94.[10]
  • 박선영(양윤정 공저), 2020, 20세기초 지형도로 본 제주, 한국고지도연구 12(2), 183-203.[11]
  • 박선영, 2019,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특징– 국내외 주요 소장처를 중심으로 -, 한국고지도연구, 11(1), 93~116.[12]
  • 박선영, 2018,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활용,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13]
  • 박선영(최지은, 박경, 양보경 공저), 2014, 조선시대 자연재해 기록에 대한 일고찰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해일 기록을 중심으로, 응용지리 31, 1-19.[14]

저서

  • 박선영(공저), 2023, 국가와 도시로 읽는 아시아 지리지 1권 동북아시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푸른길
  • 박선영(공저), 2022, 메가아시아 입문 역사, 시각, 방법,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진인진
  • 박선영(공저), 2020, 화성시사01 지리와 환경, 화성시

참고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