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 남 끄엉

역지사지(歷地思之)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수강생정보

자기 소개

마음이 넓고 낙관적이며 독립성이 있다는 점 그리고 늘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는 마음은 저 뿐 아니라 저희 온 가족의 성격입니다. 저는1982년 03일 10일에 베트남 메콩강의 남부지방인 Tien Giang 성에서 태어났습니다. 저희 가족은 3형제이고 저는 막내입니다. 가족은 형편이 안 좋아서 부모님께서는 저희를 키우기 위해서 농사일외에 다른 일을 많이 일해야 하셨습니다. 그래서 부모님께서는 저희를 공부시키시느라고 많이 고생하셨습니다. 형은 회사에 다니고 누나는 베트남 석유 총공사의 연구실에 다니고 있습니다. 형과 누나는 다 결혼했습니다. 저희 3명은 어렸을 때부터 친구처럼 친하게 지내왔습니다.

About Me

  • 개인정보
    • 생일 : 1982
    • 국적: 베트남인
    • 혼인: 기혼
  • 학력
    • 고등학교:쯔엉띤 고등학교
    • 대학교:호치민 국립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교 [1]
    • 대학원 : 한국학중앙연구원 [2]
  • 경력
    • 2006~2022: 동탑성 인력서비스센터
    • 2009~2019 : 동탑성 방송국 다큐멘터리 감독
    • 2019~현재 : FPT Can Tho 대학교

Portfolio Form

  • 다큐: 신기한 Colombia[3]
  • 다큐: 코리아 사계절 이야기[4]
  • 다큐: 베트남 서남해의 이야기[5]
  • 다큐: 한강 기척의 이야기[6]
  • 다큐: 메콩텔다 유역 간척 시의 이야기[7]
  • 다큐: 베트남 커피 스타일[8]
  • 인터넷 온라인 신문Vnexpress[9]
  • 인터넷 온라인 신문Vnexpress[10]
  • 인터넷 온라인 신문Vnexpress[11]
  • 인터넷 온라인 신문Vnexpress[12]
  • 인터넷 온라인 신문Vnexpress[13]
  • 인터넷 온라인 신문Vnexpress[14]
  • 인터넷 온라인 신문Vnexpress[15]

연구 작업

  • 대학생 연구작업: 띠엔장 거공 전통집 현황
  • 석사 논문: Some solutions for career guidance for rur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media
  • The impact of Tiktok contents on students during the COVID-19 - ICEME 2022: 2022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business, Management and Economics pandemic[16]
  • Comparing methods of making independent cinema documentaries between Vietnam and Korea[17]

호치민 도시 정보

호치민
Hồ Chí Minh
중앙직할시
60px
휘장
300px
행정
나라 베트남
행정구역 19개의 군, 5개의 현
시청소재지 호치민 1군 레러이
역사
설립 1698년
1877년1월8일사이공시
1976년 7월 2일호치민시
인구
인구 9.166.800명 (2021년)
인구밀도 4,375 명/km2
광역인구 16,100,000 명
지리
면적 2.095 km2
해발 16 m
기후 우기와 건기(Cwa)
기타
시간대 (UTC+07:00)
우편번호 70000 – 74000
지역번호 28
행정구역코드 VN-079

연구 관심 지역

  • 철운 : 철원 농업지리 [19]

지도

철원

철원

철원 고지도

『해동지도』 「철원부」

『해동지도』 「철원부」의 상단에는 철원부 (鐵原府)라는 지역명을 적고 옆으로 철원부의 호구와 전결, 군병 등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중단에 철원부의 지도가 그려져 있으며, 하단에는 주변 군현과의 거리, 각 면(面)의 위치를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중단의 지도를 보면, 중앙의 읍치를 둘러싼 산과 강을 강조하여 철원부의 지형을 표현한 것을 볼 수 있다. 동쪽과 서쪽에는 하천이 있는데 각각 남쪽으로 흘러간다. 읍치로부터 주변 고을로 연결되는 도로망은 붉은 선으로 그렸다. 동변면, 서변면, 송내면, 어운동면, 갈말면, 관인면, 고을파면, 무장면, 북면 등 행정구역의 위치도 표시하였는데, 지도상의 행정구역명과 지도 아래 기록한 행정구역명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특히 지도에 표시된 고을파면의 경우, 위치로 보아 『1872년 지방지도』 「철원구방지도」의 신서면에 해당하는데, 지도 하단에는 해당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지역 내의 시설과 유적, 명승 등을 상세하게 표시하였다. 읍치 북쪽에는 펼쳐진 평야를 평원(平原)이라 적었는데, 근처에 궁예(弓裔)가 건설한 태봉국의 도성인 궁왕고도(弓王古都)가 있다. [20]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개설

강원도 철원군[21]은 북위 38°05′~38°20′, ‘동경 127°05′~127°53′에 위치하며, 한반도의 중앙부에 자리 잡고 있다. 겨울이 춥고 건조한 대륙성 기후로서 연강수량은 많지만 여름철 강수의 집중도가 매우 높다. 서울에서 원산에 이르는 추가령구조곡이 지나가는 곳으로, 철원-평강 용암대지를 중심으로 남동부에 높은 산지와 북서부에 낮은 산지가 있으며 다양한 지층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탄강[22]화강[23], 역곡천, 금성천 등의 수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임진강[24]과 북한강을 거쳐 한강으로 유입한다. 접경지역의 특성으로 인하여 개발이 제한된 탓에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다. 철새의 도래지[철원 철새 도래지, 천연기념물 제245호]가 되었으며, 화강과 그 지류 하천들에는 토종 민물고기가 서식한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25]
한탄강 화강 철원 평야
한탄강
화강
은하수교

지질

철원군 지역은 한반도 지체 구조상 경기육괴[26]에 속한다.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를 기반암으로 하여, 이를 관입한 화강암과 그 위로 분출한 화산암 등 다양한 암석과 지층이 분포하고 있다.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는 경기편마암복합체와 연천층군이 있는데, 북서부의 마식령산맥과 남동부의 광주산맥 동측 사면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은 쥐라기 대보 화강암과 백악기의 명성산 화강암이 있는데, 철원의 중부, 동부, 남부 일대의 산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천에 의하여 개석된 지역은 산간분지를 형성하고 있다. 중생대 백악기에 분출한 화산암은 현무암, 안산암, 응회암 등이 분포하며, 신생대 제4기 현무암이 철원-평강 일대에 용암대지를 형성하였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27]

  • 화산암류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과 동송읍의 고대산-금학산 일대에는 중생대의 현무암 질암과 안산암질암, 화강반암 그리고 중성-산성응회암질암이 분포한다. 산성응 회암질암은 철원읍과 동송읍의 고대산-금학산 일대에서 연천층군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연천군 군남면 고문리에서는 백악기의 적색역질 사암-이암으로 구 성된 퇴적암을 덮고 있다. 이 산성응회질암은 집괴암, 래필리 응회암, 결정질 응 회암, 유리질 응회암으로 분류된다.[한국지리지 강원도,36]

  • 한탄강 현부앙

제4기에 강원도의 서북부 평강-철원 일대에서는 추가령구조대를 따라 현무암 질 용암류가 다량으로 분출하여 구 한탄강을 메우며 넓은 용암평원을 형 성하였 다. 이를 한탄강 현무암이라 부른다. 한탄강 현무암이 분출한 곳은 추가령 구조 대 내의 연천단층 상에서 평강 서남쪽 351표!에 위치하는 오리산(452x11)과 검불 랑역 북동쪽 약 41꼬!에 위치하는 680^ 고지 등에서 순상화산형태로 확인된다. 680111고지의 용암분출구는 침식으로 화산지형이 거의 소실되었으나 오리산 분출 구는 순상화산체 상에 직경 약 100)의 화구가 보존되어 있다. 한탄강 현무암의 연령은 전곡 부근의 최상위 용암층의 시료에서 쪼-사법으로 0.27〜0.28이3, 동성 부근의 최하부의 용암층 시료에서 0.54⑶3의 값을 보인다. 고자기학 연구에서는 한탄강 현무암의 용암류가 호피!!!!"기 에 몇 개의 화구로부 터 중심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현무암은 암회색을 띠며 용암 단위의 표면 부근은 다공질이며 용암 단위 내 부는 치밀하고 괴상이다. 광물조성은 용암 단위 전체적으로 균질하며 사장석, 감 람석, 휘석, 이딩사이트, 불투명광물과 유리질 물질 등을 함유한다. 한탄강 현무 암의 마그마 형성 심도는 250〜3001《⑴로 추정된다. [한국지리지 강원도,38]

지형

철원군에서 가장 높은 산지는 대성산[28] (大成山) [1,175m]이 있는, 철원의 남동부 지역이다. 한북정맥을 따라 해발고도 1,000m 내외의 험준한 산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강원도 화천군과 경기도 포천시와의 자연 경계를 이룬다. 서부 지역에는 백악기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산지가 분포하는데, 금학산[29](金鶴山)[941m]과 용정산[30](龍井山)[672m]이 대표적이다. 남부 지역에는 명성산[31](鳴聲山)[922m]과 각흘산[32](角屹山)[838m]으로 이어지는 700~900m 정도의 산지가 분포한다. 북서부 지역은 마식령산맥에 해당하며 철원에서는 비교적 낮은 산지가 분포하는데, 효성산(曉星山)[596m], 고성산[33](故城山)[588m] 등이 있다. 철원군에서 발원한 하천은 모두 한강 유역에 해당하는데, 대표적인 하천으로는 한탄강과 화강, 역곡천, 금성천 등이 있다. 한탄강은 남한 지역의 유일한 현무암 협곡으로 ‘한탄강 지질공원’의 핵심 지역이다. 주상절리가 발달한 현무암 절벽, 본류와 지류의 폭포, 포트홀과 타포니 등 다양한 풍화·침식 지형이 나타난다. 과거 남대천에서 이름이 바뀐 화강은 한탄강에 유입한다. 평강에서 발원한 역곡천은 철원의 재송평을 거쳐 남한 지역을 잠시 흐르면서 서쪽으로 흘러 임진강으로 유입하며, 금성천은 비무장지대에서 동쪽으로 흘러 남한의 북한강으로 유입한다. 철원군에는 넓은 용암대지를 중심으로 화강암 분포지를 주위에 소규모의 산간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철원-평강 용암대지는 지역에 따라 재송평(栽松坪), 대야잔평(大也盞坪), 평강분지(平康盆地), 지암분지(芝巖盆地) 등으로 구분된다. 화강암 분포 지역에는 소규모 침식분지가 발달하여, 운장분지(雲場盆地), 청양분지(淸陽盆地), 마현분지(馬峴盆地), 민들레벌[험석분지] 등이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34]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35]

기후

철원[36]겨울에 춥고 건조한 지역으로 쾨펜과 가이거의 분류에 따르면 Dwa[동계 한랭 건조, 더운 여름]로 구분된다. 1981년~2010년의 평년값을 기준으로 연평균 기온은 10.2℃, 최한월인 1월 평균기온은 –5.5℃, 최난월인 8월 평균기온은 23.8℃이다. 연강수량은 1,391㎜이며, 이 중 7월과 8월 강수량이 739㎜로 전체의 53%를 차지한다. 임진강 유역은 우리나라 3대 다우 지역의 하나로 강수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는 집중강우로 홍수 피해가 심한 지역이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37]

  • 강원도 철원군의 기후는 주로 대륙성 기후[대륙성 기후(大陸性氣候)는 대륙 지표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기후이다. 맑은 날이 많고, 강수량이 적으며 건조한 기후를 나타낸다. 기온의 일교차 및 연교차가 심한 것이 특징이다. 대륙 동쪽 연안에서 발생하는 대륙성 기후는 동안 기후(東岸氣候), 대륙 동안 기후라고 부른다.]의 특성을 몇 가지 가지고 있다.
    • 계절적 온도 차: 여름은 덥고 습한 반면, 겨울은 매우 춥고 건조하다. 특히 겨울철에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 강수량: 연중 강수량은 비교적 적은 편이며, 여름철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장마철에는 비가 많이 내리기도 하지만, 겨울철에는 눈이 많이 내리기도 한다.
    • 일조량: 철원군은 일조량이 비교적 많아 농업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 지형적 영향: 산지와 평지가 혼합된 지형이 기후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지역별로 기온과 강수량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토양

철원[38] 지역은 다양한 암석지층이 분포하고 산지[39]평야[40], 하천[41] 등 다양한 지형환경으로 인하여 여러 종류의 토양이 분포하고 있다. 암쇄토, 적황색토, 충적토, 회색토 등이 분포하는데, 산지를 중심으로 암쇄토가 광역적으로 나타나고 화강과 그 지류를 중심으로 충적토가 분포한다. 적황색 또는 회색토는 주로 용암대지 위에 형성되어 있다. 현무암 충적층을 모재로 하여, 평탄지에 분포하고 있는 철원의 대표적 토양을 ‘철원통’ 이라고 하는데, 실트질 식토나 식양토로 구성되며 토양 비옥도는 높은 편이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42]

생태 환경

철원[43] 지역은 접경지역[44][45]의 특성으로 인해 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다. 식생은 대체로 냉온대 중부 또는 냉온대 북부 식생대로 구분되며 신갈나무가 우점하여 있다. 현존 식생은 신갈나무를 중심으로 상수리나무, 소나무[46], 잣나무, 사스래나무, 고로쇠나무, 층층나무 등이 교목 또는 아교목으로 분포하여, 당단풍, 쪽동백나무, 생강나무 등이 아교목관목으로 분포한다. 대부분의 산지가 지난 60여 년간 민간인의 출입이 제한되었던 탓에 원시림에 버금가는 생태계가 조성되어 있다. 특히, DMZ 일대는 두루미[47], 독수리[48], 기러기겨울철새들을 비롯하여 희귀 철새지의 도래지가 되었으며, 화강과 그 지류 하천들에는 토종 민물고기[49]가 서식한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50]

철원9경 철원 두루미 철원 재두루미
철원9경
두루미
재두루미

농업

====농촌 재활성화====[51]

  • 농업 기반 강화: 철원군은 농업 중심 지역으로, 특히 쌀 재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품질 쌀 생산[52][53]친환경 농업을 장려하고, 이를 통해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54] 또한, 지역 농산물의 브랜드화를 통해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 철원군의 강점을 살린 특화된 농업 모델 개발

DMZ 접경 지역의 특수성 활용: DMZ 접경 지역이라는 독특한 환경을 활용하여 청정 이미지를 강조하고,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집중하는 모델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고랭지 농업의 경쟁력 강화: 철원군의 고랭지 농업은 기후적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품질 농산물 생산을 위한 시설 투자 및 기술 지원을 확대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군 특유의 작물 재배 확대: 철원군에서만 생산되는 특산물을 집중적으로 육성하여 지역 브랜드를 구축하고, 관광 상품과 연계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농업 기술 개발 및 보급

스마트 팜 도입 및 확산: 최신 농업 기술을 도입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농업 교육 프로그램 강화: 농업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농업 기술 정보를 제공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농업 연구 개발 투자 확대: 지역 특성에 맞는 새로운 품종 개발 및 재배 기술 연구를 통해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관광 산업과 연계: 철원군의 자연환경역사적 유산을 활용한 관광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철원의 DMZ(비무장지대)와 같은 특수한 관광 자원을 활용해 관광객을 유치함으로써 농촌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지역 농산물 판매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 농업과 관광의 융합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농촌 체험 관광 활성화: 농촌 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관광 인프라 구축을 통해 도시민 유입을 유도하고, 지역 농산물 판매를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농가 직판장 확대 및 온라인 판매 지원: 소비자와 생산자를 직접 연결하여 유통 마진을 줄이고,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농촌 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 마을 단위로 특색 있는 테마를 개발하고, 지역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사업을 통해 마을 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청년 및 귀농귀촌 장려: 청년 농업인 육성귀농귀촌 정책을 통해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귀농귀촌 희망자에게 토지 및 주택 지원,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고 있다.
    • 농촌 인력 양성 및 유입

청년 농업인 육성: 청년들이 농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창업을 위한 교육 및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귀농·귀촌 지원 확대: 귀농·귀촌인을 위한 주택, 토지, 교육 등 종합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 사회와의 원활한 정착을 도울 수 있습니다. 여성 농업인 역할 강화: 여성 농업인의 경영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여성 친화적인 농업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수 있습니다.

  • 농촌 융복합 산업 육성': 농업과 제조업, 서비스업을 결합한 6차 산업을 장려해 농가 소득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가공식품 생산, 농촌 체험 관광 등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지역 주민의 경제적 자립을 촉진하고 있다.
  • 사회적 농업: 철원군은 농업을 통해 지역 주민, 특히 취약 계층의 사회적 통합과 복지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농업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있다.
  • 농업 정책 및 제도 개선

농업 지원 정책 다변화: 농업 소득 안정을 위한 직불제 개선, 농자재 가격 안정화, 농업 보험 확대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농업 관련 법규 정비: 농업 경영 환경 변화에 맞춰 관련 법규를 정비하고,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여 농업인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지역 농업 정책과의 연계 강화: 중앙 정부의 농업 정책과 지자체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정책을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번호

지역

종료

이름

생태

비고

1

경기/철원 도호부/삭녕군

토의(土宜)

오곡(五穀,) 조·팥·수수·메밀·뽕나무·삼[麻]

있음

No

토공(土貢)

오곡(五穀,) 조·팥·수수·메밀·뽕나무·삼[麻]

있음

No

약재(藥材

오미자(五味子)

있음

No

토산(土産)


생략

다른 지역보다 없음

2

경기 / 철원 도호부 / 장단현

토의(土宜)

오곡(五穀), 조·팥·수수·메밀·뽕나무·삼[麻]

있음

No

토공(土貢)

느타리·지초

있음

No

약재(藥材

오미자·승검초[當歸]·안식향(安息香)·백복령(白茯苓)

있음

No

토산(土産)

인삼·감초·산개(山芥)·송이[松茸]

있음

다른 지역보다 토산이 있음

3

경기 / 철원 도호부 / 장단현

토의(土宜)

조·팥·메밀·뽕나무·삼[麻]

있음

No

토공(土貢)

지초

있음

No

약재(藥材

검산풀뿌리[續斷]

있음

No

토산(土産)


생략

다른 지역보다 없음

4

경기 / 철원 도호부 / 안협현

토의(土宜)

오곡(五穀), 조·수수·팥·녹두·메밀·참깨·뽕나무·삼[麻]

있음

No

토공(土貢)

꿀·느타리·싸리버섯·지초

있음

No

약재(藥材

령(茯苓)·복신(茯神)·승검초[當歸]

있음

No

토산(土産)

산개(山芥)·신감초(辛甘草)·석이[石茸]·배[梨]

있음

다른 지역보다 토산이 많음

5

경기 / 철원 도호부 / 임강현

토의(土宜)

오곡(五穀), 조·팥·메밀·참깨·삼[麻]·뽕나무

있음

No

토공(土貢)

느타리·싸리버섯·지초

있음

No

약재(藥材

검산풀뿌리[續斷]

있음

No

토산(土産)

송이[松茸]

있음

송이밖에 없음

6

경기 / 철원 도호부 / 마전현

토의(土宜)

오곡(五穀), 조·팥·녹두·메밀·뽕나무·삼[麻]

있음

No

토공(土貢)

지초·싸리버섯

있음

No

약재(藥材

검산풀뿌리[續斷]

있음

No

토산(土産)


생략

다른 지역보다 없음

7

경기 / 철원 도호부 / 연천현

토의(土宜)

벼·조·기장·피·콩·팥·뽕나무·삼[麻]]

있음

No

토공(土貢)

꿀·지초·느타리·싸리버섯

있음

No

약재(藥材

오미자(五味子)

있음

No

토산(土産)


생략

다른 지역보다 없음

답사 지역

수원

번호 답사장소 사진 내용 비고
1 융건릉(隆健陵)
건릉
융건릉(隆健陵)[55]은 사적 제206호로 지정된 문화재로 장조(사도세자)와 그의 비 헌경왕후(혜경궁 홍씨)를 합장한 융릉(隆陵)과 그의 아들 정조와 효의왕후를 합장한 건릉(健陵)을 합쳐 부르는 이름으로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다. 입력
2 용주사
용주사
본래 용주사[56]는 신라 문성왕 16년(854년)에 창건된 갈양사로써 청정하고 이름 높은 도량이었으나 병자호란 때 소실된후 폐사되었다가 조선시대 제22대 임금인 정조(正祖)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절을 다시 일으켜 원찰로 삼았다. 입력
3 수원화성
수원 팔달문 (水原 八達門)
수원 화성(水原 華城) 혹은 화성 (華城)은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57]에 있는 길이 5.52킬로미터의 성곽이다. 1963년 대한민국의 사적 제3호로 지정되었으며,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수원 화성은 한국전쟁 당시 일부가 파괴되어 이후 재건한 건축물이지만, 화성을 계획할 당시 그림과 글로 설계도와 관련 내용을 기록해둔 수원화성의궤가 남아있어 이를 바탕으로 복원하였기 때문에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었다. 화성은 한국 성의 구성 요소인 옹성, 성문, 암문, 산대, 체성, 치성, 적대, 포대, 봉수대 등을 모두 갖추어 대한민국의 성곽 건축 기술을 집대성했다고 평가된다. 지형에 맞추어 읍성과 산성의 구조가 모두 존재하도록 축조되었다. 입력
4 화성행궁
봉수당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25 (남창동)에 위치해 있는 행궁으로, 사적 제478호로 지정받았다. 조선 22대 임금 정조가 세운 수원화성 내부에 있는 행궁으로, 건립 당시에는 건물 21동, 576칸 규모로 지어졌다. 입력

당진

번호 답사장소 사진 내용 비고
1 면천읍성
면천읍성 danjing.jpg
면천읍성[58]은 1439년, 세종 21년에 관아와 행정 소재지를 왜침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평지에 쌓은 평지읍성으로 천주교 박해와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동학농민운동 당시 전투가 치러지는 등 역사적 사건의 주요 무대이다.

2007년부터 대규모 복원이 진행되어 현재 남문과 옹성, 장청 등이 복원되었으며, 읍성 안에는 1,100살이 된 은행나무 2그루가 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면천은행나무를 신목으로 여겨 매년 정월 대보름날에 목신제를 지내고 있으며, 천연기념물 제 551호로 지정된 은행나무입니다. 은행나무 아래에 군자정을 지나면 연암 박지원이 직접 설계해 지었다는 건곤일초정과 봄에는 벛꽃이 여름에는 연꽃이 절경인 골정지가 있습니다[59].|| 입력

2 면천향교
면천향교
면천향교[60][61]는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성상리 513에 위치해 있으며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41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인 면천향교는 1392년(태조 1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나 건립 시기는 정확하지 않다. 향교의 구조는 제사공간과 교육공간으로 구성되어 대성전, 동무·서무, 동재·서재, 명륜당, 내·외삼문 등이 있다. 1716년(숙종 42년)에 대성전을 중수하였으며, 1966년에 대성전과 동재를 다시 보수하였다. 교육기관인 명륜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팔작지붕에 홑처마이다. 대성전은 맞배지붕을 정면 3칸, 우측 4칸, 좌측 3칸으로 기둥을 다르게 세웠다. 그리고 대성전에서는 공자를 비롯한 5성과 송조 2현 그리고 한국의 18선현을 모시고 있으며 매년 봄과 가을에 석전이 거행되고 있다[62]. 입력
3 면천 은행나무
면천 은행나무
면천 은행나무당2016년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두 그루가 지정되어 있는데 한 그루는 가슴높이줄기지름 1.93m, 높이 20.5m이고, 다른 한 그루는 가슴높이줄기지름 1.94m, 높이 21.5m이다.

면천초등학교 교정의 동남쪽에 서 있는데 한 그루는 운동장 정지할 때 1m 정도 성토한 것이지만 자람이 좋은 편이다. 운동장 안쪽에 서 있는 다른 한 그루는 줄기 아래쪽에 커다란 동공이 있었으나 10여 년 전에 흙과 시멘트로 충전처리한 후 정상적으로 자라고 있다. 수령은 약 900년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면천의 명물로 되어 있다. 이 은행나무는 면천에 살고 있던 고려의 개국공신인 복지겸(卜智謙)이 병으로 누워 있었는데 백약이 무효하므로 그의 딸 영랑(影浪)이 아미산에 올라 백일기도를 드렸다. 그랬더니 마지막 날에 신선이 나타나 두견주를 빚어 100일 후에 마시고 그 곳에 은행나무를 심은 뒤 정성을 들여야 나을 수 있다고 하여 그대로 하였더니 병이 치유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1990년 5월 24일 충청남도 시도기념물로 지정되었고,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6년 9월 6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63]. 고려 태조 왕건이 통일할 때 공을 세운 복지겸 장군과 그의 딸 영랑과 관련된 설화가 전해진다. 복지겸이 노후에 고향인 면천으로 돌아와 원인 모를 병을 얻어 눕게 되었고 그의 어린 딸 영랑이 날마다 아버지의 병을 고쳐 달라고 신령님께 빌었다. 그러다 이상한 힘에 끌려 잠에 취했고 꿈을 꾸게 되었는데, 꿈속에서 산신령이 나타나 “은행나무 두 그루를 구해다가 뜰에 심고, 앞산으로 올라가 진달래 꽃잎을 따와서 안샘물로 술을 담가 그 술을 백일동안 익혀서 아버지께 드리면 병이 나을 것이다.”라는 말을 듣고 그대로 따랐더니 복지겸 장군의 병이 거짓말처럼 치유됐다는 설화가 있으며, 해마다 마을 주민이 은행나무에 모여 목신제(木神祭)를 올리는 등 역사적, 문화적, 민속적 가치가 있다[64].|| 입력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