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GIS 연구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 고아라 | * 고아라 | ||
+ | ** 고아라, 양승우, 2021, 「미세지형과 물길로 읽는 서울 역사도심 공간구조」, 『서울학연구』, [http://www.riss.kr/link?id=A107843413] | ||
** 고아라, 2019, 「물길로 해석한 한성부 도시공간구조: GIS 수리수문분석을 활용하여」, 11(2), 113-134쪽. [https://www.riss.kr/link?id=A106514851] | ** 고아라, 2019, 「물길로 해석한 한성부 도시공간구조: GIS 수리수문분석을 활용하여」, 11(2), 113-134쪽. [https://www.riss.kr/link?id=A106514851] | ||
** 고아라, 2018, 『물길을 중심으로 한 서울 역사도심의 도시형태 해석 : 27개 청계천 지천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4798626] | ** 고아라, 2018, 『물길을 중심으로 한 서울 역사도심의 도시형태 해석 : 27개 청계천 지천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4798626] |
2025년 2월 13일 (목) 19:10 판
HGIS : 지리 중심
- 김종혁(←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김현종(←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박선영(←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최유식(←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박혜진
- 박혜진, 2017, 『20세기 초 한국의 면(面) 경계 복원』,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1]
- 홍명진
- 홍명진, 2017, 「일본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의 연구현황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일본 근세 시대 지역공간 복원방법을 사례로 -」, 『대한지리학회지』. [2]
HGIS : 역사 중심
- 양정현(←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남호현(←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
- 주성지
- 주성지, 2019, 구글맵을 활용한 최부 『표해록』의 노정 복원, 『역사민속학』 57, 229-263.[5]
- 정요근
- 정요근, 김현종, 2022, 「역사 GIS 기반 1910년 기준 면(面) 단위 행정구역의 복원」, 『한국사연구』. [6]
- 유슬기
- 유슬기, 2022, 『근대도시 경성에서의 토지가격 결정 요인 연구 -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7]
- 엄기석
- 엄기석, 2023,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을 활용한 조선후기 군현도로 복원 - 여지도서 황해도 도로조를 중심으로 - 」, 『한국고지도연구』, 15(2), 5-24쪽. [8]
HGIS : DH 중심
- 김현
- 김현, 임준근, 2009, 「GIS와 지역 문화 콘텐츠의 연계 응용 기술」, 『인문콘텐츠』. [9]
- 류인태
- 류인태, 2019, 『데이터로 읽는 17세기 재지사족의 일상 : 『지암일기(1692~1699)』 데이터베이스 편찬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학중앙연구원.[10]
고고학 GIS 중심
- 강동석
역사 GIS 관련 논문
- 이상일, 조대헌
- 고아라
- 강지현
- 민경주, 정만호
- 민경주, 정만호, 2022, 「디지털 대동여지도 개발과 인문 소프트웨어 개발 방향」, 『한문학논집』, 205-240쪽. [20]
- 이옥선
- 이옥선, 2012, 「디지털 동여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기반 고지도 서비스」, 『문화역사지리』, 24(1), 76-94쪽. [21]
- 이민철
- 이민철, 2011, 『구글 위성지도로 구현한 대동여지도의 지리정보 : 강원도 지역 山城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 관련 연구
- 기경량, 2018, 『GIS 정보와 고지도를 활용한 고구려의 주요 교통로 및 거점 복원』 연구보고서, 한국연구재단. [23]
- 이준학, 백상호, 2015, 「GIS기반 군 관측소 입지분석 연구」, 『한국군사학논집』, 71(1), 131-147쪽. [24]
- 서정신, 2000, 「고지도와 디지털 내비게이션」, 『영상문화』, 2, 41-53쪽. [25]
- 박경식, 2010, 「고지도와 사진에 의한 월미도의 3차원 영상 복원」, 『한국측량학회지』, 28(1), 117-124쪽. [26]
- 권지은, 이지민, 2022, 「디지털 매체와 기술을 활용한 회화 문화재 복원 모사 방법 연구-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보물 <대동총도>모사본 제작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문화연구』, 23, 37-74쪽. [27]
- 오윤주, 2024,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도성도〉 복원모사 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6(1), 97-133쪽. [28]
- 오윤주, 2024,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도성도〉 복원모사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