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드명 |
설명
|
출전 |
역이 수록된 문헌의 한글 명칭.
|
기준시점 |
문헌에 수록된 전체 역의 분포 양상에 대한 서력 기준 시점.
|
도 |
관찰사도. 조선시대 지방행정체계에서 군현과 역도 등을 관할하는 최상층 행정구역단위. 각 역이 소속된 역도를 관할하는 관찰사도의 한글 명칭을 기재.
|
군현_한글 |
역이 지리적으로 위치한 군현의 한글 명칭.
|
군현_한자 |
역이 지리적으로 위치한 군현의 한자 명칭.
|
역_한글 |
역의 한글 명칭.
|
역_한자 |
역의 한자 명칭.
|
역도 |
역이 소속된 상위행정구역단위로 한글 명칭을 기재.
|
본역 |
역도의 소속 역 가운데 역도 관할 관원이 주재하는 중심 역으로 해당 역의 한글 명칭을 기재.
|
유형 |
역이 소속한 역도의 등급에 따라 부여된 관할 관원의 직명을 기준으로 찰방과 역승으로 분류. 『고려사』 병지 시점의 역에는 유형을 부여하지 않음.
|
위치_경도 |
역의 비정 위치에 대한 경도 값.
|
위치_위도 |
역의 비정 위치에 대한 위도 값.
|
위치_1914년시점주소 |
역의 비정 위치에 대한 1914년 3월 1일 이후 시점의 주소를 기재. 현재 북한 지역 내에 위치한 경우는 모두 1914년 시점의 주소로 대체함. '도-군-면-리' 또는 '군-면-리' 형식으로 제시하고, 괄호 안의 내용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 시점의 지명을 부기한 것임. 1914년 주소와 연동하여 활용할 수 있는 공간 데이터로는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적 행정구역 중 1910년대 GIS 레이어를 참조.
|
위치_현재주소 |
역의 비정 위치에 대한 2024년 이전 시점 한국의 지번 주소를 기재. 과거의 역은 단일한 건축 혹은 구조물이 아닌, 동리 혹은 면 수준의 공간 범위를 의미했기 때문에 포인트의 경위도 값을 제시하는 방식은 한계가 있음.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동리 수준까지의 주소 정보를 함께 제시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