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대동여지도 D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 지명 및 기호 유형 코드 == | == 지명 및 기호 유형 코드 == | ||
− | + | {| class="wikitable" | |
+ | ! 순번 !! 유형_한글 !! 유형_한자 !! 지명 !! 기호 !! 지도표 !! 비고 !! !! !! | ||
+ | |- | ||
+ | | 1 || 영아 || 營衙 || O || O || 표시_01 || 주)營在邑治則無標 || || || | ||
+ | |- | ||
+ | | 2 || 읍치 || 邑治 || O || O || 표시_02 || 세부유형)무성읍치, 유성읍치 || || || | ||
+ | |- | ||
+ | | 3 || 산성 || 山城 || O || O || 표시_03_1 || 메모)지도표의 유형명은 城池 / 세부유형)산성, 관성 || || || | ||
+ | |- | ||
+ | | 4 || 관성 || 關城 || O || O || 표시_03_2 || 메모)지도표의 유형명은 城池 / 세부유형)산성, 관성 || || || | ||
+ | |- | ||
+ | | 5 || 진보 || 鎭堡 || O || O || 표시_04 || 세부유형)무성진보, 유성진보 || || || | ||
+ | |- | ||
+ | | 6 || 역참 || 驛站 || O || O || 표시_05 || - || || || | ||
+ | |- | ||
+ | | 7 || 창고 || 倉庫 || O || O || 표시_06 || 세부유형)무성창고, 유성창고 || || || | ||
+ | |- | ||
+ | | 8 || 목장 || 牧場 || O || O || 표시_07 || 메모)지도표의 유형명은 목소(牧所) / 세부유형)목장, 속장 || || || | ||
+ | |- | ||
+ | | 9 || 능침 || 陵寢 || O || O || 표시_08 || 주)始奉陵號書圈內 || || || | ||
+ | |} | ||
== 대동여지도 지명 및 기호 통계 == | == 대동여지도 지명 및 기호 통계 == |
2025년 4월 3일 (목) 15:33 판
공개 DB
- 조선_대동여지도_지명및기호 : 【다운로드(shapefile)】
- 조선_대동여지도_군현경계 : 【다운로드(shapefile)】
- 조선_대동여지도_도로 : 【다운로드(shapefile)】
- 조선_대동여지도_목장울타리 : 【다운로드(shapefile)】
- 조선_대동여지도_산줄기 : 【다운로드(shapefile)】
- 조선_대동여지도_물줄기 : 【다운로드(shapefile)】
- 조선_대동여지도_바다 : 【다운로드(shapefile)】
※ 개별 DB는 위키 페이지보다 원본 파일이 최신 정보임
DB 개요
- DB 설명
- 대동여지도(규장각, 奎 10333)의 지리정보를 주제별 레이어로 제작
- 대동여지도 지명과 기호를 통합적으로 관리 역사지리사상 식별자 부여
- DB 구축자
- DB 설계 : 김현종
- 지명 및 기호 DB 구축 : 김현종, 박선영
- 군현경계 DB 구축 : 김현종, 박소민
- 도로 DB 구축 : 김현종
- 목장울타리 DB 구축 : 김현종
- 산줄기 DB 구축 : 박선영, 진예원
- 물줄기 DB 구축 : 박선영, 박소민
- 바다 DB 구축 : 김현종
- 자료 공개
- 비영리적 활동(논문, 연구서)에 본 자료 사용시, 인용 문구만 표시하면 사용에 제한 없음.
- 영리적인 목적(프로젝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관계자(unqtsi@gmail.com)와 상의 후 처리.
- 본 자료 전체를 다른 곳에서 서비스하는 것은 제한함.
- 본 DB에 오류가 발견된 경우, unqtsi@gmail.com에 오류 신고.
- 인용 표기 : 「조선시대 행정구역 DB」, 202X년 X월 기준, 역지사지(https://www.hisgeo.info).
DB 구축 원칙
- 대동여지도의 모든 지리정보를 점, 선, 면 사상으로 디지타이징하고 역사지리사상 식별자 부여
- 고지도 통합방안체계 유형2(신경주 20리 방안체계)에 따라 좌표 부여
DB 구축 과정
- 대동여지도 이미지 지오레퍼런싱
- 대동여지도 이미지 전체를 벡터라이징 후 개체별 유형 분류
- 대동여지도 지명 및 기호 포인트 레이어 구축
- 유형별 레이어 후처리
- <todo:향후 상세 내역 작성>
DB 설계
- <todo:향후 상세 내역 작성>
지명 및 기호 유형 코드
순번 | 유형_한글 | 유형_한자 | 지명 | 기호 | 지도표 | 비고 | |||
---|---|---|---|---|---|---|---|---|---|
1 | 영아 | 營衙 | O | O | 표시_01 | 주)營在邑治則無標 | |||
2 | 읍치 | 邑治 | O | O | 표시_02 | 세부유형)무성읍치, 유성읍치 | |||
3 | 산성 | 山城 | O | O | 표시_03_1 | 메모)지도표의 유형명은 城池 / 세부유형)산성, 관성 | |||
4 | 관성 | 關城 | O | O | 표시_03_2 | 메모)지도표의 유형명은 城池 / 세부유형)산성, 관성 | |||
5 | 진보 | 鎭堡 | O | O | 표시_04 | 세부유형)무성진보, 유성진보 | |||
6 | 역참 | 驛站 | O | O | 표시_05 | - | |||
7 | 창고 | 倉庫 | O | O | 표시_06 | 세부유형)무성창고, 유성창고 | |||
8 | 목장 | 牧場 | O | O | 표시_07 | 메모)지도표의 유형명은 목소(牧所) / 세부유형)목장, 속장 | |||
9 | 능침 | 陵寢 | O | O | 표시_08 | 주)始奉陵號書圈內 |
대동여지도 지명 및 기호 통계
- 기호만 : 1194개 → 1243개
- 기호(지명연동) : 2238개 → 2283개
- 기호(지명포함) : 448개 → 447개
- 주기 : 9개
- 지명만 : 8654개 → 8742개
- 지명(기호연동) : 2216개 → 2130개
- 모든 지명 개수 : 11318개 → 11319개
- 월경지 표기 보완 9개 포함
- 모든 기호 개수 : 3880개 → 3973개
- 고유 역사지리사상 : 12982개 → 12715개
※ 경조도 및 도성도의 지명 및 기호 개수는 제외
한자 정규화
- 舡→船 : 일괄 변환
- 岺→嶺 : 일괄 변환
- 旧→舊 : 일괄 변환
- 沉→沈 : 일괄 변환
- 曳→戌 : 일괄 변환
- 竜→龍 : 일괄 변환
- 灵→靈 : 일괄 변환
- 灯→燈 : 일괄 변환
- 万→萬 : 일괄 변환
- 迁→遷 : 일괄 변환
- 回(안쪽 口가 왼쪽으로 붙은것) → 因 : 개별 검토
향후 작업
- (todo) 대동여지도 내 도성도 DB 작업
- (todo) 대동여지도 내 경조오부도 DB 작업
- (todo) 산줄기에 산경표 정보 기입
- (todo) 물줄기에 강이름 정보 기입
- (todo) 도로에 대동여지도 정리고 정보 기입 -> 완전 경로가 일치하지 않음.
DB 변화 이력
- 2024년 04월 30일 : DB 최초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