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역 DB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DB 개요
- DB 설명
- 조선시대 간행된 지리서 및 법전에 수록된 전국의 역 분포 정보를 문헌별로 정리하고 각각의 비정 위치를 기재한 DB.
- 각 역의 비정 위치에 대응하는 경위도 값과 현재 주소 정보 수록, 북한 지역의 경우 1914년 시점의 주소 정보를 기재.
- DB 구축자
- DB 설계 : 양정현
- DB 구축 : 양정현
- 데이터 검수 : 김종혁, 김현종, 박선영, 최유식
- 자료 공개
- 비영리적 활동(논문, 연구서)에 본 자료 사용시, 인용문구만 표시하면 사용에 제한 없음.
- 영리적인 목적(프로젝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관계자(unqtsi@gmail.com)와 상의 후 처리.
- 본 자료 전체를 다른 곳에서 서비스하는 것은 제한함.
- 본 DB에 오류가 발견된 경우, yachagye@naver.com에 오류 신고.
- 인용 표기 : 「조선시대 역 DB_○○○(예시: 『신증동국여지승람』) DB」, 202X년 X월 기준, 역지사지(https://www.hisgeo.info).
DB 및 공간 데이터 목록
- DB
- 『고려사』 병지 : 향후 xlsx로 공개
- 『세종실록』 지리지 : 향후 xlsx로 공개
- 『경국대전』 : 향후 xlsx로 공개
- 『동국여지승람』 : 향후 xlsx로 공개
- 『신증동국여지승람』 : 향후 xlsx로 공개
- 『동국여지지』 : 향후 xlsx로 공개
- 『속대전』 : 향후 xlsx로 공개
- 『여지도서』 : 향후 xlsx로 공개
- 『동국문헌비고』 : 향후 xlsx로 공개
- 『대전통편』 : 향후 xlsx로 공개
- 『도로고』 : 향후 xlsx로 공개
- 『만기요람』 : 향후 xlsx로 공개
- 『여도비지』 : 향후 xlsx로 공개
- 『대동지지』 : 향후 xlsx로 공개
- 『대전회통』 : 향후 xlsx로 공개
- 『여재촬요』 : 향후 xlsx로 공개
- 『증보문헌비고』 : 향후 xlsx로 공개
- 공간 데이터
- 조선시대 역 DB_시계열 역 위치 비정 포인트 데이터(『고려사』~『증보문헌비고』) : 향후 shp, gpk로 공개
DB 필드 구조
- 출전
- 역이 수록된 문헌의 한글 명칭
- 기준시점
- 문헌에 수록된 전체 역의 분포 양상에 대한 서력 기준 시점.
- 도
- 관찰사도. 조선시대 지방행정체계에서 군현과 역도 등을 관할하는 최상층 행정구역단위. 각 역이 소속된 역도를 관할하는 관찰사도의 한글 명칭을 기재
- 군현_한글
- 역이 지리적으로 위치한 군현의 한글 명칭
- 군현_한자
- 역이 지리적으로 위치한 군현의 한자 명칭
- 역_한글
- 역의 한글 명칭
- 역_한자
- 역의 한자 명칭
- 역도
- 역이 소속된 상위행정구역단위로 한글 명칭을 기재
- 본역
- 역도의 소속 역 가운데 역도 관할 관원이 주재하는 중심 역으로 해당 역의 한글 명칭을 기재
- 유형
- 역이 소속한 역도의 등급에 따라 부여된 관할 관원의 직명을 기준으로 찰방과 역승으로 분류. 『고려사』 병지 시점의 역에는 유형을 부여하지 않음.
- 위치_경도
- 역의 비정 위치에 대한 경도 값.
- 위치_위도
- 역의 비정 위치에 대한 위도 값.
- 위치_1914년시점주소
- 역의 비정 위치에 대한 1914년 3월 1일 이후 시점의 주소를 기재. 현재 북한 지역 내에 위치한 경우는 모두 1914년 시점의 주소로 대체함. '도-군-면-리' 또는 '군-면-리' 형식으로 제시하고, 괄호 안의 내용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 시점의 지명을 부기한 것임. 1914년 주소와 연동하여 활용할 수 있는 공간 데이터로는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적 행정구역 중 1910년대 GIS 레이어를 참조.
- 위치_현재주소
- 역의 비정 위치에 대한 2024년 이전 시점 한국의 지번 주소를 기재. 과거의 역은 단일한 건축 혹은 구조물이 아닌, 동리 혹은 면 수준의 공간 범위를 의미했기 때문에 포인트의 경위도 값을 제시하는 방식은 한계가 있음.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동리 수준까지의 주소 정보를 함께 제시함.
DB 변화 이력
- 2024년 08월 04일 : DB 최초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