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분수원
지명 유래
고려시대에 창건된 분수원(焚水院)은 불교와 깊은 관련성을 맺고 있었으며, 스님들에 의해 운영·관리 되었다. 이 분수원은 조선이 건국된 이후에 중앙이 직접 그 운영과 관리를 담당하기 시작하여 조선 전기까지 존재했다. 한편, 1656년 편찬된 『동국여지지』에 분수원(分水院)이라는 새로운한자 명칭이 등장했다는 점과 여러 사료 및 고지도에 등장하는 분수원의 한자 명칭 및 조선 시대 역원의 변천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니 분수원은 조선 전기에 통폐합되고, 그곳에서 근처 지역에 다시 설립 되었다. 또한 그러한 변화 속에 분수원의 기능과 역할이 변화하였다. 즉, 분수원이 민간 여행객에게 숙박을 제공하는 기능은 인근의 세류점에게 넘기고, 공적인 업무에 해당하는 역참의 기능과 임금이 행행할 때 머물던 주정소의 역할만을 담당하게 된 것이다. 고려시대에 창건되어 조선 전기에 사라진 분수원(焚水院)은 『파주분수원산송전말』의 기록을 통해 보면 현 윤관 장군 묘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조선 중기에 다시 재건된 분수원(分水院/汾水院)은 일제가 1895년에 측량하고, 1899년에 제판한 전국 지도의 분수원 부근과 현재 항공사진을 비교해 보니 현 윤관 장군 묘역의 오른쪽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윤관 장군묘역의 오른쪽인 여충사와 충효관 뒤편 숲속에 잡목으로 덮여 있는 곳에서 건설 석재와 함께 섞여 있는 옛 초석과 장대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조선 중기에 다시 재건된 분수원은 현재 여충사뒤편 숲속에 위치하면서 윤관 장군 묘역까지 포괄했던 것으로 추정된다.