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광주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변화
고대
- -6(온조왕 13) : 도읍을 위례성에서 이곳으로 도읍 옮김(여지)
- 371(근고초왕 26) : 도읍을 이곳에서 남평양성으로 옮김(여지)
- 신라 점령 이후 : 이 곳을 한산주(漢山州)로 개칭, 남한산주라고도 함(여지)
- 756(경덕왕 15) : 한주(漢州)로 개칭(여지)
고려
- 940(태조 23) : 한주(漢州)를 광주(廣州)로 개칭(여지)
- 983(성종 2) : 목(牧)으로 승격(여지), 처음 12목(牧) 설치
- 995(성종 14) : 절도사를 설치하여 봉국군이라 부르고 관내도에 소속(여지)
- 1012(현종 3) : 절도사를 폐지하고 안무사로 삼음(여지)
- 1018(현종 9) : 다시 목으로 삼음(여지), 8목(牧) 설치
조선
- 세조연간 : 진(鎭)을 둠(출처불명)
- 1505(연산군 11) : 광주목 폐지 → 고을 사람 가운데 흉측한 말을한 자가 있음)(여지)
- 선조연간 : 광주목 복치(여지)
- 1559(명종 14) : 목사(牧使)를 설치(파견)(여지)
- 1566(명종 21) : 방어사를 겸하게 함(여지)
- 1573(선조 6) : 토포사를 겸하게 함(여지)
- 1577(선조 10) : 부윤으로 승격(여지)
- 경안, 오포, 도척, 실촌, 초월, 퇴촌, 초부, 동부, 서부, 구천, 중대, 세촌, 돌마, 낙생, 대왕, 언주, 왕륜, 일용, 월곡, 북방, 송동, 성곶, 의곡(23개면)을 관할(출처불명)
- 1592(선조 25) : 수어부사를 겸하게 함(여지)
- 1623(인조 1) : 유수로 승격, 수어사를 겸하게 함(여지)
- 1626년(인조 4년) : 남한산성 축성
- 1630(인조 8) : 다시 부윤으로 강등(여지)
- 1690(숙종 16) : 유수로 승격(여지)
- 1699(숙종 25) : 다시 부윤으로 강등(여지)
- 1789(정조 13년) : 일용면과 송동면이 수원군으로 편입(출처불명)
대한제국
- 1906년(고종 44년) : 군(郡)이 되어 군청을 중부면 산성리에 설치(광무 10년 칙령 제49호)
- 북방면, 성곶면, 월곡면을 안산군에, 초부면을 양주군에 이관(광무 10년 칙령 제49호)
일제강점기
- 1911년 8월 29일 : 상적리에 대왕면사무소를 개설하고 돌마면은 1911년 말 정자리에 면사무소를 개설(출처불명)
사방경계
신증동국여지승람
- 동 : 양근군(楊根郡) 경계(境界)까지 25리, 여주 경계까지 75리
- 남 : 이천부(利川府) 경계까지 74리, 양지현 경계까지 85리, 용인현 경계까지 43리
- 서 : 과천현(果川縣) 경계 양재역(良才驛)까지 27리, 안산군 경계까지 76리
- 북 : 북은 양주 경계까지 10리
- 서울에서의 거리는 41리.(『신증동국여지승람』)
진관
신증동국여지승람
- 목 : 여주(1개)
- 도호부 : 이천(利川)(1개)
- 군 : 양근(楊根)(1개)
- 현 : 지평(砥平), 음죽(陰竹), 양지(陽智), 죽산(竹山), 과주(果州)(5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