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엉 티 탄 냔

역지사지(歷地思之)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인왕산 한양도성

자기 소개

  • 성명: 유엉 티 탄 냔
  • 국적: 베트남
  • 취미: 등산, 요리, 독서, 여행

학력

  • 학위: 석사
  • 전공: 인문지리학
  • 대학원: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대학원[1]
AKS2023.jpg

하노이 도시 정보

하노이
Hà Nội
중앙직할시
60px
휘장
300px
행정
나라 베트남
행정구역 12개의 군, 1개의 시사, 17개의 현
시청소재지 하노이 호안끼엠군 리타이토
역사
설립 1010년
1945년 9월 2일
인구
인구 8,330,800명 (2021년)
인구밀도 2,480 명/km2
광역인구 16,100,000 명
지리
면적 3,328.9 km2
세부면적 233.56 km2
기후 온난 습윤 기후(Cwa)
기타
시간대 (UTC+07:00)
우편번호 10000 – 14000
지역번호 24
행정구역코드 VN-64

<templatestyles src="Module:Infobox/styles.css"></templatestyles>

파일:Phở bò (39425047901).jpg
다른 이름베트남 쌀국수
종류국물국수
원산지베트남
관련 나라별 요리베트남 요리
주 재료바인 퍼, 육수, 고기
보통 사용되는 재료숙주나물, 허브, 향신채

연구하는 지역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 수원시 문화 콘텐츠 서비스:[2]

지역

수원 화성
한국학중앙연구원

인구

행정구역 총인구수_2023 남_2023_03 여_2023_03 성비_2023_03 총인구수_2023 남_2023_04 여_2023_04 성비_2023_04 총인구수_2023 남_2023_05 여_2023_05 성비_2023_05
장안구 269,403 135,528 133,875 101 269,189 135,398 133,791 101 268,813 135,191 133,622 101
권선구 367,618 185,722 181,896 102 367,324 185,585 181,739 102 367,779 185,774 182,005 102
팔달구 193,363 97,354 96,009 101 193,392 97,384 96,008 101 193,202 97,304 95,898 101
영통구 361,841 181,635 180,206 101 361,916 181,654 180,262 101 361,711 181,496 180,215 101

답사 지역

당진

번호 답사장소 사진 내용 비고
1 면천읍성의 은행나무
면천은행나무
이 은행나무는 면천에 살고 있던 고려의 개국공신인 복지겸(卜智謙)이 병으로 누워 있었는데 백약이 무효하므로 그의 딸 영랑(影浪)이 아미산에 올라 백일기도를 드렸다. 그랬더니 마지막 날에 신선이 나타나 두견주를 빚어 100일 후에 마시고 그 곳에 은행나무를 심은 뒤 정성을 들여야 나을 수 있다고 하여 그대로 하였더니 병이 치유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입력
2 면천향고
면천향고.jpg
조선시대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인 면천향교는 1392년(태조 1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나 건립 시기는 정확하지 않다. 향교의 구조는 제사공간과 교육공간으로 구성되어 대성전, 동무·서무, 동재·서재, 명륜당, 내·외삼문 등이 있다. 1716년(숙종 42년)에 대성전을 중수하였으며, 1966년에 대성전과 동재를 다시 보수하였다. 교육기관인 명륜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팔작지붕에 홑처마이다. 대성전은 맞배지붕을 정면 3칸, 우측 4칸, 좌측 3칸으로 기둥을 다르게 세웠다. 그리고 대성전에서는 공자를 비롯한 5성과 송조 2현 그리고 한국의 18선현을 모시고 있으며 매년 봄과 가을에 석전이 거행되고 있다. 입력
3 당진성당
당진성당.jpg
당진 성당은 그 역사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8 년 충청남도 기념물 제 145 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낮은 언덕

위에 자리한 이 성당은 정면의 종탑이 쌍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건물의 전면에는 3 개의 출입구와 3 개의 창이 있는데 그 상부는 모두 무지개 모양의 아치로 되어 있습니다. 외벽은 붉은 벽돌로, 창의 둘레와 종탑의 각 모서리는 회색벽돌로 쌓았으며, 창의 아래 부분과 종탑의 각 면에는 회색벽돌로 마름모 모양의 장식을 더 하였습니다.|| 입력

축성

조선 후기 정조 때인 1794년 착공하여 1796년 10월 10일(음력 9월 10일)에 준공되었다.

팔달산의 채석장에서 채굴한 벽돌로 쌓은 축성 공사에는 다산 정약용이 고안한 거중기가 사용되었다. 정조가 그의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묘를 수원에 옮기면서 축조한 성으로 거중기, 녹로 등 신기재를 사용해 만들어졌다. 수성은 군사적 방어 기능과 상업적 기능을 함께 보유하고 있으며 실용적인 구조로 되어 있어 동양 성곽의 흑미로 평가받는다.

관례적으로는 국가가 임금을 전혀 지급할 필요가 없는 경우였지만, 성곽 건설에 병역의 의무로 동원된 백성들에게도 일반 건설 현장과 같은 적절한 임금을 나라에서 일반 노동자들과 차등을 두지 않고 그대로 지급하였다.수원화성은 정조가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려면 새로운 정치 공간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이 필요했는데 그것들은 충신,군사력,자금 이 세 가지가 필요했다, 그러나 서울(수도)에서는 이 세 가지 것을 모두 얻기 어려워 신도시를 건설하기로 했다. 이 신도시가 바로 수원화성이다. 또 하나의 이유는 정조는 어린 나이에 아버지(사도 세자)를 여의었다. 아버지의 죽음을 본 정조는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과 안타까움이 컸다. 그래서 그는 왕위에 오른 후에 아버지의 묘를 더 좋은 곳으로 옮기기로 했다. 처음 옮겨진 곳은 영우원이었고, 이후 옮겨진 곳이 천 년에 한 번 나올 명당이라 극찬했던 경기도 화성시 송산리 인근의 화산자락에 현륭원을 만들었다. 그리고 원래 화산에 거주하던 주민들을 옮겨 살게 할 계획도시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로 수원화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